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청곡 김시영, 차도구 전]

청곡 김시영(가평요 운영) 사기장은 우리나라에서 흑유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차도구를 만들어왔다. 초기에는 중국 천목다완을 재현해 보겠다는 열정으로 6개의 가마를 이용하여 매일 하나의 가마에 불을 지폈왔다. 이제는 다완 뿐 아니라 전차용 다기를 다양하게 제작하고 있다. 작년 12월 전시후 3개월만에 가진 이번 전시는 그동안의 전차다기 작업 유형에서 조금 변화를 준 것으로 중국 용산문화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호의 형태를 선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뚜껑있는 다식 접시]

다완 일변도에서 주는 변화는 결국 한국 차 시장이 말차 문화가 확산은 되고 있지만 대중적으로 자리 잡기는 어려운 것이기에 말차를 마시는 도구인 다완만으로 작가의 역량을 다 펼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 날의 전시는 더욱 간절한 기다림이었는지 모르겠다.

평소 청곡 선생의 독창적인 작업세계의 특장점은 그가 살고 있는 가평 지역의 자연환경적인 재료를 최대한 이용하고,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재료의 변화와 응용으로 중국 천목 다완의 새로운 해석으로 만들어가기에 나는 청곡 선생의 전시라면 늘상 새로운 작품을 기대하게 된다. 나는 한국에서 흑유의 깊은 맛은 2003년 <찻잔이야기>를 집필할 때 그가 보여준 흑유 찻잔에 감동을 받았기 때문에 찻잔이 백자나 분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꼭 다완에서만 흑유의 진가가  나온다고는 생각하지 않게된 계기가 되었다. 이번 청곡 차도구전에는 이제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인화랑 전시장 내,  전시작품]

예전과는 작품성이 많이 달라진 것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다완 보다는 다관과 찻잔이 많다는 것이다. 세월이 변하면서 삶의 질곡을 견디면서 변화된 것 같다. 청곡만의 작품 세계에서 이번에 특별한 색을 보는 것은 흑유의 일종인데 중국 균요의 느낌이 나면서 푸른색을 띈 다관이다. 물이 나오는 부리부분과 손잡이의 매칭에서 좀 더 우연함이 결합된다면 또 하나의 작품성이 평가 받을 것으로 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로운 형태로 조형한 다관]

이번 작품이 과거 2-3년과 다른 점은 다완 뿐 아니라 말차를 하는데 필요한 茶入(차입, 차이레), 화병, 물항아리, 다식접시 등이 용도에 맞게 선보이는 것, 다관이 국내 자료에서 한계를 느끼고 중국 자료에서 응용하는 것이 과거와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전시를 하면서 그는 늘 배움의 자세로 손님을 맞는다. 2월 11일 오픈 행사가 성황리에 치루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하니까 그는 날 보러 온 사람보다는 오픈식에서 김성태 선생님의 도자기 특강을 듣고자 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스스로 내세우지 않고 겸손한 면이 오늘 날의 청곡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한국 차도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중국인의 정서에 부합하는 기형만으로는 한국 차도구가 설 자리는 요원하다는 생각을 떨칠 수는 없다. 더 진보 하기 위해서 새로운 것을 찾기 위해서는 중국 용산문화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기 보다는 우리 정서에까지 이어져 나올 날을 기대한다. / 전시일정 2월 11일 부터 일주일, 장소 인사동 통인화랑

차도구의 이해
국내도서
저자 : 박홍관
출판 : 형설출판사 2013.09.25
상세보기



석우.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한국 차도구 조형성에 관한 연구(잎차용 다기 도자 다관을 중심으로) 논문 발표가
2008년 7월 26일 부산디자인센터에서 국제차문화학회 주최로 열린 부산 차 심포엄에서
장기덕(동부산대학 겸임교수/ 청봉요대표) 사기장의 발표가 있었다. 연구 논문에서 다관의 종류를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는데, 발표문에서 다관의 종류만 옮겨보았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꼭 전통에만 의존하지 말고 차도구를 제작하는 분들의 다양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발표자는 현업에서 작업하는 입장에서의 고충이 발표문에 나온 그의 작품에서 묻어나는 것을 엿 볼 수 있었다.
----------------------------------------------------------------------

다관의 종류

1) 일반형 다관

손잡이 부착 위치에 따라 옆 손잡이 다관, 윗 손잡이 다관 , 뒷 손잡이 다관으로 구분한다.옆 손잡이 다관은 다병(:茶甁)이라고도 하며, 물대를 중심으로 손잡이가 옆으로 직각을 이루는 있는 다관으로 횡파형 다관(橫把形茶罐)이라도 한다.

