반응형

6월 2일 오후에 김희자 선생을 역삼동에서 만났다. 그의 첫번째 저술인 "백과사전류로 본 조선시대 차문화"(국학자료원)의 책을 받기위해서다. 그의 박사논문을 조금 보완하여 만든 것인데 그간의 사정을 알고 있었기에 오늘 받는 이 책이 우리나라 차문화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원하는 바다.

이 책은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중심으로 하여 백과사전류ㆍ전문다서ㆍ제 문집에 나타난 차에 관한 기록을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 차문화의 일면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일부 백과사전류에는 茶에 관한 내용이 세부적이면서도 방대하게 기록되어 있다. 당시 차문화에 대해서는 茶詩와 茶書 그리고 여러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내용에는 역사적ㆍ문학적ㆍ실용적인 면 등이 포괄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품격 있는 조선시대 茶문화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척도가 된다. 특히 백과사전류에 보이는 차에 관한 기록들은 조선후기 차문화가 재도약 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하였다. 필자는 「오주 이규경의 도다변증설 고찰」ㆍ「도다변증설에 나타난 차 종류에 관한 연구」ㆍ「조선시대 百科事典類에 나타난 茶에 관한 연구」 등의 선행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차문화에 대해 주목하였다. 그러나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 각종 문헌에서 차 관련 내용을 찾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1,2장에서는 "오주연문장전산고"의 「荼茶辨證說」ㆍ「種茶薏苡靑蘘辨證說」ㆍ「四時十二時淸趣辨證說」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통하여 오주의 차문화관에 대한 면모를 전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도다변증설」에서는 茶史를, 「종다의이청양변증설」에서는 茶事를 담고 있으므로 그의 차문화관이 총체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을 지닌다.

3장 「조선시대 백과사전류를 통해 본 차문화」에서는 16세기 이후의 조선 지식인들이 수용한 차문화의 성격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백과사전류에서 다루고 있는 차에 관한 기록이 분량에 있어서 문헌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중국의 茶書나 農書를 참고하고 인용하였으며 우리나라 農書들과도 서로 중복 인용된 부분이 나타난다. 당시의 백과사전류는 사전형식을 빌려 지식의 일대 寶庫를 이룬 문헌이다. 여기에 기록된 차에 관한 내용들은 조선시대 차의 역사를 말해주며, 당시 차문화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4장 「전문다서에 나타난 차문화」ㆍ5장 「諸 文集에 나타난 차문화」는 후속 연구를 위한 자료제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오늘날 茶는 학문으로 체계화되어 가고 있다. 앞으로 茶學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존하고 있는 문헌은 물론, 번역되지 않고 흩어져 있는 문헌들이 적극 발굴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체계적인 정리와 연구가 절실하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