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일암 차실에서

다회와 다사는 카이세키요리가 있고 없고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다회는 우스차와 고이차를 마시고, 다인수의 손님을 초대하여 즐기는 모임이다. 그리고 다사는 카이세키요리와 함께 고이차, 우스차를 마시며, 소인수의 손님을 초대하여 즐기는 모임이다.

특히 다사의 순서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마치아이(待合)라는 공간에 그날 초대받은 손님들이 모두 참석한다. 2) 주최측은 손님에게 가벼운 음료를 제공한다. 3) 손님들은 정객(한국에서는 상객)부터 말객까지 순서대로 코시카케마치아이(腰掛待合)로 가서 순서대로 앉는다

4) 주인은 손님을 맞이하러 중문까지 가서 (무카에츠케), 츠쿠바이로 안내한다 5) 손님은 정객(상객)부터 순서대로 손과 입을 헹구고 순서대로 다실로 들어간다 6) 다실에 들어와서 순서대로 도코노마와 도구 등을 배견하고 자기에 앉는다 7) 주인은 카이세키요리를 손님에게 대접한다(40분가량소요)

8) 요리를 다 먹고, 그릇 등이 모두 나가고 나면 과자가 들어온다. 9) 과자를 먹고나서 다실 밖으로 나와서 휴식을 취한다(나카다치(中立ち), 40분 전후 정도) 10) 다실이 정리되고 나면 주최측은 토라(銅鑼)를 울려 손님이 모이게 한다 11) 손님은 다시 다실로 들어와서 고이챠(濃茶)와 우스챠(薄茶)를 즐기고 파한다

youtu.be/-E5i5_NSMpE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오모테센케류 적조암 차실

부산 동래에서 오모테센케류의 다법을 지도하고 있는 최미경 선생은 1988년 배경쟁 선생님 문하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여러 과정을 익혔다. 2015년에는 松本宗弘敎授의 문하에 들어가 면장 마지막 단계인 盆點을 취득했으며, 2016表千家講師의 자격을 받았다.

이제 한국에서도 오모테센케류의 면장 및 강사 자격증의 취득, 오모테센케 동문회 입회 등이 가능하다. 최미경 선생은 필자가 발행했던 <아름다운차도구> 5, 6, 7호에 오모테센케류 사계절 차도구를 연재했던 인연으로 이곳을 방문하여 여러차례 차도구를 촬영하였다. 이제는 다석TV에 表千家流 炉 薄茶運び点前(오모테센케류 로 우스챠 하코비데마에) 촬영을 하게 되었다.

처음 올린 영상은 로의 계절에 박차를 내는 과정을 기록하게 되었다. [1]薄茶(박차)가 나올 때까지, 두 번째 올릴 예정 영상은 [2] 마무리 하는 과정이다.

 

일본 다도는 오랜 세월 수행하는 마음으로 다가가야 한다. 단순히 차 맛을 보고 즐기는 문화와는 다르다. 최근 젊은 층에서 말차를 즐기고 관심가지는부류가 많아진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일이다.

박차 마무리 과정

 

박차가 나올 때까지 https://youtu.be/-FSH_u7atuc

 

마무리하는 과정 https://youtu.be/jLmA0bCOkb8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라쿠스이엔(樂水園, 락소원)

[라쿠스이] 樂水園
하카타 상인의 멋, 다도를 즐길 수 있는 일본 정원. 역에서 가까운 곳 호텔에서 걸어서 15분 거리에 낙수원이 있었다.

입구에는 락수원 깃발이 있었고 정문으로 들어가는 옆 돌담이 예사롭지 않았는데, 그 돌담은 ‘하카타베이’라고 한다.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상인들의 마을 하카타를 전쟁 후의 재난으로부터 부흥시키기 위한 계획(일명 다이코초와리)을 세웠을 때, 신사 또는 불각이나 거상의 저택에 지은 흙담이다.

전화로 인해 타다남은 돌이나 기와를 점토로 굳혀서 만든 것으로 [히카타 베이]라고 한다. 이 돌담을 지나서 들어서면 입장권 판매소가 있다. 입장권과 차 값을 내고 정원을 볼 수 있고 다실에서 차를 마시게 된다.

임형택 원장과 함께

차정원 스이킨쿠쓰: 차를 통해 전해지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차 정원이다. 사계절의 변화를 그대로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한 쪽에는 작은 계곡물이 수량이 좋게 내려오는 것을 볼 수 있고 연못에는 비단잉어가 놀고 있다.

