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향다사, 계절의 흔적과 시간의 자취가 남아있는 다심원에서 인생의 쉼표를 찾아 가세요. 다심원에 사랑이 있습니다.

 

책 소개 

사회가 빠르게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차가 갖는 의미는 더해지고 있다. 맹목적으로 앞을 향해 달리는 사람들에게 인류의 기원과 괘를 같이했던 차는 자꾸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탐색하게 하는 것 같다.

 

이런 차를 평생의 업으로 사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는 꽤 있다. 그중 한 사람이 다심원의 주인 이경숙 씨이다.

 

춘천도 강원도의 주요 도시라 번잡스러울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심원은 도로변에서 살짝 들어간 곳에 위치하고 있어 도심에서 조금 벗언난 것뿐인데도 이렇게 아늑하고 한적한 느낌을 가질 수 있구나 하는 감탄사가 연신 나오는 곳이다.

 

이런 곳을 지키는 사람은 또 누구이고, 이런 곳을 찾아오는 사람은 또 누구이며, 이들은 어떤 결을 가지고 인생을 살고 있을까 궁금한 곳이기도 하다. 우리가 느끼는 그 궁금증을 해결해 주는 책이 바로 품향다사이다. 이 책 을 읽다 보면 속고 속이고, 울며 싸우는 이 세상이 있는가 하면 현생에서도 다심원과 같은 피안의 세계가 있을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 것이다.

화려하지도 않으며, 어마어마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인생을 느낄 수 있는 향과 빛을 담고 있는 책이 품향다사이다. 아름다운 향이 나에게서 오래 머무르는 느낌마저 들 것이다. 작가가 선물하는 이 책의 소박한 즐거움을 여러분도 느껴보길 바란다.

 

 

다심원을 지켜온 아롱이와 다롱이

 

출판사 서평

 

다심원을 아십니까?

작가는 늦은 나이에 다심원과 인연이 닿았다. 하지만 이제 다심원과의 인연을 일상으로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하며 살고 있다. 그 흔적들은 다심원 곳곳에서 느껴진다. 계절마다 찬란히 피어나는 꽃들과 다심원의 소박한 인테리어, 도심에서는 구하기 힘든 그녀만의 자연 차 등등을 통해 우리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 이런 다심원을 몇몇 사람들만 아는 것은 아깝기 그지없다. 많은 사람들이 춘천 가는 길에 들러 인생의 한 면을 들여다보는 기회로 삼았으면 좋겠다.

 

인생을 이야기합시다

우리는 세월이 지나며 보호 장구를 하나씩 껴입니다. 타인의 공격으로부터 나를 철저히 방어하기 위해서이다. 정말 타인이 나를 공격하기도 하지만 혹시 있을지도 모른느 공격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 지레 겁을 집어 먹고 보호 장구를 늘리기도 한다. 하지만 다심원에서 우리는 무장 해제됨을 느낄 것이다. 같이 간 사람들과 더불어 나의 인생을 이야기하고, 또 당신의 인생을 들으며 그렇게 기뻐하고 또 슬퍼하며 인생을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그 사연들이 오롯이 담겨 있는 품향다사가 먼 타인의 이야기가 아닌 내 이야기가 됨을 느낄 것이다.

 

당신에게 자연은 어디에 있습니까?

하루하루 바쁘게만 살아가는 당신. 당신은 계절을 언제 느껴보았는가? 느껴본 적은 있는가? 그렇다면 다심원에 가보자. 비록 웅장한 산이 아닐지라도, 드넓은 강이나 바다가 아닐지라도 자연이 내 품안에 들어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인류의 탄생 이래 우리가 자연에서 떨어져 나와 산 것은 불과 몇 백 년에 지나지 않다. 우리의 DNA에는 자연에 대한 동경이 새겨져 있다. 그런 우리의 본능이 다시 살아나는 곳이 다심원이다.

 

향그런 차와 정갈한 음식이 있습니다

다심원의 주인은 혀끝이 날카롭고, 손끝은 단단하다. 계절을 담은 차를 철철이 챙기며 다양한 차로 우리의 시각과 후각을 사로잡는다. 그 뿐만이 아니다. 다심원 주인의 손끝에서 탄생한 정갈한 우리 음식은 세상 어디에 내어놓아도 손색이 없다. 차와 음식이 같이 있는 다심원은 우리의 정신과 몸을 같이 정화시켜 주는 느낌이다. 화사한 테이블에 지인과 마주 앉아 차와 음식으로 서로를 더 가까이 느낄 수 있다면 이보다 더한 행복은 없을 것이다.

 

차례

들어가며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

12달 차와 다식, 다화

흔적 남기기 중에서

품향다사를 마치며

 

저자소개

 

글 이경숙

1954년 강원도 출생. 1990년 차인연합회 석정원 차회에서 9년 과정을 수료하였다. 더불어 1994년 다도예절 강사를 다년간 했고, 1996년 강원도 여성회관에서 배향차회를 설립했다. 1998년에는 사단법인 한국전례원예절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 우라센케 출장소에서 일본 다도 교육반을 수료했다. 2006년과 2010년에는 한림성심대학부설 청소년복지센터와 유아교육과에서 한국전통문화 강사를 역임했으며, ‘다심원찻집은 2008년부터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카페 : 춘천 다심원 http://cafe.daum.net/docsh

 

 

사진 박홍관

차와 관련된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차를 위한 모든 활동을 하기 위해 노력하며 진정한 차인으로 남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차와 관련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차도구의 이해>, <한국현대차인> 외 다수의 저서가 있습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제11회 무아차회 기념 국제학술대회


고연미(순천대학교 강사)는 한․일 煎茶圖(전차도)에 나타난 차문화 비교연구를 발표하였다.