윗 손잡이 다관은 일반적으로 다관(茶罐)이라하며 손잡이가 위에 있는 다관으로써 상파형 다관(上把形茶罐)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뒷 손잡이 다관은 다호(茶壺)라 하기도 하며 물대를 중심으로 대칭된 뒤편에 손잡이가 있는 다관으로 후파형 다관 (後把形茶罐)이라 하기도 한다. 중국다기와 중국차를 많이 선호하는 경향으로 영향으로 뒷손잡이 다관이 성행하고 있다.

2) 간이형 다관

간이형 다기는 부피를 줄여 휴대하거나 보관하는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일인용 다기는 모두 손잡이가 없으며 용수다관과 귀때다관이 있다. 용수다관은 컵 형태로 된 겉잔과 거름망으로 된 속잔과 뚜껑으로 되어 있으며, 용수모양 의 속잔에 차를 넣고 더운물을 부어 뚜껑을 덮고 차가 우러나면 속잔을 들어내고 마 시면 되게끔 편리하게 쓸 수 있다.

" 안에 담긴 액체를 따를 수 있도록 그릇 입술의 한쪽을 삐죽이 내밀은 것 "을 귀때(注口)라 한다. 귀때 다관은 귀때 달린 몸통과 뚜껑 그리고 뚜껑 위에 엎어 놓은 잔으로 되어 있다 . 귀때의 형태에 따라 세모 귀때, 편구(片口) 귀때, 주자(注子) 귀때 등 여러 가지로 나눠어 진다.

세모 귀때는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이며, 귀때의 모양이 세모라서 세모 귀때라 하며, 편구(片口) 귀때는거름망 없이 위쪽이 반이 트인 반원통 형태의 귀때 다관을 말한다. 원통형의 부리가 달려 있는 귀때 다관을 주자 귀때라 한다.

3. 다관의 형태별 분류

물형(物形) 다관 ,각형(角形) 다관, 호형(壺形) 다관 , 원통형(圓筒形) 다관 , 발형(鉢形) 다관 , 원추형(圓추形)다관, 구형(球形)다관, 파형(波形)다관으로 나눌 수 있다

물형 다관은 동물, 식물, 자연물을 대상으로 다관의 형태를 형상화 시킨 다관을 말하며, 각형(角形) 다관은 사각, 육각, 팔각 등 다관의 형태가 각으로 이루워진 것을 지칭한다. 호형(壺形) 다관은 몸통의 형태가 아래가 좁고 배가 불록 나온 모양으로 둥근 항아리 모양의 다관을 말한다. 주로 호형 형태의 다관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다관의 형태가 직선으로 올라간 원통형의 다관을 말한다. 다관의 형태가 밑면 보다 윗면이 넓은 사발 형태의 다관을 발(鉢)형 다관이라 하고. 원추형(圓추形)다관은 밑면이 넓고 윗면이 좁은 원추형 형태의 다관을 말한다. 구형(球形)다관은 동그란 공 형태의 다관을 말하며, 파형(波形)다관은 파도, 또는 회오리가 도는 형상의 이미지를 다관의 형태에 적용시킨 것을 말한다.

기능이 좋다고 해도 형태가 아름답지 못하면 좋은 다구가 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공예적 관점에서는 아름다운 그릇보다 쓸모 있는 그릇이 더 가치를 지닌다고 보는 만큼 기능성은 매우 중요하다. 위에서 살펴 본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적절히 조화를 이뤄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다관은 쓰임새가 편한 ‘기능성’과, 심미적 감상 욕구를 충족시키는 ‘예술성’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그는 결론에서 다관의 디자인 요소를 결정 짓는 조건은 . 시대적 관습, 차를 마시는 분위기, 사용하는 사람의 기호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다관의 정형은 찾을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무분별한 모방이나 전통 다관의 단순 복제에서 벗어나 현 시대 우리 차 문화에 맞는, 차 생활에 제대로 쓰일 수 있는 기능성과 독창적인 조형성을 가진 다관이 계속 제작되어야 겠다.고 하였다.