화로가 있는 일본 방

이름의 유래: [라쿠스이] 樂水園는 히카타의 상인이었던 지카마사 씨의 아호이다. 2대에 걸친 가업을 이어 후쿠하카(후쿠오카와 히다카)의 발전에 공헌한 인물로서 1906년 현재의 스미요시 별장을 지었다. 후에 다실을 만들고 자신의 아호[라쿠스이]라고 불었다.

락수암(樂水庵)

현재 라쿠스이를 복원하여 [라쿠스이안, 락수암]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국에서 임형택 원장과 박선생, 필자, 남자 셋이서 모지코(門司港)에 있는 마츠모토 히로코 선생 댁, 하츠가마 차회 참석을 마치고 다음날 이곳에 방문하여, 그 시대 차인의 인물을 생각하며 복원된 차실 락수암에서 말차를 마셨다.

한국에서 늘 바쁘게 살면서도 이런 시간을 내어 차를 지극히 좋아하는 남자 셋이서 이런 자리에서 차를 마시고 정원을 거닐면서 일본은 이렇게 다도의 세계를 꾸며 놓았는데, 한국식으로는 어떻게 펼치면 좋을까를 서로 의논하며 좋은 시간을 가졌다.

유튜브 다석TV https://youtu.be/YM2tTT8HNnU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실에서

 

717일 골동보이차 진품 차회 소식을 전할 때, 참가비가 고액이다 보니 참석자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고 보이차 중에 황제라고 하는 복원창이 차회에 나온다는 것에 관심 있는 차인들의 문의가 많았다.

 

또한, 차회에 사용하는 차에 대한 의문도 있었지만, 필자는 그 차들을 매입하는 출처를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현장에서 복원창 사진 작업을 할 때도 차에 대한 신뢰의 문제는 전혀 없었다. 다만 어떤 도구를 이용하여 차의 가치를 잘 드러낼 수 있는가 하는 문제만 생각할 뿐이었다.

 

그런데 어제와 오늘, 전시와 차회를 공동주관하는 김경우 대표와 함께 이루향서원을 방문하여 정진단 원장과 당일 사용할 도구를 점검하고 인원수에 맞는 차의 양을 확인하는 과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좋은 차 맛을 내기 위한 준비는 마쳤다는 것을 알게 되어, 차회를 기록하고 높은 참가비의 당위성을 알렸던 사람으로서 안심하고 그날을 기다릴 수 있게 되었다.

 

중국 차 잡지 [茶道(다도)]에서 취재 온다는 소식도 접하게 되어 차회에 거는 기대가 커졌다.

 

반가운 소식은 참가비 260만 원 차회가 85일 조기 마감되었다는 것이다. 8월 10일과 11일의 차회를 위해서 탁자를 새로 준비하는 모습은 주최 측이 얼마나 성의를 가지고 준비하는가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로써, 참가자들이 새로운 경험을 하는 데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석우.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센리큐 영화 "리큐에게 물어라" 완성 기자 회견

일본 다도를 완성시킨 리큐(利休, 1522~1591)는 일본 사카이시(堺市)의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리큐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1534~1582)로부터 센(千)이라는 성을 하사 받아 센리큐(千利休)라 불렸다. 오다 노부나가의 사후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다도 자문 역할을 하며 다두(茶頭)로서 차에 관해서는 최고의 명성을 누렸다.

센리큐는 차의 세계에서 혁신을 가져왔으며 화경청적(和敬淸寂)의 정신을 강조해 다도를 일본을 대표하는 독특한 문화로 자리잡게 만든 일등공신이다. 그의 후손으로 현재 오모테 센케(表千家), 우라센케(裏千家), 무샤노코지센케(武者小路千家) 가문이 내려오고 있다. 일본 에서는 다도를 완성한 리큐의 덕을 기리기 위한 추모 행사가 매년 열리고 있다. 센리큐에 대한 영화는 현재 일본에서 완성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12월 개봉을 준비하고 있다.

아래 기사는 지난 7월 10일 <신주쿠바르토9>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번역하여 올리는 것으로, 이후 한국에서 개봉 되는 지행 상황을 계속 기고하고 한다. 기자회견에서 
이치카와 에비조(35), 나카타니 미키(37), 다나카 미츠토시(54) 가 나왔다.

본 작품을 하기로 했을 당시의 감상
이치카와 에비조(이하, 에비조): 감독과 원작자가 편지를 보내왔습니다.「꼭 에비조군이 해주었으면 한다」라고. 지금까지 여러 명배우분들이 연기 해 왔었기에, 저는 아니라고 생각해 정중히 거절했습니다만,「꼭 당신이었으면 좋겠다」고 다시 편지가 왔었습니다.

