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서는 인터넷 접수만 가능, 구비서류는 별도 우편 제출 (두 가지 모두 접수하여야 접수 완료됨)

구 분 산업대학원 석사과정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비 고
일 시 장 소 일 시 장 소
지원서 접수
(인터넷 접수)
2021.
9.13.() 09:00
~9.17.()18:00
http://go.pusan.ac.kr
http://www.jinhakapply.com
2021.
9.14.() 09:00
~9.16.()18:00
http://go.pusan.ac.kr
http://www.jinhakapply.com
인터넷접수(방문접수 불가)
수험표는 면접고사 등에 필요하므로 반드시 출력보관할 것
(인터넷 접수 방법 : p.18 참조)
원서접수 마감 다음날 지원자 현황 공고 예정(http://go.pusan.ac.kr)
구비서류 제출 2021.
9.13.()
~9.24.()
(09:00~18:00)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장전동) 10공학관 (특공관) 203
부산대학교 산업대학원 행정실
(방문제출 가능)




2021.
9.14.()
~9.17.()
(09:00~18:00)
)46241
부산광역시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장전동)
부산대학교 입학본부
일반대학원 담당자 앞
(방문제출 불가)
(2021.9.17. 등기 소인까지 유효)
기한내 구비서류 미제출자는 별도 통보 없이 불합격 처리됨.
(제출서류 목록 : p.14 - 16 참조)
면접고사 2021.
10.22.(),
14:00~(예정)
해당학과(전공) 지정장소
(2021. 10. 20.()
산업대학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공고)
2021.
10.15.(),
14:00~(예정)
해당 학과 지정장소, 시간
10.11.() 입학정보홈페이지를 통해 공지
수험표와 신분증 지참
구비서류 제출 후 면접(실기)고사에 응시하여야 하며 불참자는 불합격 처리됨.
(연구실적물제출 : p.25 참조)
합격자 발표 및
합격증 출력
2021.
11.10.(),
16:00 예정
입학정보 홈페이지
http://go.pusan.ac.kr
2021.
11.10.(),
16:00 예정
입학정보 홈페이지
http://go.pusan.ac.kr
수험번호와 생년월일(6자리) 입력 후 합격자 조회 및 합격증 출력

[문의처]

- 학과사무실(박제성조교) : 055-350-5430, 010-5396-1899

- 전공주임(이병인교수) : 010-4106-7236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는 <중국차 도감>으로 더 많이 알려진 책으로 2011년 개정판 이후 최근 중국 학계의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된 책이 출간되었다. 표지가 같은 디자인이라서 구분이 쉽지 않지만 책값이 28,000원에서 30,000원으로 변경되었다. 즉, 책값이 30,000으로 표기 된 것이 가장 최근 신작이다. 티소믈리에를 위한 필독서인 이 책은 중국차의 바이블이다.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는 2006년 초판 이후 2014년 최신 개정판까지 8년간 일명 “중국차도감”으로 통용될 만큼 중국차에 대한 가장 섬세하고 정확한 사진을 제시한 책으로 중국에서 생산된 차, 중국차를 공부하는데 유익하게 이용되었다. 중국차 이름만으로 중국차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동안 꾸준하게 수정 및 보완을 해왔다. 

사진 원고에서도 좀 더 세밀한 자료로 보완 또는 교체를 하여 새롭게 출간하였다.본문의 중국어 한자 표기법은 차를 공부하는 사람이면 누구가 쉽게 알 수 있는 방식으로 모두 정리하였다. 초판 발행 당시에만 해도 보이차와 흑차의 존재감이 약했던 시절이라 흑차의 비중이 적었는데, 이번 개정판에서 보이차고, 공첨, 상첨, 천첨, 복전 등 흑차에 대한 사진 작업과 내용이 보완되어 호남성 복전과 사천성 복전의 구분도 명확하게 하였다. 

녹차인 강산녹모단, 개화용정 등과 같은 차는 아(芽)로 만든 차와 일아 이엽으로 만든 차의 구분을 위해서 별도의 사진 작업이 보완되었으며, “중국 홍차” 부분은 좀 더 깊이 있게 정리하였다. 특히 중국 홍차는 대만의 일월담홍차와 운남에서 생산되는 운남전홍 외에 운남고수홍차를 담았다.

