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목다완(天目茶碗)은 예로부터 은하수를 보았다고 할 만큼의 영롱한 빛이 차와 함께 드러남에 찬사와 감탄을 겸하였다고 합니다. 그 당시 보기에도 드물었던 천목, 그저 검은 흑유가 아니라 반짝이는 별빛을 느끼리만치 반짝였고 세월이 지나 지금에 이르러서는 그러한 천목이 우연이 아니라 과학적인 유약과 불의 조화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천목은 다양한 발전을 하는 가운데 영롱한 빛을 더하고 마치 장중한 불꽃놀이에서 화려한 공작의 펼친 깃과 같은 오색찬란한 광경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말차를 마시거나 또는 청차를 담아도 그 안에서 금빛으로 빛나는 찻물을 본 경험이 있다면 그야말로 이번 전시의 초대는 헛된 일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이번 전시의 주인공인 김동열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을졸업한 공학도 이었지만 지난 IMF로 인한 사업 실패후 바로 도자기 작업에 뛰어들어 현재 13년째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천목다완 작업은 맹목적으로 우연에 의지하기 보다는 과학적 탐구가 50% 이상 되어야 작품이 되기에 그의 적성[공학도]에도 맞았으며, 불과의 치열한 데이터 작업을 통해 장작 가마를 사용하기 보다는 현대적 설비로 불을 다뤄 작품을 세상에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제6회 부산국제차어울림문화제 초대전, 부산문화회관 전시실, 9월30일-10월2일]

필자가 김동열의 작품세계를 가까이서 알게 된지도 3년이란 세월이 흘렀습니다. 짧은 기간에 그는 열정적인 삶으로 작품에 혼신의 힘을 기울인 그에게 존경의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루하루 새로운 작품세계를 구현해 나가고 있는 바로 현시점에서 부산차문화진흥원(대회장 이미자)에서 천목다완 특별전을 펼친다는 것은 우리시대에 새로운 다완을 선보일 것으로 확신합니다.

지금까지 수많은 천목의 세상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중국 도요지에서의 천목생산, 더 나아가 일본 작가들의 참여 속에서도 천목다완이 만들어졌습니다. 수많은 실패작과 아울러 한 두 점의 천목이 세상에 태어나기도 했고 유약개발과 가스가마의 설비로 일정한 천목들이 만들어져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김동열의 천목다완을 볼 시간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전의 천목다완과 이 시대의 천목다완이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는지 더 나아가 우리 찻자리에서 반짝이는 감동을 줄 수 있는 천목다완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볼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더욱 깊어 가는 가을, 정겨운 찻자리에서 그 반짝임을 마주하고 싶습니다.        
                                                             - 석우
----------
이 글은 김동열 작가의 요청으로 전시회 초대장에 <초대의 글>을 요청받아 쓴 내용입니다.
석우연담 독자 여러분에게도 알리기 위해 올립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제6회 부산국제차어울림 문화제(대회장 이미자)는 2011년 9월 30일-10월2일까지 문화회관에서 다양한 차행사를 가진다. 이번 행사에서 천목다완에 대한 기획전으로 가칭 "과거와 현대의 비교 작품전(송대 명품 천목 다완과 토담요 김동열 천목다완)의 기획이다.

송대 건요에서 생산된 토호잔, 유적천목, 목엽천목 등 천목다완으로서 수작을 공개적인 장소에서 감상할 수 있는 기회이다. 그 동안 차인들 속에서 우당 선생의 천목다완 소장품에 대한 내용은 소문은 익히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작품 한 점 한 점이 수작으로 개인 소장품으로서는 만나기 어려운 작품이다.

이번 전시는 주최측에서 과거의 명품과 현대 도예가의 작품을 비교 전시하는 것이 주된 컨셉이다. 송대 천목다완과 현대 작가가 재현하고 있는 천목다완의 비교전시가 특별 기획되었다. 이러한 전시는 일본에서는 과거 조선시대 만들어진 명품 다완과 비교전을 하는 경우, 또 국내에서 2002년 도자기 엑스포 때 조선시대 명품 다완을 한국에서 전시하며 우리나라 사기장들의 작품도 관람할 수 있는 전시도 있었다. 다만 그 당시에는 일본에 건너간 일본 차도구인 정호다완만을 전시한 것이며 우리의 다완이 비교전시된 경우는 아니었다.

차의 메카 부산이기에 또한 이러한 시도가 가능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그러한 명품을 소장하고 있는 소장가로서 부산시의 행사에 선뜻 전시의 기회에 흔쾌히 응낙해 주신 우당 선생의 결단은 문화라는 것이 한 개인의 소유를 넘어 문화를 향유하는 모든 사람들이 주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신 용단이라 할 것이다.
--------------------------------------------------------
2011년 8월 20일 
집행부로서는 문화회관 전시실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좀 더 큰 전시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한다. 천목다완 소장자 중에 김성태 선생이 500여 점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는 말을 듣는 순간 필자의 생각은 최근 월간다도에서 건요 천목다완과 남송 경덕진요 청백유 잔탁에 대해서 기고하는 유물 소장가 김성태 선생의 소장품이 거론되는 것으로 보아 소장자와 집행부의 의견이 일치되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상기의 글은 최종적으로결정이 나면 다시 공지하겠다.
--------------------------------------------------------
2011년 8월 24일 집행위원장에게 전화를 했다.
일요일 필자는 선약이 있어서 함께 만나지 못했지만, 김성태 소장가와 만남이 있었는지? 500여 점의 천목다완 소장품을 전시하기로 했다면, 우당 선생의 전시 참여가 성립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필자도 예전에 많은 소장품을 전시해 보았기에 소장가로서의 생각은 다를 수 있다. 근데, 이경순 집행위원장의 답변은 오늘 문화회관 전시실에서 김동열 작가와 우당 선생을 함께 만나서 전시하기로 결정을 보았다고 한다. 필자로선 이해하기 어려운 결과를 들었지만, 재미있는 현상이다.
우당 선생은 지난주에 필자와의 통화에서 보안상의 문제와 집행부의 여러가지 어려움을 감안하여 10점을 전시하기로 했다. 결론적으로 김성태 선생은 전시장 규모에 맞게 500여 점의 천목다완으로 시대적인 변화와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보여 줄 수 있기에 큰 규모의 전시가 요구되는 행사에 맞게 집행부와 의견일치를 본 것 같다. 이런 경우, 전시가 성립될 수 없지만 우당 선생의 최종적인 결정을 직접듣고 싶어진다.
-------------------------------------------------------
2011년 8월 25일
우당 선생은 김동열 작가를 통해서 전시를 함께 하기엔 부담스럽다는 마음을 전했다고 한다.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개정 증보판> http://seoku.com/442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