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조산방 이길원 대표

강남 fc에서 기획한

[선배님의 찻자리 시리즈]

 

첫 번째, 초대 선배님은 설조산방 이길원 대표로서 후배에게 차를 대접하는 두 시간 동안 4가지 차를 하나하나 설명하면서 내었다.

 

첫 번째, 2013년 생산한 2,700년 수령의 아포차

두 번째, 2024 다솔사 봉일암 녹차

세 번째, 2019 관아수제차 발효차

네 번째, 1999년 진순아호

네 번째, 20038583

 

이런 참신한 기획은 젊은 세대에게 새로운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설조산방 @sulzo1

fc강남 @fc__gangnam

임형택 @sosim_archive

 

https://youtube.com/shorts/hTZ_JB-ierM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2024719-729

 

김동표 김수연 김정우 박성극 박진혁 신현민 은성민 이문정 정영유 정유나 정준영 지승민 최소정 도재명차

 

수페리어갤러리는 2014년 새로운 도예의 흐름을 만드는 김동표, 김수연, 김정우, 박성극, 박진혁, 신현민, 은성민, 이문정, 정영나, 정준영, 지승민, 최소정, 도재명차가 모인 [강남 파인 크래프트 아트 클럽 전시회]를 선보입니다.

 

도자예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도전을 바탕으로 12명의 작가들이 축구팀처럼 하나가 되어 차와 공예를 중심으로 공유하고 공감하며, 향유될 수 있는 새로운 공예의 흐름에 대해 사유합니다.

 

흙과 시간이 만들어낸 미학이 담긴 작품들을 향유하면서 맛과 멋을 슈페리어갤러리에서 즐겨보시길 바랍니다. 전시: 729일까지 진행됩니다.

---

말차를 내는 박세연 선생님(사진 앞)

7월 19일 파주 출판단지에서 중요한 인쇄물의 감리를 마치고 출발했는데, 7시 오프닝 시간 20분이 지나 도착했다. 

전시장에는 20대-30대 젊은이가 90%인 약간은 익숙하지 않은 분위기에 말차를 마시는 모습들이 눈에 확! 들어왔다.

말차를 내시는 분은 임형택 원장님, 차움앤코 김본 선생님, 박세연 선생님과 김동표 님도 함께 하였다. 

 

말차를 뷔페 같은 방식으로 마실 수 있도록 이벤트를 준비했는데, 입장을 하게 되면 색상별로 번호표를 받게 된다. 중간중간에 티켓 색상과 번호를 부르면 해당 장소에서 마시고 싶은 다완을 선정한다. 21조씩 말차 두 종류와 다식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차를 마시 게 된다. [아래 다석티비 영상 참조]

https://youtube.com/shorts/CQ16cjluWlo

 

풍성한 경품 추첨은 조령요 신현민 작가가 유머와 재치로 분위기를 돋우었다.

마지막 이벤트로는 김동표 기획 감독 님이 팽주 역할을 하면서 큰 용기와 완에 말차를 농차로 격불하여 나눔 찻잔에 따르고 손님은 향기 가득한 차를 마시는 경험을 주었다. 이 부분은 다도의 세계와는 다르지만 말차 뷔페의 카테고리를 만든 이번 행사에 걸맞은 내용으로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스타벅스 ssg마켓도곡 R점에서 임형택 원장

오후 3시경 갑자기 임형택 원장과 만날 일이 있었는데, 어디서 만나지? 가까운 곳의 찻집 어디 어디는 문을 닫았고 또 다른 곳은 예약을 해야 되는데...

내가 먼저 우리 스타벅스에서 만납시다고 했다. 그래서 만난 곳이 스타벅스 ssg 마켓도곡_R 점이다.

 

스타벅스 커피

스타벅스 내에서도 구분된 운영 방식은 처음 알았다.

‘R 에서는 커피가 다르고 가격도 다르다.

 

세 종류의 커피를 마시며 향미를 직관적으로 느껴보고 즐기는 시간이 좋았다.

커피 문화에 다양한 경험을 가진 분과 커피에서 찰나의 맛을 나눌 수 새로운 시각을 공유하게 되어 기념으로 사진을 한 장 남겼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미미당

한의원을 운영하는 임형택 원장은 차와 함께하는 치유의 시간도 운영하고 있다.

 

원장실 바로 옆에는 차실이 있다. 요즘 차실을 자주 이용하면서 한의원 차실이라고 하기 보다는 뭔가 당호가 있으면 좋겠다고 했더니 날보고 한 번 만들어 봐달라고 했다.