중국의 차 상세보기
박홍관 지음 | 형설출판사 펴냄
중국 차 입문서. 이 책은 중국에서 차가 생산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12개 성(절강성, 광동성, 운남성, 안휘성, 대만 등)을 각각 수차례 반복하여 조사한 중국차와 그 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 보고서이다. 차...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84년 뿌리깊은 나무를 통해 판매한 백자 다기, 우송 김대희 작]

차도구 명칭을 연구하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어려움을 더해가고 있다. 모든 차도구를 크게 구분하면 말차용과 전차용으로 구분 한다. 우리의 일상 찻자리는 전차(우려마시는차)를 마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제는 말차용 차도구 정립이다. 말차는 기본적으로 일본의 전형적인 의식차로서 현재는 다도 수업이 말차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그들의 차문화를 그대로 수입하면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다른 말로 바꾼다는 것 자체가 우습다고 할 수 있다. 오랜기간 이루어진 것이므로 부분적인 우리말 표기 보다는 대의적인 명분을 가지고 바꾸어야 할 내용이다.

전차용 차도구는 해방이후 일본 차인들과 교류하면서 말차와 전차도가 유입된 것이다. 그당시에는 가려서 받아드릴 여유가 없었다. 비교 대상이 없었으며 우리의 눈에는 그것이 정석이라고 생각하기도 했을 것이다. 현재 우리의 일상에서 그리고 중국 차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도구의 사용이 자연스럽게 우려마시는 차로 시작에서 끝나는 것으로 현재는 중국차 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드리고 있다. 전차용 차도구에서는 근본적으로 중국에서 일본으로 넘어가 일본인의 정서에 맞게 바꾸었으며 도구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보완되어 왔다.

나는 동양 3국(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하는 차도구의 명칭을 한국에서 하나의 방식으로 통일하여 기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무척 어려운 일이지만 한가지씩 난제를 풀어나가고 싶다. 그것이 학문하는 사람이 즐기는 고통일 수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애인이 있는데 이름이 없습니다.
애인이 저 멀리 가는데 이름을 부를 수 없습니다.
이만큼 이름은 중요합니다.

차도구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명칭(名稱)입니다.
명칭은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한국의 차도구 명칭은 한국차문화의 가장 기본적인 연구과제이며 저를 비롯한
연구자부터 여러분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고찰해야 하는 차문화의 근본 연구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명칭에 대한 연구 과정을 마치고 나면 왜 그러한 그릇에
차를 마실 수 있게 되었는지를 알게 되고, 자연 차에 대한 음용이 구분되는
원리를 알게 될 것입니다.

석우.

중국의 차 상세보기
박홍관 지음 | 형설출판사 펴냄
중국 차 입문서. 이 책은 중국에서 차가 생산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12개 성(절강성, 광동성, 운남성, 안휘성, 대만 등)을 각각 수차례 반복하여 조사한 중국차와 그 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 보고서이다. 차...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일본 나라 지역에서 활동하는 차시 작가 집에서의 찻자리]

지난해 겨울 오사카를 방문하여 오모데센케 다치바나 선생님과 함께 나라 지역에서 활동하는 차시 작가를 인터뷰하러 갔다. <아름다운차도구>3호 특집 기사를 준비하기 위해서다 지난 여름에도 촬영을 했지만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였다. 이날 겨울비가 조금내리는 날씨였다. 실내로 들어서니 아주 훈훈하였다. 이곳은 두 부부가 작업하는 공간이다.

