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창적인다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8.31 다완 수집가 법심 스님 강의 현장학습 1
반응형

차 생활을 하면서 늘 사용하는 것은 잎차를 우려마시는 도구인 다관과 찻잔이다. 그런데 말차(抹茶, 가루차)를 마시는데 필요한 다완은 차를 마시는 것과는 상관없이 알고 싶고, 또 잘 고르는 법을 배우고 싶은 것이 차를 공부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일 것이다. 하지만 생존하는 작가의 작품을 가지고 종류를 이야기하고 작품의 장단점을 논하기에는 사찰의 스님들과는 부담 없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전국에서 소문난 다완 수집가인 청하사 법심 스님은 어떤 자리에서든 다완을 보면 그 자리에서 주변인들에게 설명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 현장을 여러번 목격한 김재환 학우님이 주선하여 서울․경기지역 학우님들이 마련한 그 의미 있는 자리에 동행하게 되었다. [사진]

한 달 전인 7월에 원광디지털대학교 차문화경영학과 서울․경기지역 학생회에서, 다완(茶碗)에 대한 현장 학습을 위해서 경북 영천에 있는 청하사 법심스님께 가기로 되어 있는데, 학생들과 함께 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김춘희 회장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나는 반가운 마음에 동행하겠다는 답변을 하고 내심 그날이 기다려지기도 했다.

[청하사 법심 스님의 다완 강의 모습] 청하사 법심 스님이 소장하고 있는 다완은 2007년 방문하였을 때 스님이 출타중이라 스님은 뵙지 못했지만 전시장의 다완을 보고 올 수 있었다. 그런데 학생들과 동행하는 그 날을 기다려지게 된 것은 다완 공부를 하고 싶은 학우님에게는 많은 종류의 다완을 한 자리에서 보고 설명을 듣는 좋은 기회이겠지만, 나는 그런 완에 대한 명칭 부여 방식에 있어서 스님께 나의 의견을 말씀 드리고 동행한 학우님들께 이제부터라도 차도구의 명칭에서 가장 기본적인 표기법의 대원칙을 전하고 싶은 마음이 앞서 있기도 해서 모처럼의 동행이 반갑고 기다려질 수밖에 없었다.

 

[사진 위, 청하사] 3시간 30분 정도의 시간이 걸려 도착한 일행은 청하사 법심 스님의 차실에 들어갔다. 스님은 기다리고 계셨고 모두 큰 절을 올리고 자리에 앉자 스님은 우리들이 왜 이곳에 왔는지를 너무 잘 알고 있는 것같이 처음부터 차와 다완에 대한 지론을 말씀하셨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냥 마시면 되는 찻그릇에 일본인들은 다완에 미학을 도입하고 다도의 정립에는 차보다는 찻그릇 즉, 다완에 대한 공부가 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강한 뜻을 밝히기도 하였다. 스님은 정호다완의 균형미를 보기위한 방법, 다완의 종류에 따른 굽의 형태, 교맥다완, 이라보다완 등에 대한 상세한 강의진행 그리고 다완 명칭에 있어서도

이도다완(井戶茶碗)을 정호다완(井戶茶碗)이라 부르는 것이 합당할 것 같다는 말씀에, 나는 식사 시간을 통해서 차도구 명칭에 한문을 음독하는 방식을 제안한 논문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고, 스님은 적극적으로 호응하면서 한국 다완에 대한 실증을 서로 잘 알고 있는 처지로서의 진보된 이야기도 나눌 수 있었다.

[법신 스님의 소장품, 사방 벽면은 모두 다완으로 전시] 스님의 차탁에는 연린문으로 만든 청자 찻잔을 볼 수 있었는데, 추측하건데 스님이 개인잔으로 사용하는 것 같았다. 그 잔을 사용하게 된 연유를 여쭈니 얼마 전 해강도자기 박물관에 갔을 때 최관장이 선물로 준 것인데 잘 만든 것 같아서 사용하고 있다고 하시며, 이런 연린문 찻잔은 작고한 김응한 사기장과 기장에서 작업하는 김윤태 사기장이 잘 만든다고 하셔서, 나는 한 가지 질문을 하게 되었다.

[스님의 열강에 모두 눈빛이 반짝임] 모두가 청자 하면 해강도자기를 거론하는 현실을 잘 알면서도 2시간 가량의 다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마지막에 개인적으로 한 번 물어보고 싶은 내용이 청자였다. 스님은 청자를 만드는 작가 가운데 다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작품에 대한 답변으로 뜻밖에 다른 이야기를 하였다. 아마도 청자 부분에서 1970년대 작가로서 황종구 씨의 청자와 해강 유근형 작품을 기억하고 그 완에 차를 마시면 어떤 맛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을 나눌 수 있었던 유일한 분이었다. 나는 그동안 법심 스님의 완에 대한 생각을 지난 몇 차례의 공적인 자리에서 일어난 말과 이번에 만나서 들어본 다완에 대한 이론을 종합해 볼 때 일본 차인들이 주장한 내용을 벗어나는 이론을 들어보지 못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1세대 황종구 사기장과 그의 동생 황종례의 가족을 알고 해강 청자 다완과 황종구 청자를 비교한 말을 듣게 되면서 오랜만에 정말 드물게 우리나라 1세대 다완에 대한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귀한 시간이 되었다.

[스님과 함께 기념 촬영] 스님은 이날 일본에서 중요문화재로 등록된 정호다완, 이라보다완, 두두옥다완, 김해다완 웅천다완 등을 재현하는 사기장 보다는 독자적으로 이름을 만들어 선보인 설영진의 독도다완에 칭찬을 많이 하셨다. 독도다완이야 말로 가장 독창성을 가진 것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이부분에 있어서는 나의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다. …, 설영진 사기장의 독도다완이 독창성이 돋보이는 다완이 아니라는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독창성을 가진 다완이라고 제시하기 위해서는 한가지 조건이 있다. 이런 문제는 다음에 다른 코너에서 언급하겠다.

전체 28명이 참석하여 서울에서 영천까지 한가지 목적으로 움직인 이번 현장 체험은 서울 경기 지역 회장과 운영진의 박진감 넘치는 추진력의 결실이라고 볼 수 있다. 9월, 10월 학생들을 위한 현장 교육이 좋은 결실을 맺기 바라는 마음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