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양연암에서 사용하는 호

대구 연암다원이 서울에 직영점을 오픈한다. 아직 간판을 달지는 않았지만, 찾아간 곳이 계동이다. 하동에서 생산된 올해 햇 녹차를 녹차답게 한 잔 마셨다. 그리고, 70년대 광운공병, 오랜만에 단단한 차 맛을 볼 수 있는 아주 재미난 시간이었다. 서울 종로구에 또 하나의 명소가 생긴 긴 것 같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필자의 차견문록 시리즈 열번째가 출시되었다. 중국 차문화에 많이 편중되었지만 차의 선진국 중국을 탐구한 실질적인 연구였기에 <차 견문록>이라는 컨셉으로 총 10권을 만들었다. 그 마직막을 소개한다 

참고로 차견문록 시리즈는 종이 책으로는 발행되지 않았다. 처음부터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는 앱북으로 제작되었다. "Play스토아"에서

차견문록 검색하면 10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 2004년 필자가 탐방했던 차 재배지들의 문화적 성향과 정서에 따라달라진 차 문화에 대해 탐구한 내용을 소개 ★ 일본을 제외한 한국, 중국, 대만, 홍콩의 대표적인 차관(찻집)을 소개

 

▶ 25년의 기록, 세계 각국 차 생산지의 보고!

현대인들이 즐겨 마시는 기호음료 가운데 가장 동양적인 음료로 차(茶)를 꼽는다. 북이십일에서 출간하는 <차견문록> 시리즈는 차(6대 다류 : 녹차, 백차, 청자, 황차, 흑차, 홍차)의 모든 것을 담아 총 10권으로 구성되었다.

저자는 국내차로 시작해, 중국차, 일본차까지! 25년 간 헤아릴 수 없을 만큼의 차를 마시고 세계 각국의 차 생산지를 찾아 다녔다. <차견문록>시리즈는 그 모든 기록을 엮은 것으로, 여러분이 알고 싶은 차에 대한 정보 그 이상을 전할 것이다.

 

▶ 동양의 차관문화!

2004년 필자가 방문했던 당시 탐방했던 차 재배지들의 문화적 성향과 정서에 따라 달라진 차 문화에 대해 탐구한 내용을 일본을 제외한 한국, 중국, 대만, 홍콩의 대표적인 차관(찻집)을 통해 소개한다.

 

프롤로그

들어가기

01. 차관이란?

02. 한국의 찻집

03. 미래의 한국 차 문화

 

1장. 한국의 차관

04 부산 비비비당

05 대구 연암다원

06 경주 아사가

07 서울 두레차

08 부산 정화당

 

2장. 중국의 차관

09 항주 화차관

10 노상해차관

11 산동성 옥림다예

12 광동성 자원차관

13 심천 보이창차관

14 광저우 부자원차관

15 광동성 다예낙원

16 호남성에서 만난 흑차

17 운남성 보이민족다예관

 

3장. 홍콩과 대만의 차관

18 홍콩 클리퍼 라운지

19 홍콩 페닌슐라 호텔

20 대만 쯔텅루

21 대만 차차테

 

4장. 중국 차관의 변화

22 대홍포 모수 주변 찻집의 변화

23 청하방 옛 거리와 태극차관

24 대당 공차원의 차관

 

5장. 손님 접대

25 공부차 마시는 법(1)

26 공부차 마시는 법(2)

27 공부차 품음 예절

 

에필로그

 

차견문록 시리즈 1권 행복을 저축하는 보이차 http://seoku.com/599
차견문록 시리즈 2권 중국명차 33선 http://seoku.com/608
차견문록 시리즈 3권 대만차문화여행 http://seoku.com/551
차견문록 시리즈 4권 자사호 이야기 http://seoku.com/548
차견문록 시리즈 5권 차도구의 세계 http://seoku.com/559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연암다원 채계순 선생의 차탁과 그의 도구]

오랜만에 방문한 대구 연암다원, 그의 개인 차실은 현재 국내에서는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는 곳이 없다고 할 만큼 독창적인 공간이다. 그리고 모두 연암 채계순 선생을 생각할 때는 연암 다원 주인 또는 중국차 선생으로 알고 있다. 채계순 선생은 외국인에게 아니 외국에 나가서 보여줄 수 있는 우리나라 차의 행다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만 차회에 참여하여 발표한 행다법과 그동안 연구한 다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방문하게 되었다.

평소 같으면 차를 마시면서 이거 무슨 차예요 하고 물었을 것이다.