목차

PART . 중국차

01. . 중국의 와 산지

02. . 가공방법이나 발효 정도에 따른 중국차의 분류

03. . 중국차에 이름을 붙이는 법

04. . 중국 찻잎의 외형 용어

 

PART . 녹 차

05. 강산녹모단 06. 개화용정 07. 경산차 08. 경정록설

09. 계평서산차 10. 고교은봉 11. 고장모첨 12. 고저자순

13. 금산취아 14. 남경우화차 15. 노죽대방 16. 둔록

17. 도균모첨 18. 말리용주 19. 말리화차 20. 몽정감로

21. 무석호차 22. 벽라춘 23. 보이청병 24. 복건녹아

25. 서성난화 26. 석순취아 27. 선은공차 28. 수창향차

29. 송양은후 30. 수공예차 31. 신양모첨 32. 쌍정록

33. 안길백차 34. 안탕모봉 35. 안화송침 36. 여산운무

37. 관장모첨 38. 오자선호 39. 용계화청 40. 용정군체종

41. 43龍井 42. 용정차(사봉용정) 43. 육안과편 44. 은시옥로

45. 임해반호 46. 자양모첨 47. 죽엽청 48. 중경타차

49. 협주벽봉 50. 차운산모첨 51. 천강휘백 52. 청성설아

53. 태평후괴 54. 태평후첨 55. 화산취아 56. 황산녹모단

57. 황산모봉 58. 화산은호

 

PART . 백 차

59. 백모단 60. 백호은침 61. 수미

 

PART . 청 차

62. 대우령 63. 대홍포 64. 동정오룡차 65. 모해

66. 목책철관음 67. 무이수선 68. 문산포종차 69. 반천요

70. 백계관 71. 백호오룡 72. 본산 73. 봉황단총

74. 사계춘고산차 75. 수금귀 76. 아리산오룡 77. 안계철관음

78. 안계황금계 79. 영춘불수 80. 육계 81. 철라한

82. 수선병차

 

운남 전홍

PART . 홍 차

83. 기흥 84. 의흥홍차 85. 운남전흥 86.정산소종

 

PART . 황 차

87. 곽산황대차 88. 곽산황아 89. 군산은침 90. 몽정황아

 

PART . 흑 차

91. 천량차 92. 육보차 93. 보이숙차 94. 상첨차

95. 육안자 96. 흑전차

 

PART . 중국차를 우리는 차도구

97. . 다기(茶器)종류

98. . 도구와 차 내는 법

99. . 자사호(紫沙壺)의 세계

 

PART . 중국차, 현장의 필담

100. 한국인은 당신들이 처음입니다.

101. 홍차, 그 전설의 고향

102. 기문홍차의 위조공정에서의 손맛

103. 천량차(千兩茶)를 만들며 바로 내일을 보지 않는다

104. 천량차의 원조, 백량차(百兩茶)

105. 황산지역에서 용정차를 만들다

106. 육안과편의 고차수 신()

107. 육안과편의 조홍과 복홍

108. 오룡차의 위조, 전통과 현대

109. 유명한 만 명차가 아니다

110. 차 상인의 비장품

111. 삼천차를 담은 대나무 바구니

112. 디지털 시대의 육감

113. 600년 된 고차수 봉황단총

114. 화교의 자본으로 차 생산지 개발

115. 보이차의 연대

116. 차밭은 그 차제가 산업공단이다

117. 이제 는 자존심이다

118. 반가운 미소

119. 긴압차

120. 차의 보존은 연구자료이다

121. 희망의 차밭, 태평후괴

122. 도시에서 느낄 수 없는 맛

123. 화원 속에서 자라는 나무

124. 대홍포는 옛날의 대홍포가 아니다

125. 넉 잔에 담긴 無我

126. 중국 다예표연 감상기

127. 차를 품평하는 사람

128. 에필로그

 

차와 차산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무이암차 순료 품평회

무이암차 순료 25종 품평회 서울 국제차문화대전 행사장 내, 중국다예연구중심 부스에서 무이성에서 생산한 최고급 순료 품평회가 열린다.

이번 품평회는 중국다예연구중심(원장 김영숙) 개원 20주년을 맞이하여 준비하였으며, 각각의 품종 특징이 뚜렷한 특급의 순료만으로 엄선 하였다.

무이암차 순료 25종: 대홍포, 육계, 수선, 금관음, 금쇄시, 백계관, 반천요, 철라한, 수금귀, 옥기린, 부지춘, 황관음, 홍두구, 동리구, 취해당, 쌍여의, 기란, 황단, 팔선, 봉황단총, 소홍포, 왜각오룡, 매점, 서향, 금모단, 북두, 금유조.

문의: 중국다예연구중심/승설재

서울 종로구 북촌로40 2층 02-741-5766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