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봉황단총 송종

 

중국의 문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겠지만 안국동차관은 중국악기인 고쟁연주를 전문 연주자의 솜씨로 들을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그리고 향도 체험 시간은 처음 시작할 때와는 조금씩 형식을 달리 하여 새로운 방법과 종류가 다른 향을 체험하고 있다. 그래서 한 번 체험한 사람들이 다시 찾게 되어도 이전과 같지 않은 경우가 생긴다.

그런 매력과 함께 또한 차가 있다는 것. 바로 안국동 차관의 매력이다.

 

오늘 향실에서 품향한 향은 라오스홍토침, 해남패왕침이고,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지역의 침향을 감상하고 여러 산지 차이를 설명하였다. 유황과 용뇌를 보면서 형성과 차이까지 설명을 들었다.

 

차실에서 최근 중국 작가가 만든 은탕관을 감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2부는 차실로 자리를 옮겨다. 이번 차회에 참석한 회원은 부산에서 이임선, 구미에서 석은유, 강원도 영월에서 김태숙, 청주 김경희, 서울 박용남 씨 등이 참석했다. 참가자 전원 향을 배웠거나 현재 향도수업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주축이 된 모임이다. 시음한 차는 고수차로 만든 홍차, 청차로는 봉황단총 600년된 송종, 70년대 후반 보이차이다.

 

사실 봉황단총에서 송종을 만나서 시음한다는 것은 쉽지 않지만 이날의 차회에서 음악과 향, 그리고 차를 함께하는 차향회는 참가자들이 중국 문화 체험이상의 경험을 했다고 보여진다.

 

문화를 경험하는 것,

간단하고 흥미로운 일에서 머무를지 모르지만 그보다 무서운 깨달음은 없다.

 

안국동차관 차향회 후기 지난 기사

2015/06/19 -  제1회 안국동차관차회, 차와 품향을 즐기다

2015/07/22 -  제2회 안국동차관 차향회 후기

2015/07/30 -  안국동차관 제3회 차향회 후기

2015/08/11 -  향과 차를 풍미하는 시간 여행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의 개정판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7년 문화관광부 교양도서에 선정되기도 하였고 그 이후 용기를 얻어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중국을 드나들며 자료를 보충해 오고 있었다. 본 책에서 바뀐 내용은 없으나 사진의 오류를 정정하였고[사진 - 백계관 사진 교체] 같은 사진이라도 보다 정확하고 정교한 사진으로 대체하여 차의 구분을 도왔다.

차의 분류에 따른 발효도는 현재 그러한 구분 자체가 모호하기(기준이 없기)때문에 몇 %를 정할 수 없다는 것을 중국의 작업장을 재차 방문하여 확인한 결과 발효정도의 구분은 삭제하였다 .

또 중국의 언어사용에서 우리식 표현이 모호한 경우를 모두 찾아 좀 더 정확한 우리식 표기와 서술로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부족한 내용은 좀 더 풍성히 갖추고 중국차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현재 출판사에서 작업을 진행중에 있으며 흑차 부분에서 보이 긴차, 복전차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가 보완 되어 나오게 된다.

이 책에서 무이암차 가운데 백계관의 사진 오류를 처음 확인하고 알려주신 분은 경기도 광덕사 주지 경원스님이었다. 원래를 사진 작업이 잘 되어있었는데 흑백으로 된 교정지를 보면서 미쳐 확인하지 못하고 무이암차류에서 다른 사진이 나오게 되었다. 인터넷 상에서 보이차의 청병이나 숙병에 대한 여러 가지 답론이 있지만 아직까지 보이청병은 녹차로 분류하기로 하였다. 강산녹모단을 비롯한 남경우화차, 황산모봉, 신양모첨 등의 여러 사진은 교체하여 학술적인 차의 품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국내 최초로 중국차를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2006년 형설출판사)는 일명 중국차도감으로 더 많이 알려진 책으로, 2007년 문화관광부 선정 교양도서로 선택된 책이기도 합니다. 이 책 출간 이후에도 차 생산지와 제조 과정을 현지 확인하며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시키고자 준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명품사진으로 수정보완 될 차사진의 일부를 공개할 예정이며, 우선 이 책의 ‘녹차’ 가운데 ‘황산모봉(黃山毛峰)’ 사진을 석우연담 ‘차사진’ 코너에서 공개합니다. 이 책은 티소믈리에를 위한 필독서로 중국차의 바이블이다.사용자 삽입 이미지[황산모봉(黃山毛峰)]

사용자 삽입 이미지[황산모봉(黃山毛峰) 젖은 잎]

 

중국 4대 차구(茶區)
중국차의 산지 분포범위와 규모는 북위 18~38도, 동경 94~122의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다. 명대에서 청대로 넘어오면서 크게 확장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주로 현재 차가 생산되는 지역마다 차구의 분포와 생산되는 차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크게 네 지역의 차구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으며 명차의 산지는 시대별로 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특별히 산지와 생산의 변화가 크지 않아 따로 마련하지 않았다.

