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식으로 미쉐린 원스타를 받은 <큰기와집> 주인 한영용 대표의 책이 출간되었다.

제목은 한영용의 접빈이다.

 

그 동안 사회 각계 어르신들을 모셨던 특별한 자리 중에서, 직접 찾아가서 음식과 차를 대접한 내용을 하나하나 세밀하게 정리하여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사찰 부분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차의 성지로 추앙받는 일지암으로 선정하고, 네 번째 암주로 소임을 맡은 법인 스님, 원주 스님과 대흥사 도반 스님을 모시고, 대중공양을 올리는 차원을 넘어선 정성을 다해 음식과 차를 올리는 내용을 담았다.

 

칠불암 차회, 세한도에 수인하는 모습

 

하동 칠불암에서는 주지 도웅 스님과 김동호 전 문화융성위원장, 임권택 영화감독, 윤상기 하동군수, 김복일 국제창작다례협회장을 모시고, 저자의 향도 시연과 곱돌화로에 물을 끓여 차를 대접한 내용을 다례문화 기록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고은 시인의 수원 자택에서는 감사다회로 식사와 차를 올렸으며, 소리꾼 장사익 선생의 자택에서는 삼복다회라는 이름으로 차를 대접하고 향을 올렸다.

 

문화계 인사와 원로 차인들을 찾아 자택이나 작업 현장에서 직접 식사와 차를 대접한 일을, 13가지 형식으로 상세하게 기록한 한영용의 접빈, 음식 문화 기록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선희 원장 차실

 

목차

서문/‘시아본사나의 근본 되는 스승

1. 법인스님/일지암 다회

2. 임권택 감독/칠불암다회

3. 고세연 스승님/회고다회

4. 전명진 교무님/모심다회

5. 이시영 박사님/매화다회

6. 고은 시인/감사다회

7. 박석무 이사장님/다산연구소 10주년 기념다회

8. 류건집 교수님/상구하화

9. 신운학 원장님/양로다회

10. 고선희 원장님/문경 칠석 진다례

11. 전재분 회장님/사랑나눔다회

12. 장사익 민족가수/삼복다회

13. 청주 한씨/차례풍경

에필로그

저자소개

 

칠불암 선비다례 시연

 

추천사 (최영훈 - 동아일보 수석 논설위원)

 

향산에 들다

 

내 평생 동지이자 동생인 향산 한영용은 참 곰살갑다. 그를 본 지 10년 세월이 후딱 지났지만, 한복을 늘 입고 다니는 이유는 몰랐다. 그저 취향이겠지 짐작만 했는데 불과 얼마 전에야 피눈물 나는 사연을 들었다. 34년 전, 향산이 중학교 2학년 때 교복자율화가 시행되었는데, 모친께서 학교에 입고 가라고 직접 한복을 지어 주셨다. 그러나 향산은 어머니가 공들여 지은 한복을 밀쳐 두고 청바지에 점퍼 차림으로 등교했다나.

 

그리고 맞은 그해 추석 전날까지 새 옷 사줄 생각 없는 기색에 댓 발 나온 입으로 잠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추석날 머리맡에 다시 그 한복이 있었다 한다. 아버지께서 즐겨 입으셨던 한복을 뜯어서 지은 옷이니 늘 아버지께서 함께하는 것같이 생각하고 만인 앞에 기죽지 말고 자부심을 가졌으면 해서 이 옷을 선물하니 더 남자답고 멋진 아들이 되어 주리라 믿는다는 어머니께서 직접 쓰신 손편지와 함께.

 

향산은 효심이 깊다. 어머니 칠순 때 18명이 짊어진 가마에 모친을 모시고 자신이 일했던 신라호텔 구석구석을 함께 돌았다 500벌이 넘는 한복을 직접 지어 주신 어머니 은혜에 조금이나마 보답하려는 생각에서였다. 향산은 그 추석날 한복 저고리 깃을 잡아당기는 순간 옷깃을 여민다는 말이 피부에 와 닿으며 소름이 돋았다 한다. 그때 철이 든 것이었을까 어머니께서 손바느질로 한 땀 한 땀 기워 한복을 공들여 지어 내는 마음은 매사에 진중하고 큰 행사든 작은 행사든 늘 최선을 다하는 자세는 오늘의 향산을 만들었다.