그로부터 일부러 만나러 와주셔서, 그때 「왜 저여야 합니까? 」라고 물으니, 감독으로부터 「패션입니다. 」라고 영문 모를 말을 들었네요(웃음) 그리고 다시 한 번 만날 기회가 생겨서, 긍정적 방향으로 작품에 관한 여러가지를 듣고, 역할을 맡기로 결정을 하였습니다.

나카타니 미키(이하, 나카타니) : 10대 시절부터 「お~いお茶」라는 상품의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해주셨기에, 여배우인생은 お茶(차)와 함께 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만, お茶(차)와 함께 걸어왔기에 茶道(다도)라는 것에도 흥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도 그렇고, 이 작품이 영화화되기 전부터 무언가 관련되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리큐의 역이 헤이세이의 무법자 에비조씨이기에 (웃음) 여러 의견이 있었습니다만, 저로서는 어떤 곤란한 상황이 와도 리큐의 부인역을 연기해 보이고, 이 작품을 좋은 것으로 보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영화의 감상
에비조: 저는 자신의 작품으로는 울지 않으며, 자신이 출연했다해서 호의적으로 보거나 하지 않습니다만, 마치고 난 후 울었네, 눈물이 나더라. 라는 부분이 새로웠습니다. 책을 읽은 분, 리큐나 역사에 흥미가 있으신 분은 물론입니다만, 젊은 분들도 봐 주신다면, 예술은 보통의 사람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알아주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 부분에서 좋은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치카와 단주로(특별출연)와의 공동출연에 관해서
에비조: 아버지는 武野紹鷗(다케노 조오)역을 받아들였을 당시, 집으로 저를 불러서 「출연하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아들이지만, 저희는 평소 경어를 사용하며, 거리가 있는 사제관계이기도 합니다만, 「이번은 당신이 주역입니다」의 이유로 저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아버지는 출연장면으로는 3,4 씬입니다만, 다케노 조오의 자료를 산더미같이 쌓아놓고, 매우 열심히 역할연구를 하였으며, 감독에게도 이 씬은 리큐에게 이렇게 하는게 낫지 않을까 하는 의견 등을 꽤 이전부터 이야기 했었습니다. 단지, 저는 그렇게 하고 싶지 않아서.

오늘 보시는 형태로 하고 싶었다. 평소에는 그런 말을 하면, 「아뇨」라고, 아버지는 주장한 방식을 고집하는데, 이번에는 몸이 안 좋았나 봅니다. 감독이 씬에 대해 아버지께 설명하러 간다고 말할 때, 「아마 반대하실꺼에요」라고 말했습니다만, 아버지가 「응」이라고 말했다는 것을 들은 순간, 두근거렸습니다. 그러나 현장에 오시면 「아니야」라고 말하는게 아닐까 생각했습니다만, 아무 말없이 연기하셨습니다.

다케노 조오와 요시로(리큐), 혹은 단주로와 에비조, 스승인 아들이라는 관계성은 아버지가 아니면 안 되었을테고. 아버지는 이 영화가 개봉할 때에는 어쩌면 자신은 이 세상에 없는 사람일지도 모른다고 인식했던게 아닌가 하는 부분도 느껴졌기 때문에 왠지 아버지의 모습을 영화로 보면 다시 한 번 이 작품에 출연해 주신 것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 있었습니다.

에비조씨와의 공동출연에 관해서
나카타니: 원작도 매우 치밀하게 만들어진 것으로, 감독의 미의식의 정도는 리큐에 버금갈 정도로 훌륭하며, 또한 에비조씨가 연기한 리큐를 보고 3곳 정도 눈물을 흘린 씬이 있었는데, 그런 작품을 함께 할 수 있어서, 감독님과 에비조씨에게 감사 드리고 싶습니다.

출연: 이치카와 에비조, 나카타니 미키 / 이치카와 단주로(특별출연) / 이세야 유스케 / 오모리 나오 등
카테고리: 미디어정보 by 영화 [리큐에게 물어라]
2013년 7월 1일

『리큐에게 물어라』 제37회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 월드콤페부문 노미네이트! 2013년 12월 7일에 전국 개봉을 결정한 『리큐에게 물어라』가 이번 제37회 몬트리올 세계영화제 월드콤페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아래는, 주연의 이치카와 에비조, 나카타니 미키, 다나카 미츠토시, 본 작품을 콤페부분 노미네이트 한 몬트리올 세계영화제의 의장인 セルジュ・ロジーク로부터 도착한 코멘트입니다.

이치카와 에비조
이번, 몬트리올 세계영화제의 콤페 부문에 선정해주셔서, 본 영화의 주연으로서 매우 영광스럽습니다. 또한, 본 작품을 통해서 일본의 美의 원점을 만들어낸 센리큐 라는 위대한 인물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정말 훌륭한 출연자 분들과 스탭 분들, 협력자 분들을 만나, 저도 全身全霊(전신전령)의 마음으로 연기한 결과가, 해외의 분들께는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질까가 기대됩니다.