 

임원장의 호가 소심이라 스스로 소()자 들어가는 호를 원하지만 당신의 호()는 다른 이들이 불러주는 것이 주된 임무이기에 당호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여러 가지 한자의 배열과 음감 등을 서로 비추어 보지만 당호로서 그리고 원장님의 호와 어우러 지고, 당신이 원하는 의미와 연결되기가 쉽지는 않았다.

 

며칠간 고심 끝에 작은 차실의 이름으로 음감도 좋고, 원장님의 뜻과도 어우러질 수 있는 의미를 가진 이름을 마련해 보았다.

 

() 작다 적다,

() 더운물 끓일 탕

() 작은 집 배우는 장소

 

그 의미는 겸손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물을 끓여 차를 마시며 서로 배우는 곳이라 하겠다.

-

<미미당>은 명품 다완 '비황'을 소장하고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환자 대기실 찻자리

 

오늘 자하연 한의원을 방문했다.

임형택 원장님과 점심 약속을 하고 방문했는데, 환자 대기실에는 찻자리가 놓였다. 지난 번에는 안 보였는데 생각하며 쳐다보니 차를 내는 분이 자리에 있었다.

 

황성준 선생이 차를 내는 모습

 

얼굴이 맑고 기운이 좋아 보이는 황성준 선생이 인사를 하고 차 한잔 내겠다고 해서 마셨는데, 100년 노총수선과 우란갱(牛欄坑) 수선이다. 정말 오랜만에 귀한 차를 대접받았다. 그리고 그 장소가 한의원이어서인지 매우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보이는 것이 이런 방식으로 환자를 응대하는 것이 환자에게는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우란갱 수선

 

임형택 원장과의 약속 시간을 조금 기다리면서 차 한 잔 나누는 이런 일을 다른 환자들과의 이야기가 되겠지만 우리의 일상에서 이런 자리가 사람들을 좀 더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보이게 하고 그런 과정에서 총체적인 치유라는 것이 자연스럽게 다가온 오늘의 찻자리였다.

 

노총수선

 

어딘가 아프고 그 때문에 병원을 찾는다. 아픈 곳보다, 아프기 때문이 아니라, 누군가 자신이 아프다는 심정 하나만 인정하고 위로의 말 한마디라도 던져줄 때 병은 빠르게 낫는다.

 

아이의 엄마 배 아파라는 말에 엄마는 약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엄마는 어디가 아프냐며 따뜻한 손으로 배를 쓰다듬어준다.

 

자하연 한의원 환자 대기실에서의 차 한 잔은 바로 이런 따뜻한 손이 아닐까.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자하연한의원 임형택 원장

 

혹독한 더위 속, 점심 시간에 자하연 한의원을 방문했다. 원장실 옆에 차실에 있는데 이번에 발행하는 다석 3<이달의 茶席>에 초대하기 위해서다. 인사를 위해 원장실에 들어간 순간, 임형택 원장 책상에 놓인 작은 찻자리가 눈에 확 들어왔다.

 

1g으로 맛과 향을 내는 자리

 

양해를 구하고 먼저 사진 한 장 찰칵하고 물었다. 어떻게 원장 책상 위에 차를 놓고 환자 상담을 하게 되는지?

 

1g의 법칙을 시행하는 자리다.

 

10년전 병원에 남는 방이 하나 생겨서 그 방에 차를 준비하여 손님을 대접하자! 라는 생각에, 그래서 좋은 차도구를 준비하기 위해 많이 다녔다.

 

그런 과정에 환자와 대면하는 자리에서 작은 다기로 차 한잔 대접하고자 별도로 준비하였다. 그런 자리에 딱 어울리는게 대만의 기고당 제품의 다기이며 차(茶)는 기고당(奇古堂) 사장님이 주장하시는 1인 분량이 좋은 차 1g을 넣어서 사용했다. 실제로 원장과의 대담, 문진시에 차 한잔의 효과는 의사 앞의 환자가 조금 안정되는 경험을 여러번 했다고 한다.

 

그렇고 보니 필자의 추억이 떠오른다.

 

11g

 

필자가 타이페이 시내에 있는 기고당에 갈 때는 늘 딸과 같이 가게 되었는데, 건강한 차생활을 위해서 두가지 규칙을 권했다.

 

하나는 차를 마실 때 반드시 코로 가져가서 향을 먼저 맡고 차를 마시는 습관이다.

차의 좋은 향기 성분을 먼저 코 점막을 통해서 흡입하는 과정이 좋다고 한다.

 

두 번째는 차의 분량인데 좋은 차를 선택하여 11g의 분량으로 적게 마시는 게 좋다고 했다. 그 이유는 차를 음미하는 것은 1g으로도 충분하다고 했던 기억이 있고, 다호도 작고 찻잔도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좋은 방법을 그동안 잠시 잊고 있었는데 임형택 원장의 책상 위 찻자리에서 다시 발견하였다.

 

석우.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