- 朝鮮後期와 江戶時代를 중심으로 -


연구자는 서론에서 “본 연구에서는 차와 관련된 그림에 대한 명칭으로서 차그림(茶畵)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차그림을 ‘茶, 製茶, 茶法, 그리고 차도구를 포함한 차문화를 발견할 수 있는 그림’으로 정의내리고자 한다. 먼저 조선후기와 에도시대의 회화사적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고 조선통신사를 통한 회화교류와 그 영향관계를 알아보겠다. 다음으로 한일 전차도의 유형적인 주제를 산수, 초옥, 야원, 실내로 분류하고, 다로를 중심으로 차 준비하는 사람의 동작을 회화적으로 분석하고, 다법과 다도구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 일 전차도에 나타난 차문화를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특성상 계회도와 같은 기록화와 일본에 전해오는 전차도는 주제논외로 하였음을 밝혀둔다.”고 밝히고 차그림으로서 매우 중요한 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조선후기와 에도시대, 조선통신사를 통한 繪畵교류로 구분하였다.


조선후기 회화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으로 조선적인 화풍과 함께 중국의 차 그림의 구도나 준법, 그리고 인물묘사 등이 유사한 것도 볼 수 있다. 이는 화업 수련의 한 지침서 역할을 한 중국화적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연구자는 정리하였다.


연구자는 조선후기와 에도시대의 탕관과 다로는 서로 차이점이 보이고, 현대와도 차이점이 크다. 먼저 조선후기 차그림에 보이는 다로위에 놓인 탕관은 상파형과 후파형만 보이고 횡파형은 나타나지 않는다. 다로의 모양도 앞면이 둥글거나 앞면이 타원형으로 크게 파인 풍로가 대부분이고 모두 실외에서 사용하였다. 이는 에도 시대와도 차이가 나는 사항이지만 현대의 다도구와도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는 상황이다. 오늘날 주로 사용하는 횡파형 다관이나 통풍구 없이 열린 화로는 조선후기 차그림에 나타나고 있지 않다.고 한다. 비교설명하였다.


- 고연미 연구자의 “한․일 煎茶圖(전차도)에 나타난 차문화 비교연구”는 요즘 전차도에 대한관심과 차그림에 대한 연구자에게는 선행연구지로 역할을 할 것으로 민는다.

----------------------------------------------------------------------------

2007년 10월 13일 원광대학교 송산기념관에서 “세계의 차문화”라는 주제로 제11회 무아차회기념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 학술대회는 공식적인 무아차회 행사를 마치고 오후 2시에 열렸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탈한 찻자리라면 뜰 한구석 소담한 나무 아래라도 좋으리라, 하지만 찻상 놓이는 곳이 실내라면 자연의 풍광도 풍광이려니와 여러 주변 기물들이 茶香을 더욱 높혀 주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단촐한 찻상마련이 아니라 주변의 살림이 눈과 마음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라라. 그 중에서도 차(茶)와 관련된 그림이나 작품이 있다면 어우러짐의 최고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글씨와 그림은 의미가 있어야 역할을 하는 법이다.

이 작품은 석촌 윤용구의 보기 드문 풍경화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석촌 윤용구의 작품은 글씨나 사군자인데 이 작품은 수림(樹林) 초옥을 묘사하였고 특히 그 주제를 차로 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 해 그름녁에 한가롭게 책을 보며 차를 마시는 심경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이 작품은 석촌 선생의 차에 관련한 희귀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작가 : 윤용구 [尹用求, 1853~1939]

본관 해평(海平). 자 주빈(周賓). 호 석촌(石村)·해관(海觀)·장위산인(獐位山人). 1871년(고종 8) 정시문과에 급제, 검열(檢閱)에 임명되었고, 예조·이조 판서를 지냈다. 법부·탁지부·내무 대신에 10여 차례 임명되나 모두 사절하고, 서울 근교 장위산(獐位山) 밑에 은거하였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나 해서·행서·금석문(金石文)을 많이 썼으며, 죽란(竹蘭)도 잘 그렸다.

국권피탈 뒤 일본정부가 남작을 수여하려고 하였으나 거절했던 일화가 있으며. 유묵이 남는 것으로 《문간공한장석신도비(文簡公韓章錫神道碑)》(果川) 《선성군무생이공신도비(宣城君茂生李公神道碑)》, 그림에 《묵죽(墨竹)》 등이 있다.

수점구서(手點舊書) - 손으로는 오래된 책을 집어드니

설감신차(舌감新茶) - 햇차가 입안에 감미롭다

명색입누(瞑色入樓) - 저문 노을 빛이 누각을 물들이니

극목귀아(極目歸鴉) - 눈은 집으로 돌아가는 까마귀를 쫓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