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장차라고 하는 차

 

품다열전 그 첫 번째 차로 상품으로 대기업에서 나온 차가 아닌 것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품다열전을 위해서 차를 찾아 나서기 보다는 일상적인 활동에서 만난 차였는데 차를 시음하고 그 맛이 좋았던 이유에서 주인의 양해를 구하고 시음기를 올리게 되었다. 또 한 편으로는 입창차에 대한 왜곡된 점도 많이 있는데 이런 차가 입창차로서 이후의 맛이 잘 나온 것으로 생각되어 시작하게 되었다.

 

일명 반장차라는 차다. 반장차라는 것은 유통과정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형적으로 80년대 중후반에 생산된 차라고 판단이 된다. 80년대 중후반차라고 단정하는 이유는 첫째 외형 포장지의 종이 지질이 80년대 생산된 차의 포장지이며 발효정도와 맛으로 추정하여도 80년대 중후반 차에서 나오는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물론 이 차는 입창차이다. 입창차로서 연대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차가 습기에 노출된 정도와 퇴창 정도에 따라 약간의 발효 정도는 편차가 있으나 이러한 특징들에 따라 가감해야만 연도 추정에 실수를 줄일 수 있다.

 

 

80년대 생산된 차로 판단 하며 생산차창은 아마도 맹해차창으로 추측할 수 있다. 80년대 중후반에는 개인차창들이 없었기 때문에 맹해차창에서 생산된 차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 맹해차창에서 정식으로 생산된 차라면 당시는 반장차는 이름으로 나오지 않았으며 7532, 7542, 8582라는 이름으로 나왔을 것이다.

 

이 차는 특이하게 내비가 없다. 하지만 차창에서 생산 당시에는 내비가 있었을 것이다. 근거로는 병면 중앙에 찻잎이 눌린 자국이 있기 때문이다. 찻잎이 눌린 자국은 내비가 처음에는 있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하지만 내비가 없는 이유는 아마도 80년대 중후반 대만과 중국의 양안 관계가 좋지 않은 시기에 내비를 제거하고 대만에서 수입하지 않았었나 생각된다.

 

보이차는 발효되면서 크게 두 가지 색상이 나타난다. 검은빛을 띄는 경우와 붉은 갈색 빛을 띄는 경우이다. 이차는 붉은 갈색 빛을 띈다. 이러한 차는 굳이 품차하지 않더라도 맛의 유추가 가능하다. 검은빛을 보이는 차는 떫은맛이 풍부하며 붉은빛을 보이는 차는 쓴맛이 치고 올라온다.

 

품차하여 보니 역시 1포와, 2포에서는 오랜 세월동안 잠자던 차여서 그런지 맛의 큰 특징이 없다. 3포와 4포째는 약하지만 쌉쌀한 맛이 느껴진다. 이래서 반장차라고 이름 붙었나 보다. 반장차 맛의 특징이라면 쌉쌀한 맛과 회감에서 풍부한 단맛이기 때문이다. 5포와 6포째로 뒤로 갈수록 떫은맛은 약해지면서 쓴맛이 치고 올라온다. 전형적으로 병면의 색상과 맛의 특징이 일치한다.

 

전체적으로 잘 발효된 차이다. 풍부한 바디감에서 조급 부족한듯하지만 맛의 균형이 좋고 회감에서 단침도 올라오는 차이다. 떫은맛과 쓴맛이 있지만 팩틴 성분이 막을 형성하여 몽글몽글한 느낌이기 때문에 혀에서 달라붙지 않아 기분을 좋게 한다. 전형적으로 잘 발효된 차에서 나오는 맛이다. 향에서도 크게 잡냄새가 나지 않은 것이 보관 상태도 양호한 차이다. 2001년도에 이 차를 구입하여 보관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구입 당시에는 풋맛과 풋향이 강했을 것이다. 하지만 14년이란 세월이 지나면서 차 자체가 머금고 있는 수분과 미생물들에 의해 발효가 진행된 것이다.

 

보이차는 근본적으로 입창을 했다고 해서 나쁘다.라는 인식은 옳지 못하다. 입창이 나쁜것이 아니고 퇴창을 얼마나 잘했느냐도 더 중요하다. 이것은 차를 마셔야 될 때를 판단해야 해야 한다. 보이차에서 세월은 중요하지 않다. 10년이란 세월을 우리가 보관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얼마 만큼에 변화가 있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이 차는 주인장의 안목에 의해 성공적인 판단을 하였다고 본다.

