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책 소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 그 항다반사(恒茶飯事)!

 

예사로운 일상에 특별한 의미를 불어넣어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한 달에 한 번, 일 년 동안 차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차 자리에는 시절(時節)에 어울리는 차()와 차에 어울리는 고완(古玩)과 서화(書畫)가 있었다.

 

그리고 멋 부리지 않은 소박한 음식까지! 차 마시고 밥 해먹는 평범한 일상 속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비법을 원행 스님을 통해 듣는다. 이 책은 차를 처음 접하는 이에게는 좋은 길잡이가 되고, 차인(茶人)들에게는 새로운 안목을 열어 줄 것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 열두 번 차를 마시고 밥을 해 먹다_원행

첫 번째 차 자리 / , 매화를 만나다

두 번째 차 자리 / 차는 기다림이다

세 번째 차 자리 / 자연보다 더 아름다운 그림은 없다

네 번째 차 자리 / 수여산 복여해 (壽如山 福如海)

다섯 번째 차 자리 / 도심에서 자연을 느끼다

여섯 번째 차 자리 / 다연 (茶緣)

일곱 번째 차 자리 / 소나무와 국화는 아직 남아 있다네

여덟 번째 차 자리 / 차 그리고 향을 음미하다

아홉 번째 차 자리 /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열 번째 차 자리 /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다

열한 번째 차 자리 / 차의 정수를 맛보다

열두 번째 차 자리 / 고완(古玩)의 아취(雅趣)

책을 마무리 하며 / 차 마시고 밥 먹는 일 - , 항다반사(恒茶飯事)!_이계진

 

저자소개

구수 원행

출가 승려로 가연차회(嘉緣茶會)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기로 장엄한 세계를 저술하였다.

 

정리 백옥희

방송·영상·출판 등 다양한 매체에서 콘텐츠를 기획하고, 스토리텔링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조재범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책 속으로

차에 걸맞은 다기를 준비하는 과정과 자연스럽게 차를 마시는 행위, 고요히 마음가짐을 챙기는 정성이야말로 차 맛을 으뜸으로 만드는 비결이 아닐까? - p.19

 

"차와 다기를 준비하고, 물을 끓이고, 차를 우려내고, 차를 내고(손님에게 찻잔을 내어 드리는), 함께 차를 마시는 그 시간 동안 작은 행동 하나하나에 집중하고, 함께 하는 사람들과 나누는 대화…… 이 모든 것은 즐겁게 차를 마시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좋은 차는 기다림으로 완성됩니다." - p.39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매력이 다르듯이 차도 저마다의 특성이 있다. 향이 진하면 진한대로, 맛이 강하면 한 대로, 단맛, 쓴맛, 떫은맛에도 나름의 개성이 담겨 있다. 그 맛의 차이를 인정하고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다 보면 모든 차를 맛있고 즐겁게 즐길 수 있다. 때와 장소, 함께 하는 이들의 마음가짐에 따라 맹물도 된장 푼 물도 얼마든지 좋은 차가 될 수 있다. - p.74

 

우리는 더 좋은 스마트폰을 구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인성과 지성을 가꾸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p.141

 

차에는 힘이 있습니다. 세상과 사회를 하나로 만들고, 발전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만드는 힘이 있어요. 세상과 세상을 잇고 사람과 사람을 통하게 하는 것, 차 문화가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207

 

출판사 서평

 

열두 번 차를 마시고 밥을 해먹다

()의 달인인 원행 스님과 관봉 선생(이계진 아나운서 아호)이 한 달에 한 번, 열두 번의 차 자리를 가지며 나누었던 수많은 이야기들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으로 이어진 차 자리에서는 매화차, 대우령 청차, 운흥사 차, 오룡노차, 솔차, 보이차 등 시절(時節)에 어울리는 향기로운 차를 마셨다. 차와 어울리는 고완(古玩)과 서화(書畫)를 감상하며 원행 스님이 들려주시는 역사와 문학, 귀한 차 이야기에 빠져들었다. 차를 마시고 난 뒤에는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리고 인공조미료 대신 정성으로 차려낸 소박한 계절 밥상을 마주했다.