겨울이라서 여름에 갔을 때와는 달리 숯불로 물을 끓이고 녹차를 내는 자리였다. 그들에게는 일상의 모습이고 우리에겐 특별해 보이는 찻자리다. 찻물을 끓이는 도구는 무쇠 솥이다. 무쇠 솥으로 찻물을 끓이는 것이 자연스럽고 겨울의 찻자리에서 당연해 보이는 그들의 모습들이 우리들이 생각하는 일본 사람들은 차 마시는 것이 어렵고 의식적이다고만 보았다면 이런 찻자리는 차도구를 만드는 작가 집에서의 일상적인 차자리였다. 미리 양해를 촬영하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석우연담(石愚硯談) 블로그를 통해 차(茶 tea)에 대한 다양하고 생산적인 논의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만, 혹시 개인적으로 의견주실 분들이 계시면 아래 이메일로 연락 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차도구(茶道具)에 대한 논문 관련해서 논의하고자 하시는 분은 연락주시면 제가 도움드릴 수 있는 범위에서 함께 연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mail : teakey@naver.com    동양차도구연구소 http://teawell.org


석우(石愚)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韓國 茶道具의 名稱

 茶道具 名稱의 必要性

한국 차도구에 대한 명칭이 정립되어야만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제적인 명칭에 대한 정립문제이다. 국제적인 명칭은 이미 문화적으로 많이 알려진 중국과 일본에서 국제적 명칭의 연륜을 쌓아나가고 있다.

이는 곧 세계화의 영향으로서 우리가 앞선 문물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외국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의 문물과 명칭을 알리지 않는다면 곧 국지적인 명칭으로 전락되고 만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때문에 우리는 국제적인 명칭을 따라갈 것인가, 아니면 우리가 가장 보편적이고 세계적인 규범이 될 수 있는 차도구의 명칭을 규정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예는 우리의 “김치”가 일본의 문화적 산물이 될 뻔한 최근의 일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다만 다행스럽게도 역사적이며 문화의 근원을 잘 판단하여 일본의 문화상품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지만 차도구의 면에서도 이러한 사항은 대표적인 “다완”의 문제가 남아 있다.

때문에 우리의 차문화 속에서도 차도구의 명칭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하는 것은 여실히 알 수 있다. 위에 말한 바와 같이 “다완”이라는 명칭도 우리식의 “사발”이라고 하는 명칭에 우선되는 전래명칭이며 우리에게로 건너와 일본에 전래될 당시 한자문화와 한글문화가 뒤섞인 조선 중기에 해당하므로 어느 것이 우리가 내세워야 할 명칭인가를 먼저 논의해야 한다.

그 후 학술적으로 공통되게 사용할 수 있는 명칭이 되어야만 외국에 대하여 공식적으로 표명할 수 있는 국내외 명칭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앞으로도 수많은 기존 명칭에 대해 사용빈도와 의미의 명확성 등을 고려하여 공식적인 명칭들을 정립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이나 일본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차도구와 관련된 명칭자료들을 다양하게 수집하여 분석, 정리할 필요가 있다.

- 동양차도구연구소 소장 박홍관 배상 -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품격있는 다기’라고 하는 것은 격(格)을 갖춘 다기라는 말과 상통한다.

만든이의 정성과 기술에 속됨이 없어야 한다. 장인의 작품으로 재료의 선택에서 마무리까지 정성이 묻어나야 한다. 기능적인 면에서는 사용하면 할수록 격조가 있어 보이는 것이다.

이를때 우리는 품격있는 차도구라고 한다. 비싼다기는 무조건 값이 비싼 것을 말한다. 비싼 다기를 수준이 높은 찻그릇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값이 비싸다는 것은 이벤트와 함께 브랜드의 인식을 심어주고, 그후 값을 마구 올려서 아무것도 모르는 소비자들에게 비싼 것이 좋은 것인 줄 알게 하며 판매되는 물건이다.

그래서 ‘품격있는 다기’라는 말과 ‘비싼다기’라는 말은 전혀 다르다.

‘좋은 것을 들여 놓았다’와 제일 비싼 것을 사왔다‘는 말로 구입하는 사람이 다르다는 것과 같다. 모나리자는 배운 사람, 못배운 사람, 남녀노소 불문하고 그 화면 앞에 서면 잘그린 그림이라는 것을 느끼게 한다. 이런 그림을 명화(名畵)라 하는데, 그 당시에 가장 비쌌던 그림이라는 설명은 어디에 찾아보아도 없다.

노블(noble)과 익스펜시브(expensive)는 뗄 수는 없지만 구별은 된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