 

보이차 소장: 열화품다

소장 기간: 15

-

PS: 이 차는 내비가 없으며 연대를 추정하거나 특정 상품을 지칭할만한 근거가 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그래서 보이 노차(일명 골동보이차)를 국제적으로 가장 많이 유통시킨 경험을 가진 김경우 씨의 자문을 받아서 기술하게 된 점을 밝힌다.

'다미향담 > 품다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다열전(品茶列傳)을 오픈하면서  (3) 2015.02.24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아사가 차회를 15회차 기록하면서 새로운 찻자리를 만났다.

그것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같은 종류의 차를 연대별 비교 시음이다.

 

아사가 차회 정기 모임의 성격이기에 필자가 차를 품평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노반장을 메인으로 마시기 때문에 서브메뉴로 준비한 것은 오랜 세월을 이겨온 천량차다. 그리고 비교 시음한 차로는 2007년 두기에서 생산한 노반장과 2012년 아사가에서 주문 생산한 노반장을 비교 시음했다.

 

여기서 5년 더 오래되었다고 맛의 장점을 찾아보기 어려운 자리였고 때문에 차의 맛을 무엇이 좌우하는가에 대한 설명과 함께 차를 비교해서 마신 자리였다. 뒤이어 나온 차는 1996년과 1983, 마지막으로 1972년 반장 산차를 구분지어 차를 내기에 참석자는 충분이 맛의 차이를 탕색과 함께 느끼기에 충분했다. 이런 방식의 시음은 차회에 참석한 많은 회원들에게 주인이 차를 내는 프로그램으로 이제까지 익숙한 것이다. 그러나 이번은 좀 더 명확하고 차문화적으로도 꼭 해야만 하는 프로그램이 구성된다.

 

다름아닌 노반장을 대상으로 차품을 선정하여 그것을 제작 시기별로 나누고, 그에 따른 시음을 하면서 특정 차산지에서 출시된 차의 맛을 실제로 체험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이는 쉬운 프로그램같아 보이지만 실제 명확한 차품을 마련하는 것이 관건이다.

특히 차를 준비할 때 회사 상품을 품평할 경우 동일한 회사의 제품을 생산 시기별로 구분하든가, 아사가 차관에서 주문한 노반장이 한 가지만 있다면 보관 장소에 따른 맛의 차이를 시음해보는 것도 좋을 성 싶다. 더 나아가 반장차의 품을 논하는 자리라면 유명한 대표격 노반장차를 모두 모아 놓고 품평을 진행하는 것도 다른 곳에서는 할 수 없는 특징적인 행사가 될 것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품질이 좋은 차 만으로 구성한 것은 어디에서도 쉽지 않은 것이다. 온전한 차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큰 준비의 포인트가 되는데 이제 그런 방법으로 차회가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2005년 창태차업집단에서 생산한 창태호(昌泰號) 반장차

티하우스 오픈을 준비하는 박성채 대표를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최근 한국의 차문화가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여러유형의 차 문화 공간이 만들어지고 있다. 오리지널 차와 전통차의 구분이 아니라, 새로운 트랜드가 생기고 있다. 시류에 따라 테이크아웃에 중점을 둔 업체가 있다면 그와 출발점이 다른 차의 본질을 그대로 가지고 조금 더 고급층의 수요를 타켓으로 접근하는 것이 새롭게 오픈될 티하우스가 강남구 논현동에 자리를 잡았다.

조만간 정식 오픈을 앞두고 있는 박성채 대표를 중국 출장가는 12일 새벽 030분에 만나 530분까지 차를 마시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날 네 가지의 차를 마셨는데 처음에 마신 차가 2005년 반장차가 사무실에서 나올 때 까지 인상깊게 남았다. 포장지에는 운남창태차업집단(雲南 昌泰茶業集團)과 창태호(昌泰號)로 표기되어있다. 창태집단은 유명한 이창호(易昌號)를 만든 회사로서, 창태호(昌泰號), 항풍원(恆豐源), 진홍창(陳弘昌), 사보원(思普源), 운보지전(雲普之顛), 백년진창(百年陳倉)을 생산하였다.

티하우스 사무실에서 만난 박성채 대표, 마카오 보이차 내는 모습[동영상]

중국내에서 큰 규모가 아니기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차창의 차지만 반장차는 맛과 향이 좋은 차인 것은 원재료와 보관 상태가 매우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
. 탕색 또한 맛이 주는 깊이 만큼보였다. 창태호 경곡차도 마셨지만 필자에겐 반장차에 더 마음이 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다식으로 흑임자쿠키, 치즈마가렛, 찰리브라우니, 인절미쿠키를 먹었다. 보이차와 함께 먹기에는 맛과 영양이 풍부한 것으로 '티하우스'만의 다식이 준비된 것을 보면서 메뉴 개발과 함께 정식오픈이 가까워 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