나카타니 미키
「お~いお茶」의 광고를 계기로, 다도를 즐긴 지 약 10년이 됩니다만, 특히 의미 깊은 「리큐에게 물어라」가, 2011년에 그의 땅에서 첫 무대를 밟은 이후, 매우 의미 깊은 몬트리올에서 국제영화제의 컴페티션에 참가할 수 있었다는 것, 더 없는 행복을 느끼고 있습니다.

센리큐처럼 미의식이 높은 다나카 미츠토시 감독의 연출아래, 예민한 이치카와 에비조씨가 연기하셨던 리큐가 할복직전의 최후의 차를 끓이던 모습에, 몬트리올 분들도 숨이 멎는 느낌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 기사 원본 http://www.rikyu-movie.jp/?page_id=17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정동주 씨의 신간이 나왔다. 기본적으로 '차도구를'바라보는 시각은 필자와 많이 다르다. 하지만, 오랫동안 동다문화론을 강의하면서 ‘차문화 독립운동’을 말해온 저자의 인문학적인 사고를 바라볼 수는 책이다. 

출판사에서 보내온 보도자료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차문화, ‘전통’과 ‘다도’(茶道)의 개념을 되짚어보다

차문화에는 매우 강력하면서도 쉽게 드러나지 않는 문화적 힘, 막강한 전파력이 담겨 있다. 중국의 차에는 유장한 역사와 웅장한 전통이 응축되어 있어, 흔히들 한번 맛보면 빠져나오기 어려운 예술성과 약리적 효험을 체험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는 중국이 1500년 넘게 차문화를 발전시켜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또한 정교한 인문철학이 집약된 일본의 차문화는 사무라이의 거친 정신에 중국 차문화의 넓고 깊은 지혜를 융합시켜 변용해낸 이성적 창조물이다. 차는 음식의 한 가지로서 정신과 심성을 형성하고,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찻그릇은 그 사회의 의식을 담는 산물이며, 차법은 전통을 핵심 가치로 삼는다. 자본, 기술, 경영의 산물인 현대의 커피나 탄산음료와는 차원이 다른 문화 응집체라는 의미다.

또한 차는 매우 미묘해서 단순히 유행과 이윤을 따르기보다는 생산국의 의식구조와 역사인식 등 철학적 가치와 영향력에 더 따르게 된다. “차를 아는 민족은 흥하고 차를 모르는 민족은 노예가 된다”거나, “군대 없이 상대를 정복할 수 있는 정신 전쟁의 무기가 바로 차”라는 말이 생겨났을 정도다. 주로 학자, 예술인, 상류사회의 부유층, 주체의식 강한 지성인 등 사회 주류 인사들이 차를 즐겨왔다는 역사를 보더라도 차가 정신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알게 된다. 중국과 일본 정부가 100여 개국의 중국대사관을 통해 중국 차문화를 전략적인 문화상품으로 활용하고 주재국 국민들에게 무료로 체험할 수 있는 차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떠한가? 안타깝게도 모방과 종속의 틀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채 ‘차 식민지’라는 말을 듣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차문화와 전통을 말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

전통이란 일정 단위의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그 공동체의 생활을 지속시키는 정신적, 물질적 양식이다. 또한 현재의 생활과 필연적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지금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통차는 ‘전통’ 개념을 함부로 끌어다 붙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철저한 역사의식과 논리가 결핍돼 있다.

흔히 말하는 ‘다도’ 또한 그러하다. ‘다도’라는 말은 1960년대에 우리 생활에 파고들었다. 일본 차문화의 고유 명칭인 ‘차도’와, 차를 끓이고 끓인 차를 손님 앞에 내놓거나 차를 마시는 ‘행다’(行茶)를 배우면서부터다. 신라 중엽에 중국의 차문화가 처음 알려졌으나 ‘茶道’라는 말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고, 고려 때도 송의 차문화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茶道’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차’라는 말 외에 ‘茶道’라는 글자가 따로 사용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국가적 외교나 공식 행사, 왕실과 귀족, 사대부들이 차를 마셨다는 기록에도 ‘차’만 있을 뿐 ‘
茶道’는 없었다. 한국의 다도는 일본 차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말이다. 차를 끓이고 마시는 방법 모두 일본 차도를 근간으로 삼았다. 놀라운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한국 ‘다도’의 정체성과 독자성, 그리고 동아시아 차문화의 상징적 명칭인 ‘茶道’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계속돼왔다. 특히 한국의 다도는 중국과 일본의 ‘茶道’가 수천 년 시간을 겪으면서 확립해온 것처럼 보편성과 독자성을 인정할 만한 사료가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이 공식적으로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오랜 역사를 통해 차문화가 확립됐다. 여기에 따라 차문화와 전통을 말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 첫째는 독자적으로 만든 차가 있어야 할 것, 둘째는 그 차를 끓이고 마시는 데 고유의 찻그릇을 갖출 것, 셋째는 차 마시는 법, 즉 차법이 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가 반드시 독자적으로 그 나라의 정체성을 보여주어야만 ‘전통차’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차문화는 어떠한가?

