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은 전통문화의 단절이라는 뼈아픈 과거를 끌어안고 살고 있다. 그것도 50년 가까운 세월을 우리것을 잃어버라는 시간으로 지냈으며 그 이후에도 생활이라는 삶의 연명이라는 것에 얽매여 도합 근 백년간을 외면한 체로 살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중에서 차문화를 보면 그 약점은 여지없이 드러난다.
차문화가 조선조에 들어와 빈약해졌던 반면 불가와 양반계층에서 면면히 이어내려왔고 그 명맥을 다시 부흥시키고자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 그리고 초의선사가 노력을 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일제 강점의 어두은 시기로 들어가 일본식 다도교육이 근간을 이루었으며 매우 냉정히 말하자면 지금도 그 연장선상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식 차문화는 명맥을 일으켜 세우기도 전에 스러졌으며 그것을 일본식 다도가 이어 차문화라는 근간을 다시 세우게 되었으니 오차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고 다완이라는 말이 이상하게 들리지 않는 일본색의 차문화가 이 나라에 뿌리깊게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 (사)종정다례원 소속 남정다례원 김남연 원장] 차문화를 부흥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30년 전의 우리나라 차교육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번역에 관심과 소질이 있는 분은 번역을 하고, 행다에 비중을 두는 분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행다법을 배우고 연구하려고 무척 노력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그 동안의 노력은 헛되지 않아 차라는 문화가 이제 다시금 대한민국 안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또 일상 생활에서의 차를 마시는 모임들이 많이 늘어났다. 젊은이들이라고 해서 차를 모르지 않고 일상 대중 찻집들도 많이 늘어나 대중화라는 단어에 전혀 어색함이 없다.

그러나 우리식의 행다는 과연 어디에 숨어있는 것인지 모를 때가 많다.
여러 다회에서, 또는 다례원에서 우리식의 행다를 연구하고 고려 조선의 행다법을 시연까지 하고 또 선비다법이라든가 개별적이지만 한국식의 행다에 대해 여러 발표들을 접하곤 한다. 그러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중국차 다법이나 일본차의 다법을 흔히 볼 수 있다. 그것은 과연 무슨 이유일까? 곰곰이 생각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최근에는 각각의 단체에서 수익을 목적으로 급조된 중국 행다법을 도입하였다. 앞서거나 뒤서거니 하면서 홍차와 일본차 교육을 배우고자 한다. 이런 과정도 그 분야에 확고한 신념을 두고 연구하는 분들은 또 그만한 연구 성과를 내는 면도 더러 있다, 외국 행다법을 배운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어차피 외국 문화를 수입하면 자연스럽게 그와 관련있는 것의 도입은 당연하다.

7년 전부터 한국에서는 차를 연구하는 전문 대학원이 생기고 학부과정은 대학에서도 차를 전공하는 학과가 만들어졌다. 대학에서의, 커리큘럼을 보면 고전, 차문화의 이해, 다도철학,중국차문화, 일본차문화, 일본다도, 중국다예, 홍차, 차도구의 이해, 차도구 감상, 차의 품평, 등등이다. 최근에는 커피까지 커리큘럼에 넣고 학생을 모집해야 하는 실정이다. 대학에서는 특정한 단체의, 행다법을 기준으로 배우기에 문제가 있기에 여러 다회의 행다법을 비교, 연구하고 있다.

최근 대구에서 다도와 관련한 공교육기관을 포함하여 다도대학원이 4개가 개설된다는 소식을 접했다.

하나는 몇 년 전부터 진행되고 있는 공교육기관인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일부 수업이 (사)청백다례원(이사장 배근희)에 이루어지는 것과, 2011년부터 진행되는 사단법인 한국차인연합회(이사장 박권흠) 대구 지부가 결성되었고, 영남지역이 주축이 되는 (사)우리차연합회(이사장 김순동)에서 운영하는 대학원 그리고 최근에는 대구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 그리고 많은 차인을 배출한 사단법인 종정다례원(이사장 정금선) 대학원이 개설되었다.
공부하는 장소가 많이 생긴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런데 자신들이 속한 차회의 정체성이 보이지 않는다.

한국에서 배운 외국 행다법을 배우는 시간 안배 속에 우리나라 차를 배우는 시간을 한 시간도 배려하지 않는 것은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대학원 설립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한다.

필자는 아마도 생전에 바라마지 않을 일로 다음의 사항을 꼽는다.
1. 한국에서의 공통된 다도교육으로 일본과 중국의 다도와 다예에 버금가는 한국 전통의 행다법이 자리잡는 일

2. 한국에서 만든 우리식 다기로 행다를 하며 그것이 표준으로 자리 잡는 일

3. 일본식 다도의 잔재를 없애고 우리전통으로서의 역사적인 근거와 그에 대한 전통가문 혹은 전통교육원의 뿌리를 두는 일.

위의 사항들은 이미 일본이 전체주의적인 교육을 실시하면서 했던 일이기도 하지만 현재에 이르러 그와 유사한 제언을 하는 이유는 바로 글로벌한 세계화 시대에 우리도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서면서 문화의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는 음료문화에 하나의 규범조차 통일되지 않은 것이 너무도 허망하기 때문이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공고히 하자는 의미에서이다.

일본으로부터의 문화역류가 아닌 우리식의 전통재건과 그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병행해야만 하고, 현재 우리의 차생산기술의 증진과 아울러 세계적인 차생산지에 버금가는 우리만의 특화된 차류생산도 절실하다.

지금 먼저 시행되고 있는 차문화전문교육은 바로 그러한 일들이 먼저 선행되어야만 하며 그렇지 않다면 지금의 커리큘럼과도 같은 우리의 정체성이 상실된 과정만으로 존재해야 하기에 서글픈 현실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너무나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겠다.

석우.

박홍관의 자사호 이야기 (양장)
국내도서>비소설/문학론
저자 : 박홍관
출판 : 도서출판이른아침 2010.06.05
상세보기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