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은다례원 이정희 원장/ 입점하기 전 잔에 남은 차향을 단전까지 깊히 들이켜 심호흡하는 동작

 선은다례원 이정희 선생 만의 은근하고 청정한 생활이 선생의 성품을 잘 드러내 준다. 숙우회를 통해 선차 공부의 맥을 살려 선차 다법을 보여 주는 그 모습은 선차를 잘 살려내는 대표적인 차인의 모습임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한국현대차인 개정판 작업을 마치면서 이 사진 한 장을 올린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김덕기 대표의 글

부산에 가면 온천장에 팔금산 미술관이라는 간판이 있다. 한 달에 10여 일 정도 문을 열고 대부분의 시간을 중국 청도에서 보낸다. 중국에서 활동하는 기업인 김덕기 대표의 쉼터 겸 만든 미술관이다.

그래서 이곳은 늘 문이 닫혀 있지만 열려있는 날은 김덕기 대표가 한국에 왔다는 뜻이다. 방문할 때는 약속을 하고 가지만 나 뿐만이 아니라 그동안 김대표의 안목을 배우고자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모인다. 꼭 주인이라고 차를 내는 것이 아니라 손님이 차를 아는 분이면 당신이 직접 주인과 또 다른 손님을 접대한다.

마시는 차는 대부분 보이차이지만, 무슨 차냐고 묻지도 않는다. 그냥 주면 마신다. 간혹 차 전문가들이 오게 되면 깔끔한 맛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곳의 차가 좋다는 말보다는 차를 마시는 그릇이 일품이기에 찻잔이 주는 아름다운 멋을 맛과 같이 즐기기 때문인 것 같다.

어느날 주인이 붙여 놓은 메모가 눈에 들어왔다. “좋은 것은 가져야만 하는가” 예술품을 보는 안목이 높고 경제적이 여유가 많은 분들은 그 쪽지가 눈에 들어오지 않겠지만 물건이 탐이 나고 경제력이 부족한 사람들 눈에는 딱 들어온다. 그게 글씨보다 더 크게 와닿는다. 이런 글을 보고 비록 소장하지는 못해도 마음의 위안을 주기 때문이다.

가지지 않고도 예술품을 보는 풍요로운 눈을 가졌다면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는 곳이기에 더욱 그렇다. 필자는 이곳 주인에게 '아름다운차도구' '중국명요순례' 원고를 받는다. 고정 필자로서 일년에 3번 원고를 처음 받을 때, 교정지를 보여줄 때, 책이 나왔을 때이다. 원고 핑계대고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작품 뿐 아니라 주인의 예리한 눈과 좋은 문장을 받아오는 재미가 더 있어서 좋다. 오늘 사진을 정리하면서 또 한 번 메모를 보게 되어 공개를 하게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전 송 전선 로동팽다도(傳宋錢選盧仝烹茶圖)

그림 가운데에 세 사람 중 둘은 마주앉아있고 한 명은 서있다. 대좌하고 있는 두 사람 중 한명은 화롯불에 부채질하고 있는데 화로위엔 단병호(單柄壺)가 놓여 있고, 그 옆에다 달리 하나 이층으로 된 주니제량호(朱泥提梁壺)를 놓았다. 정면에는 백의의 문사(文士)가 꽃무늬 있는 방석위에 앉아있는데 방석위에는 하나의 세 발 달린 솥 모양의 주니호(朱泥壺), 백자다구(白瓷茶甌), 주칠다탁(朱漆茶托), 쌍이수우(雙耳水盂), 기화책(耆畵冊) 등등이 널려있다.

그림 중에 그려진 바 파초나무아래 인공조경 사이에서 문인들이 모여서 서로 품명논서(品茗論書)하는 것은 명말 시대의 문인들의 은둔자적한 생활을 반영하고 있다. 명대의 문인들 예컨대 문징명(文徵明), 당인(唐寅), 축윤명(祝允明) 등은 모두 금기서화(琴棋書畵)에 정통한 인물들로 또한 차 애호가들이다. 그래서 명대 문인차풍(文人茶風)의 신국면을 개척하여 경치가 그윽하고 아늑한 산림이나 전원을 찾아가 품명하며 독서하는 한일귀은(閑逸歸隱, 한가로이 전원 속에 돌아가 유유자적하는)의 생활은 명대 때 그림에 자주 보이는 화면이다.