차(茶), 군대 없이 상대를 정복할 수 있는 정신 전쟁의 무기

저자는 수십 년 동안 차문화를 연구하고 발굴해 널리 알리는 작업을 해오면서, 한국 차문화와 그 역사가 똑바로 자리를 잡지 못해 마음 쓰린 지경에 처해온 것을 지켜보았다. 유럽 주요 도시에서는 중국이나 일본 대사관의 문화원이 주관하는 차 관련 행사가 자주 열리는데, 대체로 중국차·일본차·한국차를 동시에 비교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많다. 세 나라의 차인들이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차회를 진행하고 문답 시간이 가질 때면, 주로 한국 차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

한국 차법은 중국과 일본 두 나라 차법과 매우 닮았는데,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한국 차로 볼 수 있냐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시드니, 런던, 파리, 뉴욕 등지에서 모두 비슷한 질문을 받곤 했다. 행사 주관자가 중국과 일본의 대사관이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지만, 단순하게 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한국대사관에서는 이와 같은 행사를 주관한 일조차 없었다. 저자는 우리나라가 실상 차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기호음료 ‘차’는 기원 이전부터 인류의 생활 속에 등장했다. 고대인들에게 차는 생존에 꼭 필요한 약으로 쓰였고, 더 폭넓게는 신에게 바치는 제사음식으로도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 중국 차문화가 전해진 6세기 이후로 차는 신라, 고려, 조선시대 중반 이전 상류층 사람들의 기호음료가 되었다. 중국에서 수입한 차와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차를 두루 마셨다. 중국 차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한국 차문화에는 매우 상징적인 특징이 있다. 손님을 편안하게 모시는 겸손 위에 차살림을 펼치는 행위가 그렇다. 좋은 차를 지성으로 달여 권하는 일을 통해 겸손의 덕을 기르고, 고마움,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다. 차를 내는 사람은 위압적이거나 상대를 불편하게 해서는 안 된다. 정치·경제·사회의 위대한 지도자는 물론 문학과 예술에서도 불멸의 작품을 남긴 이들이 대부분 차에서 큰 힘과 영감을 얻었다.

고려시대에는 ‘중형주대의’(重刑奏對儀)라는 제도가 있었는데, 이는 신하가 중죄를 범해 사형이나 이에 준하는 엄한 판결을 받게 되었을 때 왕이 사헌부 관리와 함께 차를 마시면서 형벌 정도를 토론한 제도다. 판결이 엄정하고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인데, 이때 차는 냉철한 이성과 편향되지 않은 견해를 내는 데 도움을 준다고 여겨졌다. 조선 중엽 사헌부의 ‘차시’(茶時)는 감찰들이 사헌부와 같이 감독하고 검열하는 관청에 모였다가 파하는 것으로, 이는 차를 마시고 파하는 것이었다.

기록을 통해 차를 마시는 것이 휴식이 아니라 업무의 연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업무를 보기에 앞서 정신을 맑게 가다듬고 공정한 판단과 엄정한 일처리를 위해서 차를 마신 것이다. 명분과 체통을 목숨같이 여겼던 조선시대에 관료들이 차와 함께 정신을 다스려 소통하는 자리는 또 있었다. ‘사다’(賜茶), ‘사좌(賜座)의 예(禮)’도 정치적 소통 방법으로서 차가 훌륭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임금과 신하가 한 자리에 앉아 차를 마시면서 여러 문제나 정치적 사안 또는 개인적 소견을 말하는 방법이었다.

