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술대회의 취지와 의의

이 시대 위대한 사표(師表)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조선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을 기념하는 행사가 올 해 들어 활발하다. 올해는 다산 정약용이 강진에서 해배가 되어 남양주의 고향으로 돌아 간지 200주년 되는 해인데, 다산이 강진에 남긴 위대한 인문학적 유산 가운데 하나가 <<다신계(茶信契>>가 있다.

 

다산은 강진 유배기간 단순한 음다에 그친 것이 아니라 차생산과 소비를 함께 하며, 구증구포, 삼증삼쇄라는 새로운 제다법을 만들어 조선후기의 차산업을 혁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다신계>>가 가지는 인문학적 유산과 다산이 새롭게 창안한 무형유산인 제다법이 전승되었고, 그 전승이 가지는 현대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학술대회의 기본 취지이다.

 

강진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야생차밭이 있는 지역이다. 조선후기 우리나라 차문화산업을 중흥시킨 다산선생과 그 제자들이 있고, 다산초당과 만덕산 백련사 그리고 월출산 백운동 등 차유적지가 있는 곳으로, 근대 차산업의 성지라고 평가받고 있다. 2

 

016년부터 강진다인연합회(현 회장 김상수)에서는 강진의 이와같은 문화적 유산을 새롭게 조명하기 시작하여, 해마다 강진차문화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올 해로 3회를 맞이하였다. 그동안 지자체의 내의 학술대회를 진행되던 것을 다산연구소(현 회장 김태희)와 공동 주관하여 <<다신계>>를 전국의 차인들과 새롭게 조명하여 침체일로의 우리차문화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자 한다.

 

*<<다신계>>?

<<다신계>>는 해배되어 가는 다산을 위해 그의 18제자가 존경과 우의 그리고 신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차생산 공동체이자 협동조합이었다. 이는 다산과 그 제자들이 우리나라 전통 계문화에 차문화를 접목시켜 차생산과 차소비를 함께하는 조직인데, 세계차문화사에서도 그 사례를 찾을 수 없는 우리나라 유일한 조직이다.

<<다신계>>는 결성이후 130여년 동안 그 전통이 이어졌다. <<다신계>>의 약조의 하나인 차를 다산에게 보낸 전통이 다산일가와 강진제자들의 후예들에 의해 3대이상 이어졌다. 또한 <<다신계>>에서 다산이 전수한 제다법인 구증구포 삼증삼쇄의 떡차는 조선후기 차산업을 무형적 유산이 되었다.

 

주제 발표자는 정영선(한국차문화연구소 소장), 박동춘(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장) 그리고 박희준(한국차문화학회 회장)이다.

 

발표내용은 정영선의 <<실학자 정약용의 다공과 다신계>에서는 정약용의 차생활을 중심으로 다산의 차정신이 오늘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또한 박동춘의 <<다산 정약용이 강해(康海) 유불(儒佛) 교유에 미친 영향>>에서는 <<다신계>>에 등장하는 <<전등계>>의 실체를 규명하여, 다산이 유불간에 펼쳤던 교류에 있었던 차문화를 살피고 있다,

 

그리고 박희준의 <<다신계의 전승과 후예>>130여년 동안 이어졌던 다신계의 전통이 현대에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가를 밝히고 있다. 좌장은 김태희(다산연구소 소장), 토론자로는 강순형(한국차중앙회 교육위원), 김형섭( 남양주시립박물관연구원), 유동훈(목포대교수)가 참가한다.

 

제목: 다신계 결성 200주년 기념학술대회

장소: 국립고궁박물관 별관 세미나실

일시: 2018831() 오후 13:30

주최: 강진군다인연합회. 다산연구소, 강진신문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암차박물관 강동오 관장의 스텝진 및 진행과정 소개]

[석우연담뉴스] 조선남다로 시사회는 우리나라 차문화사에서 특별한 기획으로 영화진흥위원회 시사회실의 자리가 만원이 되고조금 늦게 입장한 분들은 계단에서 관람할 정도로 성황리에 마쳤다.

조선차의 화려한 부할 ‘일상 다반사’는 필자가 2007년 11월 2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트 세미나장에서 처음으로 기획의도를 알게 되었다. 당시에는 약간 상기된 얼굴로 포부를 밝힌 강동오 씨가 시사회에서는 제작자 장효은,  박희준 씨와 함께 무대에서 14개월 전에 보인 그 때 와는 다른 자신감으로 한국 차문화 역사의 진실을 찾아나선 그간의 진행을 소개하였다. 이번 다큐제작을 후원한 조유행 하동군수의 인사말을 끝으로 시사회는 시작되었다.

조선남다로는 전통발효차의 과거와 현재를 찾아 작설차의 뿌리가 있는 곳이며, 다반사의 주역이었다고 하는 하동 악양을 조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상 다반사의 전체적흐름은 네 가지 여정으로 정리하였는데, 하나는 조선은 작설의 전성시대였다는 것을 부각시키며 조선시대의 민중은 일상 속에서 언제나 차와 함께 했다는 내용으로 전개되었다.

두 번째 홍차와 발효차의 본고장을 찾아서는 하동을 비롯한 남도 여러 지역에서 끊임없이 홍차를 생산하였다는 것을 현지 농가를 인터뷰하면서 박화봉(87세)씨의 경험과 한의사의 도움말을 넣어서 홍차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내용전개와 작설은 발효차인 홍차였다고 하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고자하는 노력이 보였다.

세 번째, 우리의 차를 사라지게 한 것은 일제였으며, 일제 강점기에 일본은 우리의 차문화를 말살하려했는데 그럼에도 조선차가 얼마나 아름답게 살아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전개하였다. 네 번째, 우리의 하늘, 땅, 그리고 우리를 담은 ‘작설’을 되찾자에서는 민중속에서 강인한 생명력으로 살아 숨쉬는 우리 차의 본 모습을 되찾는 희망의 여정으로 정리되었다.

내용 중간중간에 김대성, 정영선, 박희준 선생의 설명으로 내용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는 제작진의 의도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차문화사의 접근 방식에 따라서는 다른 견해를 가진 분도 있으리라 여긴다. 한가지 예로 도입부에서 ‘다산초당’안에 선비가 차를 마시는 그릇의 모양과 크기는 지금의 다완(茶碗)과 같은 것으로 전개되었는데 의문이 나는 부분이다. 당시 차농가에서는 격의 없이 사발로 마신다고도 볼 수 있지만 선비들도 그렇게 하였는지는 고증이 필요한 것 같았다. 이날 시사회는 52분간 다큐멘터리를 상영되었으며, 질의응답 시간은 없었다.

이러한 시도는 높게 평가되어야 하고 계속되어야 한다.

차문화다큐멘터리 ‘조선남다로’의 시사회 평은 다음 기회에 가지겠다.
제작에 참여한 모든 분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양장)
국내도서>건강/뷰티
저자 : 박홍관
출판 : 형설출판사 2011.06.15
상세보기


---------------------------------------------
투   자 : 경상남도 . 하동군 . 매암차문화박물관
제작처 : 매암차박물관  기획/강동오  책임제작/장효은  제작/이수정.박희준
제작후원 : 한국발효차연구소, 동진한방병원, 국제차문화교류재단, 차와 문화,
               한국전통예절교육문화원,천년의향기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