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연정담 두 번째 차회는 전 교보증권 대표 김해준 선생님을 초청하여 보이차 컬렉터로서의 경험을 나누는 자리로 시작되었다. 김 선생님은 재직 중 직원들과 함께 즐겼던 보이차 이야기와, 홍콩을 오가며 귀한 보이차를 구한 경험을 경제적 논리와 연결하여 흥미롭게 풀어냈다.
초대손님 전 교보증권 대표 김해준
김 선생님은 와인과 미술품 수집 그리고 보이차의 가치를 비교하며, 차를 매개로 한 깊이 있는 대화를 이어갔다.
오동산 일대의 봉황단총 송종수람인 7542
이번 차회에서는 광동성 오동산 일대에서 생산된 봉황단총 송종을 시작으로 1998년 강성호, 70년대 료복산차를 시음하였다. 국내에 많이 보급된 강성호와 료복산차는 맛과 외형 면에서 품질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다. 메인 차인 1997년 수남인 7542(맹해차창 정품)를 시음하기 전에는 다식과 함께 휴식을 취하며 차를 즐기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1997년 수람인 맹해차창
명가원 김경우 대표는 90년대 7542 정품을 구분하는 방법을 실물을 통해 하나하나 설명하였고, 이를 통해 참석자들은 차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이어진 질문과 답변 시간은 참석자들이 차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70년대 료복산차
* 료복산차: 변방지역에서 생산된 모차로 세월이 많이 지난 차다.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등 중국 국경에 근접한 지역에서 생산된 변방 산차라고 하며 료복 산차는 베트남 국경지역에서 생산된 차다.
명가원
김 대표는 보이차의 거래가 확대되고, 맛을 탐구해온 시간들이 그에게 보이차의 개인적 가치를 더해주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그의 경험을 참석자들과 나누려는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감사한 시간이었으며, 보이차의 깊이를 체험하고 차 문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게 하는 뜻깊은 차회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축제는 67개의 부스에서 다양한 차를 유료 티켓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자리잡았으며, 많은 외국인 참가자들은 본행사보다도 차회 다음날 열리는 황용골 차회를 가장 인상 깊게 기억하고 있다. 이 차회는 이제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았다.
대홍포탱주: 이재란 선생의 말차 석
올해 황용골 차회에는 총47명의 참석자가6~7명씩7개의 방을 순차적으로 돌며 차를 마시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이는 아사가차회 회원들의 오랜 경험이 녹아든 진행 방식으로,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졌다.
단차
차회는 종소리로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시작할 때는 한 번, 차를 마시고 끝날 때는 세 번 종을 친다. 각 방에 입실하면 주인의 설명을 들으며 차를 즐기고, 종소리가 들릴 때까지 그 방의 분위기와 차의 맛에 집중한다.
각 방에서는 해당 국가의 언어로 통역이 가능한 분이 함께 있으며, 다양한 차가 제공되고, 특히 수졸산방의 강 선생님의 차실에서는 구레 고차수에서 만든 한국 녹차를 내었다. 도곡 정점교 선생님의 백자 다기와 차실 분위기는 한국인의 정서를 잘 보여주었고, 차회에 참여한 외국인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차회 참가자의 단체 사진에서 일부참가자 단체 사진에서 일부
황용골 차회는 실외와 실내의 찻자리 모두에서 외국인들의 시선을 사로잡았고, 한국 차문화의 아이콘으로 국제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행사로 평가되고 있다.
사진 중앙에서 우측으로(김은호 회장, 안청옥 대표, 주낙연 경주시장, 정종섭 전 장관, 이상호 회장, 백로원 대표)
제7회 경주세계차문화축제가 한국‧중국‧일본‧대만‧칠레‧미국 차인들의 참여 속에 성황리에 마쳤다. 보문호반 둘레길에 67개의 찻자리가 마련되었다. 오전 11시부터 시작된 행사는 마칠 때 까지 여러차레 비가 내리다 거치기를 수 차례 반복하였지만 부산 경남 일대에서 손님은 계속 모여 축제는 성황을 이루었다.
구례에서 참가한 고차수 공헌식 대표
경주세계차문화축제의 성공 비결은 조직윈원회 김은호 회장과 김이정 관장의 추진력, 아사가차회 회원들의 봉사 정신과 단합된 힘이 큰 원동력이 되었다고 본다.
73청병 보이차 시음 자리(티켓 10만원)
이번 축제에는 전체 67개팀 중에서 해외 23개 팀, 국내 44개팀이 참가했다. 국내 팀은 44개로 올해 처음 참여한 강릉 신사임당, 석가명차 본사, 대전 설조산방, 구례 고차수 등 차 교육 단체 및 차 전문점의 참여로 행사가 더욱 빛나게 되었다.
미륵세존 진영 앞에서 이상호 회장
축제의 시작과 함께 대만 신온가무고수정(대표, 안청옥) 부스에서 삼화령 미륵세존 진영 전달 차회가 열렸다.먼저 이상호회장께서 인사말을 통해 차문화 발전 전략을 밝히셨으며,내년 대차회의 기운을 경주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나누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참가일본 부쿠부쿠
외국 참여자는 중국과 대만, 일본, 미국, 칠레 등의 부스에서 그분들이 준비해온 다양한 차문화를 엿볼 수 있었다. 문화적인 요소는 중국 베이징에서 온 송대 점차법을 재현 발표한 观合(관허) 선생과 일본의 부쿠부쿠 찻자리가 호응을 받았다.
팽주 이재란, 대금 박종현
또한 아사가차관 이재란 선생님의 부스에서 한국차와 인도차를 내는 자리에서 차 교육자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며, 보이차 73청병 찻자리는 보이차 마니아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있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참여한 향산재, 여여해, 진귀명차 등의 부스에서도 각자의 관심사를 가지고 차를 음미하면서 상담도 하는 유익한 시간을 보냈다.
