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11월 26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운니동의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에서는 차과연 세 번째 차회가 열렸다. 이번 차회 참가자는 차를 사랑하는 이들이 모여 한국 차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체험하고 탐구하는 자리였다. 주제는 '동춘차 4가지와 연고백차'였으며, 회비 25만 원을 내고 참가한 이들은 차의 깊이를 느끼는 특별한 경험을 공유했다.  

네 가지 동춘차의 매력  

이번 차회에서는 2024년 4월에 채엽한 네 가지 동춘차, 즉 소성차, 대광차, 용소차, 그리고 2011년 대광차, 두 차를 조합한 용소+대광, 마지막으로 연고백차에 대한 설명과 시음이 진행되었다. 
각 차는 차를 재배하는 골짜기의 독특한 환경과 제작 방식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박동춘 교수의 설명과 함께, 참석자들은 차를 한 모금씩 음미하며 차이점을 느꼈다.  

이날 차회에는 지방에서 올라온 세 명과 서울에 거주하는 한 명, 총 네 명이 참석했다. 소규모의 차회이었지만, 참석자들 간의 대화는 깊고 따뜻했다. 차를 마시는 과정에서 참석자들은 차가 재배된 환경과 차의 특성을 들으며 자연과 사람의 손길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한 잔의 차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한국 녹차의 완성도를 느끼다  
참석자들은 각 차의 맛과 향을 비교하면서 한국 녹차의 우수성을 다시금 확인했다. 단순히 차를 마시는 것을 넘어, 그 안에 담긴 지역의 자연 환경, 재배와 제작 과정, 그리고 만든 이의 정성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차회는 차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한국 차의 독창적 매력을 알리고, 차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차과연 세 번째 차회는 참석자들에게 한국 녹차의 높은 완성도와 다양한 매력을 경험하게 한 소중한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차 문화 행사가 꾸준히 이어져, 더 많은 사람들이 한국 차의 진가를 알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https://youtube.com/shorts/2xdXMb5oVQc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과연 차회에 사용되는 청자 다기

차에 대한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차과연의 가을 차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차회에서는 박동춘 소장(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의 설명과, 다섯 종류의 특별한 한국 차를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가을차회 내용
이번 차회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차를 시음할 예정입니다.  
- 송정차  
- 대광차
- 용소차  
- 2011년 동춘차
- 고려단차(가을 차회에서는 우려서 마심)

박동춘 소장님의 해설과 함께, 직접 우려 주시는 차를 통해 차의 깊은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박동춘 소장
1980년~현재: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대광사지 야생차밭에서 매년 제다 실시
1985년: 응송스님으로부터 박동춘 소장이 「다도전게 茶道傳偈」를 받음
2001년: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설립

행사 세부 정보
- 일시: 2024년 11월 26일(화) 14:00~16:00  
- 장소: 서울 종로구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 인원: 5명(현재 5명 중 3명 접수)  
- 회비: 25만원 (녹차 한 종류 10g 제공)

기획: 박홍관(차문화기록가, 석우연담, 다석TV 운영자)
문의: DM. 전화 010 사칠팔공 6535

#차과연 #한국차 #동춘차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고려단차 #다석TV #석우연담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과연 가을차회

가을차회 안내

차에 대한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차과연의 가을 차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차회에서는 박동춘 소장(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의 설명과, 다섯 종류의 특별한 한국 차를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가을차회 내용
이번 차회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차를 시음할 예정입니다.  
- 송정차  
- 대광차
- 용소차  
- 2011년 동춘차
- 고려단차(가을 차회에서는 우려서 마심)

박동춘 소장님의 해설과 함께, 직접 우려 주시는 차를 통해 차의 깊은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박동춘 소장

박동춘 소장
1980년~현재: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대광사지 야생차밭에서 매년 제다 실시
1985년: 응송스님으로부터 박동춘 소장이 「다도전게 茶道傳偈」를 받음
2001년: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설립

