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관철병 2003년 생산, 소비철병이라고도 한다

석가명차에서
9292003년 하관철병을 시음했다. 이날 좋은 차를 많이 마셨지만 특별히 기록하고자 하는 차는 2003년 생산된 하관철병이다. 100% 생차라고 말할 수 없는 차이지만 단단하게 긴압한 철병에서 나오는 맛이 하관차 특유의 연미가 있으면서 회감이 좋은차다. 내비가 작다고 해서 2003년 소비철병이라고도 한다.

하관철병,

하관철병

철병자국이 단단하게 보인다. 11년차로서 잘 우려내어 마셔보면 맛이 익어가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차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2014년 봄차이지만 윤기가 흐른다

2014
913일 광서지역 차문화답사에서 육보차의 야생 차산지를 확인했다. 계림의 깊은 차 산지에서 야생으로 자란 차나무를 살펴보고 그 잎으로 만든 차를 시음했다. 옛날에는 대부분의 광서지역에서 육보차를 만들었다. 오늘날의 육보차는 오주지역을 중심으로 대량재배되는 차로 만든다. 그래서 야산에서 생산되는 차로는 대량재배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차를 만들면서도 육보차라고 하지 않는다. 문헌에 나오는 이름으로 '이강유설'차라고 한다. 이런 차들은 중국 전체로보면 중엽종에 속하지만 광서지역 차로서는 대엽종에 해당된다.

차 만들기 위해 채엽한 잎을 보면 
크면서 거칠고 줄기가 함께 섞여있다. 그런데 실제 우려서 마셔보면 상당히 좋은 맛을 낸다. 이런 차의 공통점은 차가 너무나 깨끗하고 윤기가 흐른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육보차의 야생 차산지에서 채엽하여 만든 이강유설 10년된 차

야생잎으로 만든 차의 맛은 과연 어떨까
?
광서성 계림 차문화답사에서 이종검 대표가 정진단 원장께 선물로 준 차를 서울에서 자사호에 덤뿍 넣고 마셨다, 비옥한 토지에서 생산된 운남서에서 생산된 보이차와는 다르다. 맛은 처음에 나오는 쓴 맛과 마신 뒤의 회감이 깨끗하게 나오는 것이 광서지역의 야생차 맛을 보는 듯하였다. 암석에 뿌리를 두고 삼백여년이 지난 차나무가 마치 30년된 듯한 크기와 이파리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이강유설차의 탕색
이 차들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생각에 필자의 머릿속은 복잡해졌다
. 순수 야생차 잎으로 만든 차에 대한 개념도 달리 생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차류의 생산과 보관은 전문가의 손에서 다루어져야 것으로 향후 평가받을 차로 보인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자사호로 우려낸 금준미 

광서성 계림에서 고수 한 사람을 만났다. 그의 차탁에 놓인 자사호가 깨끗하지 않았지만 그건 이 사람의 성격일 수 있다. 자사호가 예사롭지 않았고 주변의 기물이 조화를 이룬 점이 나무를 취급하는 이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었기에 문득 가진 생각이었는데 기대 이상으로 첫 번째 내는 차 맛이 좋았다.

 

금준미다. 호에 아낌없이 차를 넣고 팔팔끓인 물을 넣었다. 호를 다루는 솜씨도 폼이 반이라고 하는 말과 같이 차꾼이라 할 만큼의 차와 도구를 다루었다.
올해 출간될 <차의 맛과 멋>에서 그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차도구의 이해
국내도서
저자 : 박홍관
출판 : 형설출판사 2013.09.25
상세보기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계림 육보차 산지에서 93차인으로 알려진 이종검 대표의 반장차 내는 모습

티패스와 이루향서원에서 주최한 차문화답사에 멀리서 오신 손님 한 분이 우리 일정에 동행하였다. 그는 휴가를 한국에서온 차문화답사 팀과 함께 하면서 조용한 차의 세계를 관조하는 듯 하면서도 찻자리에서 새로운 차맛을 보여주었다. 이날 아침 먹기 전에 필자의 방 앞에 있는 테이블에서 93차인과 차를 마시기 위해 준비하는 것을 보고 함께 앉았는데 상당히 매력있는 2001년 반장차를 마셨다. 이 차는 여명차창에서 2001년에 생산한 차로서 중국에서 보이차 메니아들이 좋아하는 차이다.

