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사가 없다하나 생사 없는 곳이 없구나

더 이상 구할 것이 없으니

인연 또한 사라지는구나

 

저는 불교 신자라고 하기엔 부끄럽습니다.

그러나 사하촌에서 태어나 어릴 적부터 알게 모르게 절 집안의 영향을 받으며 자랐습니다.

이십 대에 칠 년 동안 떠돌이 생활을 하면서 전국의 여러 암자에 신세를 진 적도 있습니다.

삼십 대에 차업을 시작하면서 개업 초기에 스님들이 많이 도와주셨습니다. 특히 선방 스님들은 해제비를 통째로 맡겨두시고 좋은 차를 만나면 알아서 보내달라는 분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처음 본사를 방문하시는 모든 스님들껜 제가 직접 생산한 보이차 한편씩을 시주하고 있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틈나는 대로 불교 관련 서적을 탐독하곤 했는데 원효. 효봉. 경봉. 탄허. 성철. 법정 스님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지난 며칠간 각종 언론에서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둘러싼 의혹 내지는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이십여 년 그의 절대적인 영향권에 있었던 대한불교조계종에선 열반송이니, 소신공양이니, 다비식이니 떠들썩하고

 

정부에선 무궁화 훈장까지 추서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반면에 반대 측에 있었던 분들은 그동안 그가 저질렀던 각종 비리 의혹을 파헤치고 현 지도체제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동안 차나 만들었고 정치 경제 등 각종 현안에 대해서는 무심한 척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내가 있는 곳이 속세의 한복판인데 이런저런 문제에 대한 견해가 없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괜한 논쟁거리에 휘말리고 싶지 않은 소심함과 사업에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는 장삿속이 의견을 주저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역사의 발전이란 측면에서 침묵하는 다수는 때로 비겁한 방관자 또는 암묵적 지지자일 수도 있다는 자각이 굳이 이 글을 쓰게 만듭니다.

 

결국 불교의 핵심 논리인 생사가 따로 없음을 깨우치지 못했다는 고백 아닌 고백을 하고 솔직하게! 허망하게! 사라져간 사람의 유서는 평가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러나 상좌들에게 남겼다는 또 다른 유서에 각자 2억씩 각출하여 소실된 절을 다시 복원하라는 글은 정말이지 가슴을 답답하게 합니다.

 

불가의 재산을 자신의 죽음으로 훼손한 것도 어처구니없지만 도대체 상좌라는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재산을 의탁했기에

 

각자 2억이라는 엄청난 돈을 그것도 1~2년 안에 출연하여 새로 절을 지으라고 했는지 모를 일입니다. 그렇게 불타버린 절을 복원하면 그 절이 예전처럼 요사채가 될까요? 아니면 그곳에서 생을 마감한 사람의 기념관이 될까요?

 

몇백만 원이 없어서 일가족이 자살하는 시대에 대학생 불자 육성을 위한 전법 기금 마련 행사에 20억 원을 기탁한 그 큰돈은 과연 어디에서 흘러온 것일까요? 워낙 큰 스님이고 높은 자리도 두루 섭렵하신 분이라 그깟 돈은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일까요?

출가한 승려에게 벼슬은 닭 벼슬보다도 못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판이던 사판이던 머리 깎은 승려라면 당연히 부처님의 말씀을 실천하고 전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판과 사판의 도리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지요. 그가 출가 이후 50년 동안 쭉 사판의 길을 걸었다 손치더라도 이판의 도리를 모를 리 없습니다. 그는 자신의 몸에 휘발유를 뿌려 불을 댕기기 이틀 전까지 앞으로 10년 동안 전법에 매진하겠다고 했습니다.

 

151. 목표한 금액의 세배를 모았다는 그의 능력?을 활용하여 그가 전하고자 했던 불법은 과연 어떤 것일까요? 사리분별을 떠나 그렇게 유명을 달리할 수밖에 없었던 그의 영욕의 삶 그리고 인간적인 고뇌는 가슴을 아프게 합니다.

 

아프고, 답답하고, 슬픈 사건이지만 이번 일이 작금의 불교계에 만연한 물질문명의 폐퇴에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지금도 전국의 사찰에는 묵묵히 불법의 도리를 참구하고 실천하는 스님들도 많습니다.

 

지금은 그분들의 목소리가 꼭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중지를 모아 우선 한국 불교를 혁신할 새로운 지도체제를 구성해야 할 것입니다. 오랜 관습에 젖어 있는 현 체제는 엄연한 현실을 직시하고도 오직 자신들의 안위를 위해 사실을 왜곡하고 우상화 작업에 몰두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에야말로 뜻있는 스님과 불자들이 모두 합심하여 몰락하고 있는 한국 불교를 바로 세우고 부처님의 진정한 가르침을 펼칠 때라고 생각합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그의 마지막 선택과 유서는 그가 가진 양심의 발로이자 고뇌의 바다에 발붙이고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한 인간의 몸부림이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부디 고히 가시고 다시는 오지 마소서.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