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차회를 준비하는 자리

 

2016년의 마지막 차회는 12월 30일 중국차연구중심 김영숙 원장의 연구실에서 열렸다. 필자와 함께 일곱명이 참석했는데, 대부분 문화 예술 분야에서 전문성이 확실한 분들이다. 무이암차에 대한 식견이 높지 않지만 차를 내는 주인의 입장에서는 최상의 차로 차회를 열겠다는 마음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여진다.

 

무이성 '홍두구'의 탕색

 

이번 차회의 주제도 마음이라고 한다. 한 해를 보내면서, 자신이 그동안 복건성 차에 대한 연구가 깊어지고 무이성에서 생산되는 무이암차를 기반으로 많은 연구의 밑거름이 되었기에 무이성에서 엄선하여 만든 품평용 차 4종류로 송년차회를 하겠다는 뜻을 전하여 필자도 참석하여 기록하게 되었다.

 

차를 마신 순서로 시작하면

무이암차 홍두구는 이날 마신 차 가운데 제일 부드러운 차로써, 한방에서 사용하는 홍두의 꽃향기가 부드럽게 배어나오는 특징이 있었다. 다음은 채엽하는 시기가 제일 늦다고 하는 부지춘으로, 5월 중 후반에 채엽하여 만든 차다. 세 번째는 수선차왕(병칭, 월래월호)을 마셨는데, 가히 수선 품종에서 향기와 맛이 같은 비율로 높은 꼭지점을 볼 수 있는 차다.

 

찻자리 분위기 동영상

 

수선차왕은 차를 마신 찻잔에서의 향기가 수선 품종에서 만날 수 있는 최상급 차다. 그래서 필자는 참석자에게 오늘 마신 차 가운데 '수선차왕' 한가지만 기억해도 된다는 말을 했다. 이런 향기와 맛을 볼 수 있는 것은 재료와 제조 공정이 최상으로 이루어질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오래 기억될 이날의 찻자리

 

이날의 차회는 차를 마시면서 서로 공예품에 대한 담론으로 이루어졌는데, 일반적인 상식을 뛰어넘는 심미적인 설명으로 새롭게 공부하는 자리였다.

 

특히 김군선 박사의 공예품의 실용성과 전시에 대한 확장성에 대한 말씀은 오랜만에 귀가 열리고 마음이 통하는 시간이었다. 이 글을 통해 고마움을 전하고자 한다. 이런 인연의 자리를 만들어준 김영숙 원장님과 박민경 작가님께도 감사드린다.

  

좋은 찻자리는 비싼 차를 마시는 것만이 아니라, 어떤 자리에서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졌나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무이산 대홍포 모수가 있는 곳으로 가는 길 

무이산에서 생산되는 무이암차는 암차의 왕자라고 하는 대홍포가 아니라도 무이수선, 무이육계, 백계관 등의 6대 명총과 그외 차종류도 상당히 많이 있다. 그리고
 무이암차 6대 명총에만 차품의 개성이 뚜렷한 것이 아니라 품종을 지켜오면서 개량종을 제품으로 성공한 차들 대부분이 차인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편이다.

9
30일 중국다예연구중심에서 마신 2014년 무이성공사에서 출시된 부지춘을 자사호로 시음하면서 예열만 한 상태에서 차를 넣고 뚜껑을 닫았다가 살짝 흔들고 난 뒤에 뚜껑을 열어 향기를 맡아보면 암차의 매력에 빠질 수 밖에 없는  기운을 느낄 수 있다.

첫번째로 나온 탕색은 갈황색 즉, 등황색에 가깝다. 코끝에서 화밀향이 밀려오는 차는 이래서 차에 취한다고 할까, 2014년 봄 무이성공사 연구소에서 부지춘(不知春)의 차나무 품종을 확인했던 경험이 맛을 더 기억나게 해주는 것 같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