 

효와 충은 늘 불가분의 관계다. 향산의 나라 사랑에 나는 목이 메는 경우가 많다. 호국의 달인 64일과 5일 향산과 임권택 감독님을 모시고 화순 적벽을 다녀왔다. 동복호에 태아가 누운 것처럼 생긴 배꼽자리 천제단에서 김승희 김애숙 선생 등 차인(茶人)과 살풀이춤으로 엄숙한 의식을 더 경건하게 만들어 준 최용현, 그 외 김혁수김진형마승철서영화 부부·박형규·방성열과 함께 차()를 올리는 천제를 지냈다.

 

모두 함께 국태민안과 조국통일을 빌고 또 빌었다. 그런 행사를 빈틈없이 총괄기획하는 향산을 나는 동생이지만 존경한다. 그가 임 감독님·김동호 부산영화제 위원장과 장사익 형 같은 분을 모시는 자세는 참 배울 만하다. 그러니 10년 가깝게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님을 도와 다산추모제의 다례행사를 정성껏 지내 왔으리라.

 

나 금송과 향산은 앞으로도 힘을 합쳐 차와 전통문화를 인성교육에 접목해 애국하는 인재들을 기르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그래서 향산은 나의 동생이면서 동지다. 그런 그에게 헌사를 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참 기쁘다. 생각한 대로 사는 향산에게 하늘의 큰 복이 있을지어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원불교 안산교당 신축 봉불식에서 헌향하는 모습

원불교 안산교당(전명진 교무) 신축 봉불식이 2014622일 원불교 안산교당에서 거행되었다. 안산교당 봉불식 식전행사로 헌향(獻香)이 있었는데, 헌향은 한영용 박사가 진행하였다. 헌향 의식은 중국향도에 기반을 둔 향도구를 이용하였으며 향탁대신 향반을 바닦에 놓고 은엽(銀葉)위에 침향을 올려 격화훈향법으로 하였다.
내빈으로 참석한 민산 조제민 교의회의장, 남경필 신임 경기도지사(어머니 참석), 제종길 신임 안산시장이 축사를 하고 그외 많은 정치인들이 참석하였다. 최대웅 건축 위원장의 상세한 경과보고, 설타원 전명진 교무의 봉안문 낭독과 전산 김주원 영산선학개총장의 설법 원음합창단의 축하공연 등으로 큰 성황을 이루었다.

설타원 전명진 교무

원불교 안산교당 신축건물

안산교당 본당2층

중국향도에 기초하여 향도구를 들고 입장하는 모습(한영용 박사)

신축봉불식 헌향하는 모습(석우미디어 동영상)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중국 대련 반용사 헌향, 헌다 의식에서 서화 작가 강위와 함께 한영용 박사

삼국시대
, 고려조, 조선조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이미 아시아에서의 복식과 건(巾)의 형태는 한중교류의 역사가 깊고 다양하다. 이번 중국 대련에서 유건과 복장의 어우러짐은 차와는 다른 문화적인 융화를 이루어냈다. 물론 그 복식과 유건의 사용이 올바르던 아니던 상관은 없다. 실제 전통복장이라는 점이 더 중요한 것일 뿐이다.

2014년 5월 5일 대련 반용사 대웅전에서 만난 강위 선생의 복장을 보고 한영용 박사는 소장하고 있던 유건(儒巾)을 즉석해서 선물을 하였다.
유건을 쓴 강위의 모습은 순간적으로 주변의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받게 되었다. 마치 오래된 주인의 물건을 찾은 듯한 강위의 얼굴의 표정을 잊을 수없다.

검은 유건은 묘하게도 그 사람의 복식과 정확한 매치를 이루었고, 우리 한 박사의 천익(天翼) 복식은 말끔한 인물정리와 함께 흑백의 묘한 조화를 이루었다. 더불어 두 인물의 복식과 차림새는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전통의 진정한 멋과 우리가 잊고 있었던 전통복식에 대한 우아함도 같이 느낀 자리였다고 생각된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한얼음식연구소 출품 큰상고임, 이바지음식, 폐백음식


2014
년 한국음식 박람회가 4일간의 전시를 마쳤다. 행사는 한국음식의 세계화한국음식의 관광자원화’, 국내 음식문화를 활성화하여 한국음식문화의 선진화에 크게 기여 하기위한 목적으로 매년 시행되고 있다.
이번 행사에 이슈가 된 발표작은 처음 출전한
한얼한식연구소에서 출품한 큰상고임, 이바지음식, 폐백음식으로 한국의 얼이 다긴 음식을 출품하여 큰 호응을 받아 문체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총기획과 연출을 한 한영용 박사는 통일은 대박입니다라는 민족의 아품과 소망을 음식으로 승화시키면서 지도교수로 헌신을 다하여 이러한 영예를 얻게 되었다. 향후 한식연구소는 국내 여러행사를 통해 한식의 아름다움과 세계화에 큰 뜻을 갖고 있다.

