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다회에서 시음한 차

 

차의 종주국은 중국이다. 차문화의 유형을 구분해 보면 모든 것은 중국에서 시작되고 이웃나라에서 모방하는 과정에 자기 나라의 관습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형태로 발전한다.

 

돈을 내고 마시는 차관의 형태도 중국과 한국은 다르다. 중국은 매우 자유분방하면서 서민들이 이용하는 차관과 사회적인 위치를 가지면서 유통되고 차의 고급문화를 향유하는 차관이 있다. 한국에서는 전통찻집이라고 하면서 매우 고루한 전통을 고집하다보니 대부분 문을 닫았다. 그나마 차관으로서 위치를 가지고 그 지역의 문화 중심에서 한 축을 형성해 나가는 곳은 중국차 전문점으로 볼 수 있다.

 

2015년 대평보이차의 대평통보

 

필자가 현장에서 경험한 범위에서만 보면 중국차를 전문적으로 취급한 곳은 불황임에도 꾸준하게 성장하는 곳이 있다. 값이 비싼 차를 많이 팔아서가 아니라 카페를 운영하면서 젊은 층부터 중년까지 다양한 회원을 확보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조금씩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는 곳은 서울 마포구에 있는 라오상하이(대표 박주홍).

 

라오상하이를 처음 만난 시기는 4년 정도 되었는데, 그때는 중국 문화 체험을 통해서 차문화를 보급하는 수준이었다. 중국어나 중국 악기를 공부하는 곳과 찻집이 한 곳에서 구분되어 운영했다.(이번 리뷰는 고운다회의 성격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정리하고 품다회 리뷰는 다시 한 번 참여하여 기록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마포구로 이전하여 새롭게 운영을 하고 있는데, 고운다회라고 하여 매주 목요일 7시에 다회를 가진다. 찻값 정도의 회비로 그날 만난 인연들과 5-6가지의 차를 마신다.

 

대평보이차 임희첨 대표(수제차와 기계차를 설명)

 

매우 합리적인 운영 방식인데 이것은 오롯이 박주홍 대표가 차를 보급하겠다는 의지의 일환이다. 이날 모두 처음 만난 분들이지만 이곳에서 대평보이차 임희첨 대표를 만나 1993년 12월부터 중국 운남에 가서 차를 만들게 된 과정을 직접 들을 수 있었고, 최근 보이생차의 유행에 대한 현지 상황도 알 수 있었다. 처음마신 차는 서호용정이고 두 번째는 2015년 대평보이차의 대평통보, 2003년 숙빙전의 파카명전, 무이암차, 2009년 천가채, 이무정산 무원호 등이다.

 

목요일 차회에서 차를 내는 우천 조명숙 선생

 

이날 차회에 참석하게 된 계기는 지난 번 라오상하이 박대표를 만났을 때, ‘매주 목요일에 나이 드신 차 선생님이 직접 봉사하시는 분이 계신다고 해서 참석하게 되었다. 어떤 분이기에 매주 마다 한 번씩 늘 차 봉사를 하시는가 하는 것이 궁금했다. 주청 선생이 직접 가지고 온 차와 고운다회에서 제공한 차, 손님이 가지고 온 차를 같이 마시면서 2시간 동안 담소하며 세상의 차 이야기를 나누는 곳이다.

 

이날 강원도 평창에서 오신 부부는 필자의 저서인 자사호이야기에 대한 소감을 말하면서 더욱 친근감 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고, 필자는 어떻게 그러한 방식의 편집을 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7가지의 차를 마시고 난 후 헤어질 무렵, 대평보이차 임대표는 이날 마시고 남은 차 중 자신이 만든 1996년 남나산 차를 편지봉투에 넣어 건네주었다. 이 차는 판매는 하지 않고 자신이 출장 갈 때 가지고 다니면서 마시는 차라고 한다. 그리고 평창에서 오신 부부도 편지봉투에 담아온 차 두 가지를 필자에게 선물로 주었다. 이렇게 받은 차는 어제 오전에 마신 후, 전화와 카톡으로 각각의 소감과 함께 감사 인사를 드렸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신촌에 있는 라오상하이라는 곳을 찾아갔다. 2009년 12월 지유명차 대남인 시음장에서 만나서 알게 된 삼정다헌 안병일 선생을 만나기로 했는데 이곳이 약속장소였다. 처음엔 필자가 잘못 들어왔는 줄 알았다. 찻집만으로도 볼 수 없는 문화공간이었다.

서울 신촌역 3번출구 쪽에 위치한 중국 차관으로 중국차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안선생은 칭찬을 많이 한 곳이다. 이곳은 입구에서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면 왼쪽은 중국 문화를 배우는 곳이고, 오른쪽은 중국차 전문점이다. 라오상하이 대표는 향후 중국차와 문화를 한 곳에서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곳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사진, 중국차를 마시는 곳]

이곳에서 약속을 한 안선생은 자신이 만들어온 차도 이곳에 전시되어 있지만 다른 여러 종류의 차들도 좋은 것이 많다고 한다. 안선생이 만들어 가지고 온 차는 “빙도”다 09년 차가 빙도 1호, 09년 이전에는 그 지역이아주 오지였는데 수력발전소가 생기면서 길이 좋아졌다고 한다.

그 곳에서 만든 차와 1994년 개인이 제작한 남나산 차산에서 만든 차다. 각각의 개성이 뚜렷이 나타나지만 1994에 만든 것이라고 하는 차가 화향에 밀향이 첨가된 것 같은 맛이 깊게 베어나온다. 고삽미를 좋아할 만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즐길 수 있는 것으로 그 맛이 살아있다. 지나온 세월을 보면 16년 정도이지만 맛을 음미하고 탕색을 보면 보이 생차를 못 먹는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주는 차였다.

문화와 차를 같은 곳에서 향유한다라는 말은 어쩐지 후진국스럽지만 결국 차문화가 함께 어우러진 중국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라는 표현이 옳겠다. 이곳은 중국 한족 대학생들을 아르바이트로 쓰고 있고 그에 대한 중국 본토에서의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가 있다.

이제 또 한 번 중국차의 세계는 한국의 도심지에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들의 입맛에 맞는 중국차들은 과연 어떤 것일까? 우리의 입맛과 다른 것은 분명하고 그에 따라 차의 종류, 그리고 차의 등급 또한 점점 더 확대되어 나갈 것이 분명하다. 이제 시작이다. 이제 한국의 중국차 문화와 그 지평이 넓어져 가는 것은 이런 공간이 점차 확장되면서 또다른 문화의 이색적인 범람이 예고되고 있는 것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