행사 세부 정보
- 일시: 2024년 11월 26일(화) 12:00~14:00  
- 장소: 서울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 참가 인원: 5명 (선착순 접수)  
- 회비: 25만원 (녹차 한 종류 10g 제공)

참가 신청  
입금 계좌: 농협은행 302-0734-4364-61

기획: 박홍관(차문화기록가, 다석TV 운영자)
문의: DM. 전화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금당의 후계자 강옥희 선생

차과연 茶果緣 차회

금당 최규용 선생이 남긴 차도구로 후계자 강옥희 선생 차를 내다.

일시 : 6월 28일 13시~15시 
장소: 부산 금당차문화회

인원: 8명(접수 선착순 마감)

회비: 20만원

문의: 010-4780-6535

금당차문화회 대문

<금당 선생님의 유지를 받드는 집>

우리나라 근대 차문화사에서 중요한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금당 최규용 선생을 떠올릴 것이다. 

선생의 후계자이자 자부인 강옥희 금당차문화회 회장은, 그 유지와 정신을 이어가며 오늘날까지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대문에는 ‘금당차문화회’라고 문패가 달려 있고, 안으로 들어가니 역사를 안은 공간이 나온다. 그 공간에서 차 역사에 남을 많은 일들이 거쳐 갔고, 한국식의 차수업이 진행되었고, 손님에게 차를 대접하는 장소로도 쓰였다.

후계자인 강옥희 회장은 오래도록 우리나라의 기물을 찻자리에 녹여내었고, 지금도 우리 차문화가 나가야 할 방향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금당 선생이 남긴 차도구로 차회를 진행하는 것은, 
우리 역사의 큰 변천 속에서 잊혀지던 한국 차문화의 뿌리를 이어지게 한 금당 선생의 업적을 다시 되새기고자 함이다. 

척박했던 한국차 흐름을 일궈 오신 그 아름다운 정신이, 현재의 우리에게 어떻게 안겨올 지 기대하게 되는 찻자리이다.

PS금당 최규용 선생이 남긴 차도구로 진행하는 차회는, 

중요한 유품을 감상하는 시간이 목적이라서 마시는 차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문의가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녹차와 말차를 기본적으로 하며,  그 외 몇 가지 차에 대해서는 별도로 올리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차과연”에서 나오는 차는 “이런게 차다”라고 말할 수 있는 차(茶)를 만날 수 있습니다.

 

 

 

'차과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과연 가을차회 동춘차와 고려단차  (0) 2024.11.01
동춘차 햇차와 고려단차 차회  (0) 2024.05.15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박동춘 소장 연구실

차과연(茶果緣)은 차에 관심을 갖고 더 깊게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 기획된 차회입니다.

향후 다양한 형식의 차회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첫 번째 기획으로,

 

박동춘 소장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님이 직접 만든 녹차 네 종류와 고려단차 한 종류를 다연에 갈아서 청자 다완으로 마시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특별한 차회에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동춘 소장님의 차에 대한 설명과 직접 우려 주시는 차로 진행됩니다.

 

박동춘 소장

1980~ 현재: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대광사지 야생차밭에서 매년 제다 실시

1985: 응송스님으로부터 박동춘 소장이 다도전게茶道傳偈를 받음

2001: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설립

 

차 종류

고려단차

송정차. 대광차

용소차. 자순차`

 

일시:2024528(화요일)

장소: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차회: 15/ 5명씩 3(12시간)

 

회비: 30만원(녹차 한 종류 10g 제공)

 

접수: 농협은행(302-0734-4364-61)

 

예금주 박홍관

 

신청: DM 또는 전화 010-4780-6535

마감: 입금 선착순 마감

 

차과연은 차의 아름다움과 문화적 의미를 고려하여 기획되었으며, 차를 즐기는 분들에게 특별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많은 차애호가들이 함께하길 바랍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