근데 그 날 마신 차는 그렇게 물어보고 싶지가 않았다. 분명한 것은 보이차이지만 차성이 아주 귀한 맛이었다. 그래서 굳이 보이차 중에서 숫자가 들어가는 번호를 말하고 싶지 않았다. 차를 다 마시고 카메라를 챙기면서 엉겁결에 아차 하면서도 자발없이 질문을 던진 말.

“방금 마신 보이차 맛이 좋은데 어떤 차인가요” 

8582라고 한다. 필자도 보이차 8582라면 세상에서 잘만들었다고 하는 차 중에서도 최상의 조건에서 보관하고 있는 것 대부분을 마셔보았다고 할 자신이 있는 차인데, 순간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냥 물어보지 말걸!

왜 그런 마음에 그런 말을 내놓았을까. 그만큼 좋은 차에 대해 굳이 이름도 알 필요가 없었을 것을. 그 이름이라는 것에 지배받는 선입견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필자 스스로도 알고 있으면서 왜 그렇게 어리석은 질문을 던졌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필자가 이런 기록을 석우연담/다미향담에 흔적을 남기는 이유는,
만들어진 숫자보다 순수한 진정성이 베어있는 차 맛을 보았기 때문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복건성 무이암차의 대표적인 차를 대홍포라고한다. 나는 여러 차례 무이산을 가보았다. 무이암차의 다양한 제조 기법을 보면 농가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홍포의 생산 시기는 육계나 수선의 생산을 마칠 즈음인 6월 정도에 만들어진다. 그런데 5월만 되면 대홍포 햇차라고 하는 차들이 생산되었다고 무이산 주변에서 판매를 한다.

요즘은 유통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으로 확인하고 물건을 보내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차꾼들이 말하는 대홍포는 그 시기에는 나올 수 없다. 그래서 대홍포를 찾으면서 햇차에 고집을 피울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작년 2007년 이맘 때쯤으로 기억한다. 대구 연암다원 채계순 선생님과 차실에서 마신 대홍포 노차는 차가 세월이 지나면서 나는 깊은 풍미가 가득한 차였다. 차마다 그 차의 품성에 맞는 풍미를 가지고 있지만, 그 날 그 맛은 암차로서의 특별한 노차 맛이었다. 참으로 진맛이었다. 물론 모든 차가 오래된 것이 좋다는 것이 아니다. 그때 시기별로 마실 수 있는 차가 좋은 차다. 하지만 오래두고도 보관을 잘 하면 차의 새로운 깊은 맛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09년 3월 12일 저녁 8시에 대구에서 일을 마치고 동대구역으로 가기 전, 채계순 선생께 전화를 드렸다. 잠시 찾아뵙겠다는 말씀을 드리고 갔다. 영천에서 천연염색하시는 분과 또 다른 남자 두 분과 동석을 하고 차를 마시게 되었는데 대홍포를 내어 주셨다. 이 시기에 나오는 차는 지난 세월에 만들어진 차이다. 3월이면 차가 고프다는 말을 할 시기지만 지난 차를 그렇게 맛나게 마실 수 있는 것은 차꾼들끼리는 복이라고들 표현하곤 한다. 그러니 그 맛의 여운이 오래 남을 수밖에 없다.

 흑차를 제외한 차로서 청차 계통이면서 묵히면서 즐길 수 있는 차, 나의 개인적인 취향은 민북오룡차이다. 특히 무이암차 계열은 차의 수종을 떠나서 그 지역 차의 성질이 나에게 맞는 것 같다. 꼭 대홍포가 아니라도 정직하게 말하면 값이 비싼 대홍포가 아니라도 값은 저렴하지만 내 입맛을 충족시켜 주는 고유한 암운의 맛을 가지고 있는 차. 꼭 정암차가 아니라도 무이산 자락에서 자란 암차는 얼마든지 많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이암차를 영원히 즐기게 될지 모르겠다.

다음으로 마신 차는 보이차이다. 고산미가 아른하게 느껴지는 차다. 이런 차를 마시면서 굳이 차의 이름을 거론할 필요는 없다. 보이차를 찾는 이유가 이런 류의 맛 때문이 아니겠는가? 요즘 보이차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눌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다. 노차의 맛 자체가 무엇인지 모르고 보이차를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잘못하다간 봉변만 당할 수 있다.

차가 고픈 계절에 한껏 좋은 차를 마시고 돌아왔다. 침향의 여운도 함께 담아왔다.
늘 좋은 차와 향을 대접 받고 오게 되니 그 빚을 언제 갚을 것인가도 고민된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