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동에서 차 관련하여 박물관으로 등록된 곳은 매암차박물관(관장 강동호)이 유일하다. 6300평의 다원이 조성된 이곳을 최근 몇 차례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7월에는 두 번 방문하였는데, 5월 축제 때와는 달리 차밭 전체가 벌거숭이 같이 정지(整枝)․전정(剪定;과수의 생육과 결실을 균일히 하고 미관상 고르게 하려고 가지의 일부를 자름. 가지치기) 작업이 되어 있었다.

이맘때면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는 풍경이지만 강동호 관장에게 자세히 알고 싶었다. 매암에서 하는 정지 작업은 어떤 목적으로 하게 되는가?

일반적으로 그러한 목적은 다 아는 문제일 수 있지만 일주일 전에 보았을 때는 정지된 주위에는 정지한 찻잎이 흩어져 있었다. 한 눈에 보아도 수거하지 않고 그대로 둔 것 같았는데, 그때는 필름을 다 사용하였기에 촬영을 할 수 없었고 이번에는 소형 디카로 사진을 담을 수 있었기에 몇 가지 질문을 하였다.

강동호 관장에 의하면, 첫 번째, 채엽의 편리성으로 미리 정지 작업을 해두면 수형(모양)이 잡히고 다음해에 찻잎을 채취할 때 채엽하기가 수월하다는 점.

두 번째는 매암차의 경우 무농약 무비료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순환농업을 위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즉, 전정 작업으로 떨어진 잎이 발효가 되어 순수하게 차나무 자체 찻잎으로 퇴비를 만드는 것과 같다는 의미다(차 농가에서 전정한 찻잎을 티백용으로 판매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정지(整枝)․전정(剪定)된 차밭]

차밭에 농약이나 요소비료,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정지하는 것이 비용(1회 정지 비용은 200만원)은 더 들지만, 이 방법으로 40년째 해오기 때문에 이제는 부엽토가 되어(10년이 넘으면) 생태 농업의 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순환농업이라고 한다.

그래서 일 년에 두 번(6월말에서 7월말, 그리고 10월)하는데, 요즘은 녹차 판매가 잘 되지 않아서 이런 순환농업으로 차밭을 관리하지만, 비용은 늘어나고 수입은 매년 줄어드는 형편이라고 한다. 실제 이곳에서 과거에는 1톤씩 생산하던 것이 차 판매가 줄어들어 0.5톤 생산하다가 2009년부터는 0.3톤으로 줄었다고 한다.

[매암차박물관이 보이는 차실 마당]

이곳에서 1박 2일간 많은 이야기를 했고 짧은 경험이지만 스스로 가치있는 시간을 보냈다. 어린 학생들이 단체로 들어와 차밭을 거닐며 차 마시는 것을 체험하고, 박물관을 견학하고 돌아가는 것을 보면서 아이들의 견학에는 뭔가 시스템이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차 판매로 농가 수익 증대는 어렵지만 이러한 문화 공간을 운영하면서 보람으로 살고 있다는 강관장의 웃음에서 문화 기획가로의 자신감을 볼 수 있었다.

부인 장효은 선생도 만났다.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에서 박사과정 논문제출기간이라 정신없는 시간을 보낸다고 하는 그의 얼굴에서도 차에 대한 연구 방향이 뚜렷하여 좋은 논문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