 

차를 마시고 밥을 해 먹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달에 한 번, 꼬박 열두 번의 만남을 기록한 이유는 간단하다. 소중한 인연들과 나름의 의미를 부여해 정성으로 차 자리를 함께 하다보면 그 여운은 오래도록 머리가 아닌 가슴에 남기 때문이다. <다반사(茶飯事)>는 차 자리를 통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돈 안 드는 호사(豪奢)! 평범한 일상 속에서 작은 행복을 발견해내는 방법을 안내해주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차의 대중화, 그 해답을 찾아서

()와 커피를 대하는 현대인들의 태도에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커피는 언제든지 마실 수 있는 대중적인 기호음료, 차는 일부 특수 계층만이 즐기는 고급문화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우리나라에서도 일상에서 차를 즐겨 마셨던 시절이 있었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궁중에 다방군사(茶房軍士)라는 직책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상갓집에서 차로 손님을 대접할 만큼 차 문화가 일반화 되어 있었다.

 

<다반사(茶飯事)>는 차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누구라도 부담 없이 차를 마시고 즐길 수 있는 간소하고 실용적인 행다법(行茶法)의 개발, 차 자리가 즐거운 문화 놀이터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격식보다는 내용에 충실한, 편안하고 즐거운 차 자리의 가장 좋은 예를 소개하고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수반에 올려진 자사호

 

세종시 부용면에 있는 광제사 원행 스님 차실을 방문했다.

보이차와 대만 오룡차에 조예가 깊은 스님은 이날 지리산 차로 만든 녹차와 나주 운흥사 인근의 차로 만든 황차를 우려주셨다. 참 오랜만에 사찰에서 우리 차를 제대로 마셨다. 녹차는 녹차 다웠고 황차는 황차 다웠다.

 

오늘 이 사진을 올리는 것은 사찰에서 오랜만에 녹차와 황차를 맛깔나게 마셨기에 이 찻자리를 기억하고자 남기게 되었다. 차를 내는 스님은 <향기로 장엄한 세계>의 저자 원행스님(광제사 주지)이다.

 

광제사 차실에서

 

스님은 차도구의 사용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의 기물을 자연스럽고 격있게 사용하는 편인다. 우리나라 차를 마신 후에 동정오룡 노차와 보이차를 마셨다. 다반으로 사용하는 접시는 19세기 것으로 옆면은 소를 형상화해서 꼬리에 꼬리를 이어가는 그림으로 기품이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한국향도협회 최영숙 이사의 향도 발표 모습

2014년 11월 29일 부산 차어울림행사장에서 한국향도협회 최영숙 이사는 한국차문화협회 조정미 부산지부장과 함께 중국향도를 문화회관 중강당에서 발표를 하여 큰 호응을 받았다. 이번 발표는 음악과 차가 함께 어우러지는 내용으로 숯불을 피우는 동안 발표자는 명상을 하고 대금연주가 나오고 다동은 차를 내는 장면의 연출 등이 향도와 차가 결합되어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잘 보여주어서 향후 차문화와의 융합적인 면에서 좋은 사례를 보여주었다.

한국향도협회 최영숙 이사와 조정미 원장 향도 발표(좌 최영숙, 우 조정미)

한국향도협회 울산지부 최영숙 향도발표

 

대금연주와 다동의 차 준비

고려시대 선원의 차문화 재현 모습.

원행스님 주관으로 고려시대 선원들의 차문화 재현 모습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전국적으로 매일 폭염이라고 할 만큼의 무더운 날씨다. 요즘 중요한 일들이 겹쳐서 전국을 심야버스로 다니고 있다.

이와 같은 날씨에 차인들은 무슨 차를 마실까.

무더운 여름 날씨에 마시는 차는 어떤 것이 선택되는가. 여름이기에 시원한 녹차일까.

시원한 보이차일까.

최근 바쁜 와중에 몇 군데의 찻자리에 참석하게 되었다. 청주 원행 스님과의 찻자리는 두 번있었다. 그때 마다 무더운 날씨임에도 마신 차는 발효차다.

[사진, 원행 스님 사용하는 자사호와 찻잔] 첫 주는 청주 박숙희 선생님 차행사에 참석했다가 몇 마디의 이야기에 코드가 맞아서 주 행사를 마치고는 바로 원행스님 사찰로 가게 되었다. 둘 째주는 자사호 사진 작업 관계로 방문하였다.

두 번에 걸친 원행스님과의 찻자리에서 다식은 먹지 않고 목책철관음과 동방미인, 보이차를 마셨다.

지난달 향 전문점인 향산재 손희동 씨를 만나서도 깊은 맛을 즐긴 차는 목책철관음 특급 차였다. 팽주가 차 내는 마음이 어디에서 출발할까.

날씨와는 무관한 것 같다. 함께 한 손님들은 모두 열감이 있는 발효차를 마시고도 좋은 자리였다고 하는 것 보면 분위기에 따라서 차가 선택될 수 있고, 차 자체가 좋으면 날씨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자리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