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션샤위 작가 작품

()와 도구의 경계를 넘어

션쓰위 작가의 자사호 세계

 

43일부터 13일까지, 뉴스프링프로젝트와 티하우스 일지의 공동 전시가 열렸다. 평소 전시회는 첫날 방문하는 습관이 있었지만, 바쁜 일정 탓에 이번에는 마지막 날에야 겨우 찾을 수 있었다. 그렇게 만난 것은 김동준 도예가의 항아리와 션쓰위 작가의 차도구 전시였다.

자사작가 션

운이 좋게도, 션쓰위 작가와 함께 차를 마시는 자리에 동석하게 되었다. 차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는 힘을 가졌고, 작가의 손길 하나하나에서 그 진정성이 묻어났다. 차를 내리는 그의 모습, 도구를 다루는 정교한 손동작, 때로는 기물의 위치를 조금씩 옮기는 집중단순한 제작을 넘어 사용감을 연구하는 작가의 태도가 느껴졌다.

풍로와 탕관, 션쓰위 작품

자사호는 차의 향과 맛을 극대화하기 위해 세심한 공력을 담아 만들어졌다. 션쓰위 작가는 독창적인 니료(泥料) 구현과 화로에 어울리는 탕관, 공도배 등을 통해 자신만의 차 세계를 도구에 담아낸다. 한국에서 그의 매니아가 늘어나는 이유도 바로 그 디테일과 철학에 있다.

 

김동준_도예가의 항아리

이번 전시는 단순한 도예 작품의 전시가 아니라, 차와 도구가 하나 되는 순간을 체험하는 자리였다. 작품을 만드는 손끝에는 차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고집이 있었고, 그것이 관객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졌다.

-

Artist Note 선쓰위(1990-, china)

무석공예직업기술학원 졸업

 

선쓰위가 정의하는 원시성이란 지나친 교육과 반복된 훈련을 거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생명력을 담아내는 작가만의 방식으로 그의 자사는 생명의 웅장함과 비애를 느끼며, 전형적인 도자기가 갖는 그릇 표면의 매끄러운 정교함과 미려한 형상에서 파생되는 감각적 즐거움을 거부한다. 변절되지 않은 본연의 순수함을 추구하는 션쓰위는 자신의 손 끝에 닿은 진흙의 감촉에서 어떤 의지가 감지될 때 비로소 흙을 빚기 시작하여 진흙의 선택부터 차 도구의 형상, 소성, 사용감까지, 션쓰위는 본능적으로 흐르는 원기를 추구하며, 절박한 표현 속 고독한 절재미를 추구하며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티하우스일지 양재점

일지 양재점과 시작하는 차 생활의 품격

차와 향의 문화가 도시 한켠에 스며들고 있다. 일지 양재점은 그 확장의 첫걸음처럼 문을 열었고, 나는 홀로 그 공간에 발을 들여놓았다. 

바에 앉아 주인장과 차를 함께 하고 싶었지만 손님이 있어서 테이블에 앉았다.

일지는 이런 선택의 여유를 주는 공간이다. 마을에 자리 잡은 차 전문점이 주는 의미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차를 알아가는 과정이 주는 프라이드, 그 자체가 이미 우리 생활에 스며드는 고급문화임을 일지는 증명하고 있었다.

https://youtube.com/shorts/g8OwA8Zbo_Y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서울리빙디자인페어 3층 VIP 라운지

2025227, 30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의 VIP 라운지에 초대받아 특별한 시간을 보냈다. 이곳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차와 향이 일상에서 어떻게 하나가 될 수 있는지를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는 곳이었다.

 

차통

제30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 티하우스 일지(대표 정진단)가 마련한 이 공간은 차와 향을 통해 일상의 깊이를 찾아가는 여정을 제안하며, 그 안에서 큐레이션한 일자의 예술적 장르를 감상 할 수 있다.

 

3층 라운지에 들어서자마자 느껴지는 아늑한 분위기는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평화로움을 선사했다. 작은 컵에 담긴 보이차 한 잔을 손에 들고, 주변의 기물들을 찬찬히 감상하는 시간이 즐거웠다. 차와 음악의 향기는 공간 전체를 감싸며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었고, 향은 그 차분함에 깊이를 더했다. 이곳에서의 시간은 단순한 휴식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티하우스 일지는 차와 향을 매개로 한 다양한 경험을 기획하며, 큐레이션한  VIP 라운지는 그런 철학을 고스란히 담아낸 공간이었다. 차 한 잔과 향기가 주는 평안함은 마치 일상의 무게를 잠시 내려놓고, 진정한 나를 마주보는 시간을 선사했다.

 

이곳에서의 경험은 단순한 감각의 즐거움을 넘어, 내면의 평화를 찾아가는 여정이었다.

이번 경험은 단순한 이벤트 참여를 넘어, 일상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깨닫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https://youtube.com/shorts/4KDPEdqhcfk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한국에서 차를 즐기는 공간이 찻집, 차관, 티하우스 등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차 애호가들은 요즘 명확히 느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차 관련 장소가 등장하고 있죠.

3월 9일, 서울 한남동에 ‘티하우스 일지’가 문을 열었습니다. 이 곳은 한국, 중국, 대만, 인도, 스리랑카 등의 다양한 차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취급하는 차와 도구는 모두 정상 수입품입니다.

녹차, 백차, 황차, 홍차, 우롱차, 흑차 등 다양한 차를 맛볼 수 있으며, 테이크 아웃도 가능합니다.

이전에는 차관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던 기록물이 이제 티하우스로 연결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티하우스 일지’는 차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편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며, 차의 다양한 매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소: 이태원로 45길 22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티하우스 일지 매장 앞

서울리빙디자인페어

국내 최대 규모의 리빙 전시로,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 전시 공간, 인테리어를 통해 2024년 글로벌 리빙 트렌드를 경험할 수 있는 행사이다. 이번 페어에는 티하우스 일지도 참여했다.

이런 행사를 통해서 트렌드에 민감한 사람들에게 다양한 영감을 제공한다.

 

‘일지’는 향을 주제로 한 브랜드로, 차의 세계에서 쉽게 볼 수 없는 향 전문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 왔다.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에서 ‘티하우스 일지’는 타켓 페르소나의 가치를 확대 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사에서는 고급 은주전자, 무쇠주전자 등의 도구를 만나볼 수 있었다. 또한, 한국녹차, 안길백차, 노백차, 군산은침, 봉황단총 송종 등을 낱잔으로 판매하여 좋은 차의 맛을 경험할 수 있었다.

 

서울리빙디자인페어는 리빙 및 인테리어 산업 활성화를 위해 1994년부터 개최되고 있으며, 매년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인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