차를 내는 이와 차를 받는 이로 구성되어 있고 그것을 지켜보는 인물로 대별된 화면 안에서는 참으로 팽팽한 긴장감이 흐른다. 서로간의 관심이 무엇인지 드러나게 되고 그 인물들은 과연 어떤 위치에 있는 것일까를 궁금해 하게 된다. 결국 차를 준비하고 차를 받는 이와, 차와는 관계없이 인물과 관련된 사람이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차라는 의미, 그리고 도구와 격식 등의 생각을 하게 하는 귀한 명화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문징명의 품다도] 16세기

문징명과 심주(沈周)는 모두 소주의 문인세가 출신으로, 생활이 부유하여 한 평생 대부분 산림에 노닐면서 자연을 추구하였기에, 작품 중에 대다수가 그 주변의 생활모습이다.

문징명은 일생동안 차를 즐겨 마셔 일찍이 스스로 이르기를 : “나는 평생 술을 아니 마시지만, 그래도 차에 취해 산다네.” 그는 차로써 시와 그림과 서예에 도입하였으며, 그래서 그림 중에 표현해낸 명대 문인의 품다(品茶) 역시도 상당히 대표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림 가운데에 문징명이 그린 초당(草堂)은 그가 늘상 친한 벗들과 더불어 함께 모여서 품다(品茶)하던 곳으로, 3년 뒤인 가정 갑오(1534)에 문징명은 다시 〈차사도(茶事圖)〉를 그렸으며 그림위에다 또한 다구시 10수를 지었다. 이 그림위에 초당(草堂)역시 곧 이곳이다. 집, 노송, 풀 한포기 나무 한그루, 그 어느 것 하나 <품다도(品茶圖)>와 다를 바가 없다. 이 해 3월에 문징명이 병들어 누웠기에 지형호구(支硎虎丘)에 가서 품다(品茶)할 수가 없자 벗이 찾아와 차 두세 가지를 갖다 주었다.

문징명은 병중에 호구 우전차를 맛보면서 드디어 이 그림을 그리고 또 <다구십영(茶具十詠)>을 썼다. 문징명의 품다차사(品茶茶舍)는 울창한 소나무 숲에 그윽한 경치로 그야말로 명대 문인들이 추구하던바 이상적인 차사(茶舍)의 경지이기도 하다.

차를 마시면서 시원한 그림, 또는 다향을 느낄 수 있는 茶畵 한 점 걸려 있지 않다면 무척이나 적적할 것이다. 이제 우리 찻자리는 이전보다 여유롭고 마음이 넉넉해졌다. 꼭 한 점이 아니라 그날 그날 분위기에 맞는 그림을 걸고 차 한잔 할 수 있는 여유는 그리 요원한 일이 아니다.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개정 증보판> http://seoku.com/442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오명진 연구원의 행다법 발표]

동양차문화연구회(회장 김봉건) 1월 모임에서 연구원 오명진은 『金甁梅를 통해 본 明末 市井의 飮茶文化』를 발표했다. 발표자는 명말의『금병매』는 당시의 경제상황을 반영한 소설로서 명대 사회를 투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사회소설이라는 입장에서 볼 때 그 가치는 매우 귀중하다고 한다.

『금병매』에는 629여 곳에 차에 관한 내용이 등장한다. 일상 생활 혹은 차관, 차방에서 일으나는 음차문화에 대한 것으로 차도구와  차에 관련한 풍속과 예의 등을 나타내고 있다. 공식문헌 기록이 아닌 市井의 일상생활에 나타나는 생생한 묘사를 통해 차문화를 좀더 다양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고자 한다는 발표의 변을 밝혔다.

논문 발표를 마치고, 사계절 차 맛을 음미 할 수 있는 다법을 발표했다. 개완을 이용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연상할 수 있는 녹차, 연, 구기자 등을 넣어서 각각의 개완에서 특별한 차 향을 음미하는 시간을 가졌다.

상세보기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인의 눈으로 본 차문화세상

차인들은 종종 그들만의 세상을 구경하고 또 그것을 기억에 담아온다.

그것이 마치 마음 속에 거울 하나를 들고 그 풍경을 담아오는 것이 사진에 담아 아름답게 보전하려는 소박한 희망과도 같기에 필자가 족적을 남기고 발걸음을 하는 곳에서 이러한 풍광은 꼭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장면들을 하나하나 소중히 담아 차인들과 공유하기 위한 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진에 담는 것이 마치 그 시간자체를 담아내는 거울과 같아 차(茶) 다자에 거울 경자를 빌어 디렉토리의 명칭으로 삼고자 한다.

 

석우.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