강민수 대회장과 김을동 국회의원 출품작 앞에서 감상하는 모습

강만수 대회장 김을동 국회의원에게, 큰상고임 앞에서 설명하는 모습[동영상]

사진 왼쪽, 총연출을 맡은 한영용 박사가 심사위원에게 출품작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이루향서원 정진단 원장의 향도 발표
세로토닌 문화원 이시영 박사의 문인화 회원들과 주한중국문화원 펑유커 부원장, 이루향서원 정진단 원장, 중국 서예가 섭흔선생이 참석하였으며 문인화 회원인 한영용 박사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차문화 관련 인물은 티월드페스티벌 김정순 위원장, 아리랑차문화원 최송자 원장, 정은희 선생이 참석하였다.

이날 행사는 중국문화원에서 봄맞이 한중 墨香茶회로 이루향서원 정진단 원장의 중국향도 발표에 문인화 회원들을 초청하여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에게 향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향이 차와 그림, 음악과 어울려 차의 맛과 멋을 누리는 시간을 가졌다.

세로토닌 문화원 이시영 이사장과 회원, 정진단 원장 향도 발표 [석우미디어 동영상보기]

2009년부터 중국문화부에서 중국문화복원 운동을 위해 향도협회를 설립하고, 향을 즐기는 문화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중국인 정진단 원장이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향후 중국향도 발표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세로토닌 문화원 화원들과 함께 기념사진

이날 세로토닌 문화원 회원들의 문인화를 그리는 모습은 여느 모임에서는 볼 수 없는 것으로, 짧은 시간에 진지한 작업을 볼 수 있었다. 처음 만난 시간부터 1시간가량, 각자 나름의 그림을 그렸다. 이시영 박사는 곧 출간될 책 제목 여든소년 산이되다를 큰 글씨 작은 글씨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목 한 가지를 수도 없이 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렇게 써서 출판사에 주면 여기에서 어울리는 글자를 찾아서 표지 제목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표지 글씨를 직접 작업하는 모습이 필자에게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시간이었다.

이시영 박사의 <여든 소년 산이 되다> 제목을 쓰는 모습

김영수 화백

국제서법가협회 비서장 섭흔

그리고 김영수 화백의 그림과 중국 서예가 섭흔 선생의 글씨로 완성한 작품은 한 장소에서 향과 그림과 가 어울리는 시간이었다.



이루차문화원 관련 기사
2014/01/16 - 1992년 고수차와 1968년 하관반선차
2014/01/06 - 1968년 하관반선전차(下关班禅砖茶) 차회
2013/12/30 -  마음 치유하는 중국 향도와 명상 교육
2013/12/02 - 이루향서원 정진단 원장의 중국 향도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각시와 신랑이 부모님께 절을 올린다

혼인 축하 다연회(婚姻祝賀 茶宴會)의 주인공은, 우리나라 차문화계에서 행다법 연구에 특별한 장르를 연구하면서 1990년대 중반 ‘시대차’를 발표하고 황실다례를 연구해온 창작다례협회 김복일 회장의 아들 방성열과 며느리 이숙영이다.
필자는 그동안 수많은 차 관련 행사를 봐 왔고 기록을 해왔다. 그 기록의 방향은 크게 알려진 차 단체의 행사보다 규모는 작지만 내용이 알차고 많은 사람들에게 공개적으로 알릴 가치가 있는 일에는 더 많은 공을 들여서 보도해 왔다.

전통혼례 '사권화', 비단으로 만든 꽃을 꽂아준다.

그런 중에 차인 가족 결혼식에서의 찻자리도 많이 접했는데, 지금까지 특별히 보도성 글을 올리지 않은 이유는, 상식적인 음료 대접의 정도로만 여겨졌을 뿐 특별한 느낌이 있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모든 일에서 그렇듯이 준비된 일은 항상 뭐가 달라도 다르다. 이날의 다연회 역시 그랬다. ‘그것도 돈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이지’라고 치부하고 넘길 수도 있겠지만, ‘준비’라는 것이 항상 물질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적인 ‘채움’에 그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이날 결혼식 후 찻자리는 여태까지 참석한 많은 결혼식 다연회 중 가장 격조 있는 자리였고, ‘나도 한번 해보고 싶은’ 찻자리다.