강북차구(江北茶區)

중국의 차생산지로서는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감숙성(甘肅省) 남부, 섬서성(陝西省) 남부, 호북성(湖北省) 남부, 안휘성(安徽省) 북부, 강소성(江蘇省) 북부, 산동성(山東省) 동남부 등이며, 겨울은 기온이 낮고 여름과 가을은 고온다습하기 때문에 주로 봄에 차가 만들어진다. 관목형(灌木型)의 중엽종과 소엽종이 많다.

섬서성 생산 차 - 오자선호, 화산취아, 화산은호, 자양모첨, 판선운무
안휘성 생산 차 - 녹차류가 생산되는 지역으로 경정녹설, 경현제괴, 곽산황아, 구화모봉, 기홍, 노중대방,
                       녹모단, 둔록, 용계화청, 육안과편, 육안차, 서성난화, 주매설연, 천주검호, 태평후괴,
                       황산모봉, 악서취란, 석순취아, 소초괴
호북성 생산 차 - 송봉차, 용중차, 은시옥로, 죽계모봉, 협주벽봉, 노청전, 선인장차, 등촌운무, 선은공차,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초판본의 표지가 '문화관광부 선정 교양도서'가 된 이후 위와 같이 양장본으로 변경되었습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장 소  : 대구 수성구 자연주의 찻집
일 시  : 2007년 4월 21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날 최고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경원스님의 참석 그 자체였다. 나는 서울에서의 학교 수업이 있어서 2시간 지각을 하였다. 그래서 경원스님과의 차에 대한 담론에 첨여하지는 못했지만, 첫 자리에 앉는 순간 새로운 인물들과의 사이에 전운이 감도는 듯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모임에서도 찻자리에서 가장 연로하신 매다옹 사장님, 새로오신 분들에게 좋은 자리를 내어 놓으시고 구석자리에 앉으셨다. 하지만 노장의 기르침은 자리가 어디에 있던 힘이 되어 주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정 멤버에 해당되는 한 분 가운데 율리님, 보이차에 익숙한 듯 이젠 주변의 분들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해 주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율리님은 와인 전문가이다. 와인을 가까이 두는 시간 그의 밝은 얼굴이 차 마신 만큼 배가되어 나타난다. 그래서 어떤이는 와인 시간을 기다리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차하는 시간은 팽주에게 기쁨을 주는 것 같다. 언제나 밝은 미소로 넉넉함이 베어나오는 주인장 박선생님, 다호 가득 담긴 홍인을 꺼집어 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홍인 100g  마신후 자차위해서 끓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차를 마시기 위해 우려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날 필자의 모습이 주인장의 카메라에 모습이 담겼다. 일주일전 그러니까 4월 초순에 중국 황산을 다녀왔다. 물론 녹차의 제조 방법을 연구하고 차 밭 사진을 담기위해서의 일정이었다. 그 때 3월15일 찻잎을 채취하여 만든 황산모봉을 선물로 가져왔는데 그 차를 필자가 우려내게 되었다. 마침 그 날 강의에 필요한 우리나라 찻잔 종류가 좀 있었는데, 그 찻잔으로 참석자 전원에게 신선한 녹차의 맛을 선사하는 시간이었다.

이날 새로오신 분의 보이차에 대한 정열적인 모습이 눈에 선하였다. 스님의 말씀 하나하나가 그 분에게 어떻게 비쳐졌는지 모르겠다. 단순히 승려의 모습에서 보았다면 앞을 가리게 되었을 것이다. 그것을 알아보는 눈도 보는 사람의 안복이다.

요즘은 관목이나 교목차에 대한 구분에 열을 올리고 있다. 빨간 줄 치면서 공부하는 사람도 많다. 차를 마시는 사람이나, 차를 파는 사람들도 잘 모른다. 그런데 너무 구분을 하고 있다.  좋은 차의 본질을 왜곡하면서 까지... 보이차는 그대로 있는데 사람들이 구분을 하고 있다. 구분을 당하는 입장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훗날 기록될까?
----------------------------------------------------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