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9회 국제차문화대전에 참여하기 위해 내한한 두기차창 대표 陳사장을 그의 한국 파트너인 “공부차(대표 박성채)”에서 만났다. 필자가 조금 늦게 도착하니 이제 막 찻자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조금 의외의 자리였다.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보면 팽주 자리에 박성채 대표가 않아있어야 하는데 두기 사장이 팽주자리에 앉아 있었던 것이다.
박사장이 차를 내려고 하니 50년대 노차를 준비해 왔는데 이 차는 본인이 직접내어야 제대로 된 맛을 낸다고 하며 팽주 자리를 차지했다고 한다.

그것은 필자의 경험으로 볼 때, 차에 있어서는 자신감이 꽉차있을 때이다. 스스로 손님입장으로 대접을 받기 보다는 좋은 차를 준비해 왔으니 차 맛을 대접하고 싶은 것이 더 우선되었기 때문이다.
 
흔히 노차는 대만이나 홍콩에서 취급하기에 중국 본토에서는 노차의 진기를 맛보지 못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고 필자역시 중국에서 보이차와 관련된 사람을 만났을 때 그렇게 느낄 수 있었다.  
[사진설명, 두기차창 진 사장은 보이차를 맛있게 마시기 위해 세차 개념이 아닌 잠을 깨우는 방법의 시연] 하지만 두기 사장이 한 잔 내는 보이차의 맛은 상업적 가치의 잣대로 이름을 말하면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이 아니라, 이런 맛 때문에 보이차를 찾게 되겠다는 생각이 들게끔 깊은고삽미의 품 삭은 맛에서도 깊고 풍부한 미감을 살려주었다. 그는 여러가지 차를 우리에게 대접하면서 보이차의 효능을 강조하지는 않았다.

한 가지 질문을 했다.
필자 : 한국에서 흔히 골동 보이차 애호가들은 골동 보이차가 아니면 소장가치가 없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다. 요즘 만들어 나오는 생차에서는 훗날 이런 깊은 맛을 기대할 수 있는가?

두기 : 본인은 차를 만들기 이전에 자사호를 먼저 취급을 했다. 자사호에서 니료가 중요하고 니료에 따라서 맛도 달라질 수 있다. 지금 골동 보이차라고 하거나 30년 전후에 생산된 보이차는 현재와 같은 좋은 재료로 잘 만들어진 보이차와 비교한다면 요즘 것이 더 좋은 재료로 만든 것이 있다. 그런 차류에서는 30년 전에 만들어진 것 보다 더 좋은 맛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 : 자사호나 개완에 차를 넣고 처음 차를 깨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어떻게 하는가?
두기 : 개완인 경우 차를 무조건 뜨거운 물을 부어 세차하는 기분으로 하기 보다는 50-60도의 온도로 조금 부어 버리고 7-80도 물을 부어 세차하고 그 뒤에 뜨거운 물을 부어마시면 차에 잡내가 있는 것이 빠져나간다. 자사호에서는 차를 넣고 뚜껑을 덮은 상태로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우면 차호 안에 있는 차에서 나오는 잡내가 차호 밖으로 빠져나간다.

이런 이야기를 필자로서는 처음 듣는 이야기며 실제 하나하나 시연을 보여주면서 실험을 해보았다. 차도구의 사용 그냥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적인 견해로 볼 때 저 자신이 많이 연구해야 할 부분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보이차의 맛이 이렇게 변하는구나라는 것은 차를 음미한 뒤였고 차를 깨운다라는 말이 그저 스쳐지나가는 관형사가 아니라 와인에서 말하는 시간과 온도에 따른 본성의 일깨움처럼 보이차를 마시는 기술도 엄연히 존재함을 다시 한 번 느꼈다.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개정 증보판> http://seoku.com/442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茶, tea)에서 진정한 맛을 본다는 것은 개인적인 맛에 대한 느낌과 기억에서 시작된다. 모든 사람의 식욕이 다르다는 것은 그동안 살아온 삶의 모습이 다른 것과 같다.

 

차를 접하면서 나눌 수 있는 대화의 장은 사람의 성정에 따라 제각각이다. 그래서 보이차를 두고는 절대 미각은 없는 것이다.

어제는 명가원에서 말하는 ‘대황인 산차’라는, 이름보다 더 가치있는 보이차의 깊은 맛을 보았다. 형태로 보아 산차라고 해야 할지 모르지만 차 이름과는 상관없이 발효차의 의미를 논할 수 있고, 진년 보이차의 진기를 엿 볼 있었다.

나는 산차와 가루가 섞인 형태의 차인 줄 알고 그 차를 맛보고 싶다는 말을 하고 찾아갔다. 가루는 보이지 않았고 산차 형태지만 차의 양을 아주 많이 넣고 우리게 되었다. 진국이라고 할 정도의 깊은 색상을 보여주었다. 탕색과는 달리 차 맛은 걸작이다.

오랜 시간 입안에서 감도는 깊은 맛을 잃지 않으려고 저녁 식사 시간을 늦추기도 하였다. 그날 만큼은 보이차에 숫자 이름 달고 있는 차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이런 차는 000차라고 하는 계급장이 없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이런 맛을 보려면 차 값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마셔야 하는데 그냥 대접받기에는 미안할 뿐이다.

흔히 차 맛을 감별한다고 아주 연하게 마시는 사람들에게는 거리가 먼 차라고 할 수 있겠지만, 순수한 차 맛을 즐기는 소위 꾼들은 농하면서 오미가 뒤섞힌 듯한 진하고 강한 맛에, 그동안 잠재웠던 미각을 깨울 수 있을 것 같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