2013년 12월 14일의 ‘영원히 기억될 혼인 축하 다연회’를 간단히 소개해본다.

혼주: 방충식, 김복일
일시: 2013년 12월 14일 토요일 오후 3시
결혼식: 소망교회 선교회 2층 예배실
황실다례시연: 이혜경, 김명자, 서연순
자수: 정명자 / 복식: 방미자 한복 / 다식: 소초 한영용 & 미정당

다연회:  ‘혼인 축하 다연회’는 피로연 장소인 한일관 건너편 하나은행 빌딩 1층 ‘카페아티’
총진행: 한영용 박사 / 다례연출: 김승희 명희원 원장 / 다찬회연출: 최송자 아리랑차문화원 원장
다찬회: 김윤숙, 안효정, 김영실, 정영동
주최: (사)대한명인회 황실다례 명인 / 주관: (사)우리선문화원

발효음식공학박사  한영용 연출(곶감 나비, 반달떡, 두텁떡, 주악)

빌딩숲으로 화려한 서울시내 눈까지 내리는 날, 강남에 있는 소망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전통의식 폐백은 교회에서 가까운 피로연 장소 인근 ‘카페아티’에서 폐백례를 대신하는 혼인 축하 다연회를 하게 되었다.

1시간 전에 도착한 필자는 손님상에 놓인 지판 위의 내용을 보고 한영용 박사에게 내용을 물었다.
한 박사는, 지판에 올려진 음식은 찻잔 외에 4가지 음식이 있는데, 그 중 ‘쌍계피떡’은 초승달 모양의 떡 두개가 하나로 합친 것으로 남자와 여자를 상징한 것이라 하며, 반달 두개가 모여 원이 되는 것은 인생이 초승달에서 나이가 들면 인품이나 재물이 꽉 찬 둥근달 모양처럼 되는 것이 좋다는 의미라고 한다.

이것을 이성지합이라고 한다고. 또 나비 모양의 곶감은 감이라는 것에는 본디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속뜻이 있기 때문에, 이런 세레모니에서는 빠지지 않는 것이 감이라고 한다.

또 다른 나무와 달리 감나무는 접을 붙여야 감이 생기듯이, 사람도 어떤 가르침을 받는가에 따라서 인생이 달라지듯 가르침의 의미가 있는 나비처럼 훨훨 날아서 자기가 배운 학문과 지식을 나비처럼 남에게 전파하고 복을 지으라는 것이라 한다.

신랑은 앞으로 법관으로서 소명을 다해야 할 텐데 법을 배운 것이 단지 지식 활용으로만이 아니라, 어려움에 처하거나 억울한 일을 풀어내는 훌륭한 역할을 기대하기에 그런 생각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고 한다. 이럴 정도로 생각하고 연출한 다연회이니 특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간단한 순서로는 다음과 같다.

각시와 신랑은 다연회장 입구에서 남자 어린이(한수창)와 여자 어린이(한원선) 뒤에 서서 들어오는데, 어린이 각각이 길을 밝히는 청사초롱을 들고 입장하여 폐백 큰상 앞으로 간다. 큰상 앞에서 큰 절을 올리고 나면 시어머니는 며느리 머리에 사권화(絲圈花, 비단으로 만든 꽃)를 꽂아준다.

사권화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는 꽃 장식으로 큰 잔치 때에 모든 참가자에게 꽂아 주던 것으로, 요즘으로 보면 내빈의 가슴에 꽃을 꽂아주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 시점에 명주(소망교회 김명자 권사)는 부모님께 올릴 차를 준비한다.(사진 위)
각시와 신랑은 부모님께 차를 올리고 차를 마신 부모는 밤을 하나씩 건네주었다. 그 다음에는 신랑과 각시도 차를 마셨는데 신랑이 각시에게 차를 마실 수 있게 해 주었다. 이후 건배를 하는데 참가한 모든 분들이 찻잔을 들고 건배하면서 차를 마셨다.

진다송 이강근 선생(중요무형문화재 제86호 궁중가사창)

부모님께 차를 올리는 모습

방송인 최불암

덕담을 마치고 방송인들과 기념촬영 다음은 주빈 덕담 순으로, 사권화를 꽂은 각시와 신랑이 손님 쪽으로 돌아서니 방송인 최불암, 임현식, 이정섭님 순으로 주빈 덕담을 하였다. 각각 3∼4분 정도의 짧은 시간이었지만 세 분 다 위트와 유머를 곁들인 덕담으로 참가자들에게도 흥미로운 시간이 되었다. 참가자들에게 말차를 한 잔씩 나누어 주는 자리에서는 김승의 명희원 원장이 연지에 말차를 넣고 찻솔로 격불하여 표주박으로 한 잔씩 찻잔에 담아 손님들이 함께 마시게 하였다.