동다와 차살림, 동다문화론으로 차문화의 독립을 외쳐오다

저자 정동주는 1966년 처음 차를 마셔본 이래 47년째 차와 더불어 살고 있다. 1980년에 처음 차 만드는 실험을 시작했고, 중국차의 약효와 품격, 일본차의 멋과 맛에 비교해 한국차만의 특성을 밝히고 그 독자성을 구체화시키는 데 긴 시간을 보냈다. 숱한 곡절 끝에 1990년 무렵에 반 발효차의 약효와 차의 품격에 대해 안정된 확신을 얻었고, 중국과 일본의 오랜 차문화를 바탕으로 볼 때 여기에 견주기 위해서는 한국 차문화에만 사용하는 찻그릇과 차 마시는 법도까지 분명히 갖춰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따라 연구를 쉬지 않은 저자는 도예가들과 긴 세월 토론을 거쳐 동다완(東茶碗)이라 불리는 우리만의 찻그릇 형태를 연구하고 만들어냈다. 고된 연구 끝에 동다완은 이제 안정된 형태와 빛깔로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우리 차법을 정립하는 데도 여러 해가 걸렸다. 일본과 중국의 차문화와 함께 놓고 볼 때 한국 차문화에 잘못 배어든 것, 즉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이고 또 어디를 지향해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한 것이다.

그는 한국의 차문화가 중국과 일본의 ‘茶道’가 아니라 혹여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는지, 독자성을 평가할 만한 유산이 남아 있지는 않은지 오랜 시간 추적해왔다. 유장하고 도도한 중국과 일본 ‘茶道’ 역사에 가려 아예 잊혔거나 희미하게 흐려진 한국 차문화의 원형이 없는지 찾아 헤맸다. 그렇게 해서 우리의 토종 인문학이라 할 ‘동다문화학’을 창안했다. 지난 50여 년 동안 ‘다도’와 ‘행다’ 행위를 한국 차문화의 정체성인 것처럼 일컫고 가르쳐온 데 대한 뼈아픈 반성이고, 이를 견디고 이겨내면서 매진한 연구였다.

차 한 잔에 담긴 ‘보태주기, 챙겨주기, 돌봐주기, 보살피기, 섬기기’의 미덕

본디 중국 당나라 승려 교연의 시에 처음 쓰인 ‘다도’가 일본에서 ‘차도’가 되고, 한국은 중국의 ‘차다오’와 일본의 ‘차도’ 사이에서 이도 저도 아닌 차법이 통용됐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동다’ 개념을 정립하고, 한국 차문화의 정체성을 새롭게 탐구한 것이다. 일찍이 차에 탐닉하고 그 정신성을 높이 산 다산 정약용과 초의선사 등 역사 속 인물과 기록의 자취를 따라 우리 고유의 차문화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이렇게 바로 세운 ‘차’의 정신성을 되살려 현대 한국인의 생활에 맞춰 ‘차살림’으로 다듬었다. 내 몸을 살리고, 가족과 이웃을 살리고,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우리 일상에서 ‘보태주기, 챙겨주기, 돌봐주기, 보살피기, 섬기기’ 등을 구체적 방법으로 구현해낸 것이 바로 ‘동다살림’이다.

저자는 동아시아 차문화사 전반에 걸쳐 폭넓은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차와 그릇에 관한 책을 6권 저술했다. 2000년부터 지금까지 13년째 강의하고 있는 주제는 모두 22가지다. 1 차살림론, 2 『백장선원청규』(百丈禪苑淸規), 3 육우의 『다경』(茶經), 4 초의의 『동다송』(東茶頌), 5 이목의 『다부』(茶賦), 6 다례사(茶禮史), 7 그릇의 사회사, 8 불교문화와 차, 9 비교차문화론서양의 차 의식, 한·중·일의 차문화 비교, 10 사림학파와 차문화의 계보, 11 차시(茶詩), 12 차의 효능과 약, 13 헌다의 미의식과 제사, 14 차와 불살생: 채식 세계, 15 찻그릇의 미학, 16 한국 잎차문화의 역사, 17 차와 명상, 18 제다론, 19 한국차문화론, 20 동다살림법 이론과 실제, 21 동다문화학, 22 중국·일본 차문화 체험과 비교론 등이다.

오랫동안 동다문화론을 강의하면서 ‘차문화 독립운동’을 말해온 저자는 차를 통해 우리나라 차문화가 바로서는 것뿐만 아니라 차가 그 자체로 토종 인문학의 씨앗이 되기를, 수입 학문의 열대우림 속에서 온대성 소나무 같은 학문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지은이 소개 정동주
1948년 경남 진양에서 태어났다. 시집 『농투산이의 노래』를 발표하면서 글을 쓰기 시작해, 장편시 『순례자』로 ‘제8회 오늘의 작가상’을 받았다. 서사시 『논개』를 비롯해 대하소설 『백정』 『민적』 『단야』, 장편소설 『콰이강의 다리』 등 40여 권의 시집과 소설을 펴냈다. 마당극 『진양살풀이』와 오페라 『조선의 사랑 논개』를 쓰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 글쓰기 방향을 전환하면서 민족 정체성 연구를 시작했고, 『소나무』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 『어머니의 전설』 『부처, 통곡하다』 등 광범위한 연구 성과를 책으로 발표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오랜 차 생활을 바탕으로 ‘한국의 차 문화’라는 새로운 인문학 분야를 개척했다. 이후 『조선 막사발과 이도다완』을 비롯해 『우리시대 찻그릇은 무엇인가』 『한국 차살림』 『한국인과 차』 등 차와 도자기 문화를 비평적으로 탐구해 꾸준히 책으로 출간해왔다. 현재 한국 차문화학 연구에 매진하며 저술과 강의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사진, 센리큐 역, 이치가와 에비조  /  센리큐 부인역으로 나카타니 미키]