반장, 노반장, 신반장이라고 하는 차들이 단순히 이름만으로 유명해진 것은 아니다. 이날 마신 여명차창의 반장차는 반장차의 새로운 맛이 아니라 잘 만든 차는 이렇게 후발효가 잘 되어 농익은 맛을 차인들에게 선사한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루향서원 정진단 원장과 향도협회 이채로아 총무도 함께 마셨는데, 젊은 이채로아에겐 자연스런 자리에서 보이생차의 진화된 맛을 알게해준 시간이기도 하였다. 육보차 이강유설 차 산지에서 마신 반장차는 오랜 시간 기억에 남을 차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용정촌에서 만난 야생차

용정차의 비전을 전수받은 차농, 지난 6월에 처음만났고 이번에 두 번째로 만났다. 그는 용정 차에 일생을 받친 분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공식적인 용전차 명인이다. 어차원을 조성할때부터 현째까지 용정차에 관한 대부분의 역사적 진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그런 그가 야생차로 홍차를 만들어 새로운 홍차의 세계를 보여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신경균 다완에 일본에서 생산한 농차용 말차

매다옹 안재한 선생님 댁에서 오랜만에 차를 함께 하게 되었다. 과거 대구에서 매다옹을 운영했던 대표이지만 지금은 소일거리로 작은 일을 하시지도 않고 차와 음악을 벗 삼아 쉬고 있다 하신다. 오랜만에 찾아간 집에서의 찻자리는, 과거 매다옹을 운영할 때의 그 느낌과 특별히 달라지지 않았다. 그때나 지금이나 멋스럽게 사시는 것만큼은 사실이다. 얘기가 시작되고 대만의 리산 오룡차를 내셨다. 올해 구입하셨다는데 발효가 잘된, 오룡차로서의 깊은 맛과 향이 고급스럽다. 그 맛에서 차의 멋을 느낄 만큼의 좋은 차다.

차를 친구 삼아 차와 같이 논다 하시는데 나도 어느새 그 분위기에 취해 있었다. 내가까이에 이런 지인이 있다는 것이 참 좋다는 생각을 잠시 하면서 차를 마시는데 등 뒤에서 침향의 향기가 흘러왔다. 무슨 향이냐고 물었더니 일본에서 사용하는 전기 향로에 개골 침향을 넣고 태웠다고 하시며 가까이 가서 침향 향기를 한 번 맡아 보라고 하셨다. 전에는 알지 못했던 전기로의 열감과 코에 가까이 가져갈수록 온기가 나오는 정도를 침향의 향기와 구분되어 들어왔다.

발효잘된 오룡차와 자사호
 
최근 향도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어느새 몸으로 읽고 느낌으로 전달되고 있음을 순간적으로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아주 향기로웠다. 그 향기의 정도를 이제 시간이 지나서도 기억할 수 있다는 것에 잠깐이나마 스스로 즐거운 시간이었다.

두 번째 차로는 보이차로서 문혁전차를 마셨다. 포장지에는 차 기름이 잘 묻어나 반질거리고, 맛 또한 그 시대의 전차 맛의 특징이 잘 배어나왔다. 매다옹을 운영하시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 주셨는데, 조용히 혼자 차 생활을 하시는 지금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멋있게 지내고 계셨다. ‘요즘 중국 향도가 유행하고, 박 선생이 보내준 <중국 향도> 책도 잘 보았다고 하시며, 과거 일본의 향도 관련 책과 자료를 꺼내어 보여 주시고, 소장하고 있는 침향 몇 가지도 보여 주셨다.

문혁전차

몇 차례의 잔이 오가다가 일본에 주문했던 말차가 들어왔다고 하시며
, 김정옥 작가와 신경균 작가의 다완에 말차 맛이 입안 가득하게 진한 농차를 내주셨다. 찻솔의 움직임이 참 편하게, 그리고 부드러우면서도 아름답다.
이렇게 70대 중반의 어른과 차를 마시면서 차와 향을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기분 좋은 시간인지, ‘사실 경주 황룡골 강 선생님 댁에 침향을 가지고 가서 같이 즐기고자 했었는데, 마침 강 선생이 중국에 가게 되어서 할 수 없이 우리끼리 즐기게 되었다시며 강 선생과는 다음 기회로 미루었다.

 

돌아오는 길에 필자가 70대가 되었을 때 같이 차와 향을 논할 수 있는 젊은 사람을 만나는 것이 쉽지 않을 것 같은 생각이 스치며 하루를 정리하게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고전문화 돌차상

차를 마실 때 가장 먼저 시선이 집중되는 곳은 찻상이다. 찻상의 재질은 나무가 대부분이지만 가끔 돌로 제작된 것을 볼때도 있다. 그런 경우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근데 거친 돌이 상판과 옆면이 다르게 가공 하였지만 손으로 만졌을 때 느낌이 참 좋은 편이다.

상당한 기술자의 손 맛이 그대로 전해진다. 필자는 돌로 만든 다반(석반)도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 이 돌차상은 도자기가 직접 닿은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찻상 개념을 넘어 주인의 안목으로 사용하기에 돌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잘 이용하는 것 같아서 오히려 차를 마시는 자리에 온기가 더해졌다. 고전문화에서 드물게 마셔보는 차인데 이날 퇴근 시간이 훨씬 지났음에도 보이생차로서의 8502 맛을 처음 만난 돌 차상의 온기로 이야기가 더 풍성해진 시간이었다.

 

고전문화 돌차상

1997년 8502

마지막으로 시음한 차는 2008년 <보이차숙엽장 쌍려>에서 생산한 보이숙차를 마셨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