판소리 사랑가 서진경 선생(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홍보가 이수자)

[석우미디어] 동영상으로 신랑이 각시를 업고 춤추는 모습 서진경 선생의 판소리와 함께

연지에 말차를 넣는다

연지에 말차를 격불하여 나눔잔에 따른다

한영용 박사의 연출 콘셉트는 (茶)는 다반사인 것처럼 어느 곳에서나 마실 수 있다. 하지만 살아가면서 중요한 순간에서의 차는 차가 가지고 있는 깊은 미덕과 철학이 우리 삶속에서 다시 한 번 필요한 자리에 큰 못을 박아주는 것 같은 것처럼 중요하다고 했다. 요즘 오감만 자극하는 행사가 많아지는 가운데, 차가 가지고 있는 오덕은 현시대인들의 쉽게 만나고 헤어지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점도 담고, 한국 문화 근간의 뿌리를 혼례라고 하는 부분에서 굵은 실을 뽑아내듯이 우리의 좋은 혼례 문화를 알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한다.
-----------------
이번 다연회는 어머니가 기도하며 수십 년간 준비한 활옷에 당의를 입고 국악과 뜻이 담긴 다식에 폐백대신 혼인다연회를 하였다. 다연회는 술이 아닌 차(茶) 문화의 정신세계를 보여준 차인의 아름다운 이야기를 보여주었다. 아래 글은 김복일 선생이 아들과 며느리에게 쓴 편지 내용이다. 어머니 마음으로 쓴 글이기에 추가해서 올린다.(필자 주, 다연회와 다찬회는 비슷한 내용이지만 안내장에 '혼인 축하 다연회'라고 되어 있기에 이 글에서는 다연회로 통일한다)

아들 성열아. 새애기 숙영아
이제 우리가 한 家族이 되는구나. 인생의 새출발을 하는 婚姻을 眞心으로 祝福하고 家族됨을 歡迎한다. 오늘 북한산이 흰 눈으로 덮혀서 신비롭기도 하구나 “淡然堂” 우리집에서 너를 처음 만났던 지난해 그날도 눈이 많이 왔었지 ?

 

그 해에는 할아버지 100년 분재에 동백꽃이 滿發했었지. 예로부터 함박눈에 동백꽃이 피면 아주 행복하게 잘 산단다. 우리네 조상들의 智慧와 美學에 感動하며 설래이는 마음으로 전통문화 茶道 와 服飾을 공부하며 儀裝品 의 吉祥紋 뜻에 기뻐하며 智德을 겸비한 상상속의 신부가 숙영이 였다니 感悔롭고 幸福하다. 너희들 서로 사랑하는 同伴者를 만나서 밝고 아름다운 꿈을 가지고 살아가는 모습을 바라보는 일이 兩家父母에게는 孝道이고 幸福이란다
함박눈과 동백꽃은 너희들의 만남과 祝福에 깊은 인연과 意味를 담고 있는 人生의 幸運을 가져다준 “吉象家花”가 되었다. 戀愛時節 의 설래임 은 흰눈에 덮힌 꿈속에 신비로움 이라면 현실생활이란 함박눈 이 햇빛에 점 점 녹아내리며 펼치는 인생의 “喜怒哀樂”의 속살이라 고나 할까 우리서로 이해하며 예쁘게 노력하며 살자구나.

한장씩 펼쳐 보이는 人生 敎科書 에는 조상들은 삶이 결코 쉽지 안음을 茶의 香 과 맛을 人生에 비유하면서 五味요 “ 苦盡甘來 ”라고 하였단다. 初味는 씁쓸한듯 微妙하지만 낮은 자세로 조화를 찾을 때 진정한 夫婦이며 後味에 단맛과 香氣로운 삶을 열어가는 五盞의 열쇄를 주었단다.

한잔 一味는 사랑하며 .
두잔 二味는 健康이며 .
석잔 三味는 尊重하며 .
넉잔 四味는 感謝생활 .
오잔 五味는 弘益이라 .

변함없는 “사랑 과 이해 ” 가운데 함께 걷는 길은 人生의 風浪 속에서도 든든하며 兩家의 父母님이 살아 내셨듯이 根本을 본받아서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人生의 勝利者가 되기를 빌며 다시 한번 사랑한다.

2013년 12월11일 어미가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