일본 가부키 배우 이치카와 에비조가 최신작 센노리큐역(센리큐)!으로 캐스팅되었다. 나오키 상수상작(리큐에게 물어라)를 영화화 하는데 센리큐 부인역으로는 나카타니 미키. 첫 공동출연이 기대된다는 일본 영화 쪽 사람들은 벌써부터 흥분하고 있다.

[시네마 투데이 영화뉴스]에 의하면 가부키배우 이치카와 에비조가, 2013년에 공개되는 영화(리큐에게 물어라)에서, 주역의 센리큐를 연기하게 된 것이 발표되었다. 본 원작은, 제 140회 나오키상 수상작인 야마모토 켄이치의 동명작을 영화화. 부인・슈우온역에는, 이치카와와 첫 공동출연이 되는 나카타니미키가 맡고, (화천의 성)의 다나카 미츠토시가 메가폰을 잡는다. 2012년 11월 4일

                    [왼쪽부터 후쿠시 세이지, 이치카와 에비조, 오모리 나오, 다나카 미츠토시 감독]

시가현 미이데라 로케-이치카와 에비조(리큐에게 물어라)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역에 오모리 나오, 이시다 미츠나리역에는 후쿠시 세이지가 결정! 2012년 12월 4일. 영화(리큐에게 물어라)

[시네마 투데이 영화뉴스] 이치카와 에비조가 3일, 시가현 오오츠시에 있는 천태사문종(天台寺門宗)의 총본산(総本山)[미이데라]에서, 내년 12월에 공개되는 영화 [리큐에게 물어라]의 촬영을 하였으며, 센노리큐역의 고심(苦心)을 밝혔다. 또한 본 작품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역의 오모리 나오, 이시다 미츠나리역에 후쿠시 세이지가 출연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야마모토 켄이치의 나오키상 수상작을 영화화하는 본 작품. 이 날 행해진 것은 170명의 엑스트라가 참가한 기타노대다도회 씬을 촬영. 어린시절부터 다도를 즐겼다는 에비조지만, 그럼에도 이번 작품에 출연하면서 힘들었던 것이, “다도의 준비”였다고 한다. “여러분 앞에서 보여드리기 위해서, 상당히 연습했습니다.” 라고 밝히는 에비조. 고생한 보람이 있어, お点前 [다도(茶道)에서, 말차(抹茶)를 달여 내는 예법.]에서 히데요시를 놀라게 하는 씬을, 리얼하게 연기해냈다.

에비조는, 센리큐역할을 연기함에 있어 힘든 점에 대해서, 평소 가부키에서는 막이 있어서 끝날 때까지 순서대로 진행됩니다만, 이번 “리큐에게 물어라”에서는 19세부터 69세까지를 연기해야 하지만, 영화는 순서대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기에, 고심하면서 촬영하고 있습니다. 라고 토로. 그러나, 메가폰을 잡은 다나카 미츠토시 감독은, 에비조의 리큐에 관해 [지금 시대에 딱 맞는 새로운 리큐상을 연기해 주고 있습니다.] 라고 대호평을 하였다.

또한 그날, 도요토미 히데요시역의 출연이 발표된 오모리는 [저는 히데요시라는 역을 관백(천황을 보좌하던 최고의 중직)이 될 때까지를 연기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어려운 부분이지만, 앞으로도 계속 열심히 하겠습니다.] 라고 코멘트. 미츠나리역의 출연이 발표된 후쿠시도 [지금까지는 전략가, 전국천하를 가진 미츠나리 이미지 입니다만, 속내 모를 전략가로만 보이지 않기 위해, 감독과 의논하면서 연기하고 있습니다.] 라고 이야기, 이후의 촬영에도 의욕을 보였다.