외국 참가자는 대만오룡, 광동오룡 등의 청차와 보이차로 다양하게 참여했다. 대만에서 매년 참가하는 업체로는 운전전차, 신온가목고수정 부스로 매년 방문객들로 부터로 관심을 받고 있다.
스리랑카의 누와라엘리야는 고지대 홍차 생산지로 유명하며, 영국 식민지 시절 영국인들에 의해 형성된 도시이다. 그곳에서 하이티를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장소는 그랜드 호텔(Grand Hotel)이며, 이 호텔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홍차의 왕으로 불리는 토마스 립톤경이 머물렀던 역사 깊은 5성급 호텔이다.
하이티를 예약한 오후 5시, 그랜드 호텔의 딜마 티 라운지에서의 하이티가 시작되었다. 이곳에서 제공되는 하이티는 사실상 하이티로 불리지만, 메뉴와 서비스면에서는 애프터눈티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차의 본고장인 스리랑카의 차 문화를 고급스럽게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경험으로, 특히 누와라엘리야에서 생산된 고품질 홍차가 인상적이었다.
스리랑카 차산지
스리랑카는 세계 제2의 차 수출국으로, 1997년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차로 인정받은 홍차의 고향이다. 각 지역별로 차의 퀄리티 시즌이 달라지는데, 서쪽 지역의 퀄리티 시즌은 1월~3월, 동쪽은 7월~9월이다. 이러한 자연조건 때문에 스리랑카의 차는 그 맛과 풍미가 독보적이다.
따라서 누와라엘리야의 그랜드 호텔에서 즐기는 ‘하이티’는 스리랑카 차 문화의 정수를 경험할 수 있는 완벽한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메뉴판
우리가 도착하자 직원분이 메뉴판을 들고 나와 ‘하이티’의 메뉴얼을 이야기 해 주었다.
메뉴판에는 ‘애프터눈티’라고 적혀있지만, 실은 ‘하이티’로 판매되고 있었다.
스리랑카 누와라엘리야의 그랜드 호텔에서 경험한 ‘하이티’는 고풍스럽고 우아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는 특별한 티타임이었다. 애프터눈 티는 일반적으로 16:00시경에 제공되지만 하이티는 늦은 오후 17:00~19:00시경까지 제공 된다. 이곳 예약 시간은 오후 12:30~18:00 사이에 가능하며, 이용 시간은 약 1시간으로 짧지만, 품격 있는 티타임을 즐길 수 있다.
호텔 티라운지의 인테리어는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라운지 한쪽켠에는 딜마 티 브랜드의 제품들도 판매되고 있었다. 라운지 내에서 실외 뷰는 그다지 보이지 않았지만 티 라운지를 벗어나 실외로 나오는 순간 아름들이 키큰나무와 꽃들이 아름답게 잘 정돈된 정원을 볼 수 있었다.
티 리스트
먼저 티리스트는 다양하게 많았지만 ‘하이티’에서는 기본 네가지의 티가 순서대로 제공되었다.
누와라엘리야 티,
시나몬 티,
캐모마일 티,
그린 티등
웰컴드링크는 제공되지 않았고, 티는 무한 리필이 가능하며, 슈가와 밀크도 준비되어 있었다.
다음 제공된 것은 3단 트레이인데, 3단 트레이의 세팅된 순서는 제일 아래층 1단에는 달콤한 케익 종류, 2단에는 샌드위치, 그리고 3단 트레이에는 세이보리 종류가 세팅되어 제공되었다. 먹는 방법은 아래층부터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이티에서는 세이보리, 샌드위치, 케익순서로 먹으면 좋을 듯 했다.
디저트
전통 샌드위치(TRADITION SANDWICH)
프레첼 번에 크림 치즈를 얹은 훈제, 스코틀랜드 연어
프리레인지 브라운에그, 화이트 빵에 워터크레스
곡물 빵에 구운 유기농 치킨을 얹은 샌드위치,
흰빵에 오이를 얹은 샌드위치, 크렘 프레쉬
하이티 타임
세이보리(SAVORLES)
옥수수를 넣은 치킨 & 사과 소시지 롤
냄비 새우 크로켓 & 망고 처트니 마요네즈
핫 머스터드롤 곁들인 미니 스카치 에그
크리미한 슾, 버섯 파이
스리랑카산 댕고투와 도자기
달콤한(SWEETS) 디저트
오페라 케이크
딸기 타르트
레몬 드리즐 케이크
당근 케이크
데본셔 크림과 딸기 잼을 곁들인 따뜻한 스콘
식기
하이티에서 사용되는 식기는 스리랑카의 ‘댕코투와’ 브랜드의 Cherry R-avi Gold 모델로,
심플한 디자인이 돋보였다.
영국 식민지 시절부터 이어져 온 영국식 차 문화를 반영한 이 하이티는 달콤한 케익과 스콘, 샌드위치와 세이보리등 핫한 디저트의 풍미와 하이 그로운의 싱글 에스테이트 티가 무한리필로 제공되어 만족스러운 티타임을 즐길 수 있었다.
스리랑차의 3대 그로운 티
스리랑카는 독특하게 해발의 높이에 따라서 3대 그로운 티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하이그로운 티: 1200m 이상(누와라엘리야, 딤블라, 우다푸셀라와, 우바)
미들 그로운 티: 600m~1200m (캔디)
로 그로운 티: 600m 이하 (루후나 (갈레, 사바라가무와)이다.
일반적으로 하이그로운 티가 가장 등급이 좋은 차로 알려져 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저지대의 차도 재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