(리큐에게 물어라)에는, 이외에도 나카타니 미키가 리큐의 아내・센소우온(そうおん)역으로 출연하는 것이 발표되어 있다. 메가폰은 [화장사 KEWAISHI][精霊流し][화천의성]의 다나카 미츠토시 감독이 맡았으며, 각본에는 NHK대하드라마 “천지인”등으로 알려진 코마츠 에리코. 리큐의 감성, 그 세계의 배경으로 다가온 나오키상 수상작에 에비조가 도전하는 의욕작. 감성이 기다려진다. (편집부・시마무라 사치에)

영화 [리큐에게 물어라]는 2013년 12월 전국개봉 예정.
일본 영화 소식 원본 http://www.cinematoday.jp/page/N0048329

공식사이트 http://rikyu-movie.jp/
---------------------------------------------------------------------------------------------------
오늘날 차를 끓여서 대접하는 예절이나 다도라고 불리는 예도(禮道)가 탄생한 것은 이러한 차를 마시는 문화의 보급을 이어받은 무로마치 시대로부터 모모야마(桃山: 16세기 후반)시대에 걸친 일이었다. 와비차의 창조자들 무라타 주코, 다케노 조오, 센노리큐 등은 와비라는 새로운 아름다움의 발견자들이었다. 이 시기에 오늘날 다성으로 추앙받는 센리큐의 일대기가 영화로 만들어진다.

센리큐(千利休 1522 ~ 1591, 천리휴)사카이[堺]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창고 일을 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고 할아버지 다나카 센나미[田中千阿彌]가 쇼군[將軍]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의 측근에서 다도(茶道)에 종사했었다. 가명을 할아버지 이름 센나미[千阿彌]에서 한 자를 따 센[千]이라 했다. 처음에는 다도(茶道)를 기타무키 도친[北向道陳] 에게서 배웠으나 곧 다케노 조오[武野紹鷗]에게 사사하였다. 리큐는 교토[京都]의 다이토쿠지[大德寺]에서 선(禪)을 배웠다.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 봉사하며 다도에 관한 일을 맡아 보았다. 60세 경부터 새로운 각도로 연구하여 다사(茶事) 개혁에 전념하여 그가 좋아하는 취향이 천하에 풍미하고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앞다투어 그의 문하에 들어왔다.

1585년에는 천황 앞에서 다회(茶會)를 시연, 이로 인해 리큐[利休]라는 이름을 천황으로부터 받았다. 1587년에는 히데요시[秀吉]의 신임을 한몸에 받아 위세가 절정에 달하여 일본의 모든 다기(茶器)와 다도(茶道)의 평가는 센 리큐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591년 히데요시와 충돌하여 결국 처벌을 받아 할복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豊臣秀吉(1536 ~ 1598.8.18 풍신수길) 일본의 무장 ·정치가. 오다 노부나가 휘하에서 점차 두각을 나타내어 중용되던 중 오다 노부나가가 죽자 원수를 갚음과 동시에 일본통일을 이룩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1,250만원에서 2,000만원 호가로 나온 것이 1,250만에 낙찰]

서울옥션 경매에서 다도(茶道) 분야 카테고리가 생겼다. 이때까지는 중국이나 홍콩에서 낙찰 받은 결과만을 보고 감을 잡은 입장이라면 이제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거래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보이차나 차도구 소장가라면 매우 반가운 일이다.
2012
116일 서울옥션 부산지점에서 주관한 경매에서 가장 최고가로 경매된 보이차는 람인철병으로 한 편에 1,250만원에 거래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황인 500만원, 0737542400만원으로 거래가 되었다.

[2001년 왕복군 작 자사호]

서울옥션에서 자사호를 다도 카테고리로 나온다면 가장 위험한 부분은 진위여부이다. 그 부분에서는 보이차에서 더 어려운 일이겠지만 보이차는 처음부터 한국이나 중국에서 대단한 안목을 가진 분들이나 대수장가들이 그동안의  경험과 안목을 바탕으로 일정 부분에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자사호 부분은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유명 자사호 작가의 작품을 오랫동안 사용해온 것과 처음부터 보관해온 것이다. 처음부터 방품이 존재해온 입장에서 사용을 하고 있는 것도 많이 있다. 이번 서울옥션 다도 부분 경매를 통해서 좀더 현실적인 수집 풍토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날 경매에서 자사호 부분
최고가는 왕복군
(Wangfuiun) 2001년 작품으로 270만원이다. 그 외 오개허 1999년 작품은 230만원, 장춘금 2006년 작품은 95만으로 거래가 형성되었다. 자사 1창에 제작한 자사호 4점은 240만원에 거래되었다.
그 외 국내 차도구 작가의 작품으로 정재효의 다기와 접시, 신경균의 다기와 단품으로 출품된 숙우 등은 거래가 형성되지 못했다.

다미향담(56) 아사가, 제1회 인급 보이차(남인철병) 차회 후기 http://www.seoku.com/553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