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전다실은 한옥으로 만들어진 차 마시는 공간이다. 다다미가 깔린 1평도 안 되는 좁은 공간에서 2~3명이 마주하고 차를 마시는 자리다. 필자에게 이 공간의 이름을 지어달라고 해서 고민하다 지어본 것이 동휴(同休)다.
호전다실 안에서도 이 자리만은 또 다른 마음의 안식처라고 할 수 있다. 오늘 동휴에서 박재형 대표에게 말차를 한 잔 대접받았는데, 이 자리에서 말차를 처음 내었다고 한다. 도곡 정점교 선생의 분인 다완에 부산 예화당 말차였다. 찻자리 공간에 이름을 지어준(작명) 필자에게 먼저 말차 한 잔 대접하고 싶었다고 한다.
하루 전 호전다실에 올려진 인스타그램에서 同休를 공지했을 때 향후 멋진 공간을 만들어갈 것으로 보였는데, 그 신고식 같은 말차 한 잔은 그래서 그의 결심을 보는 듯했다. 동휴의 기록은 이렇게 시작되는 것 같다. 향후 호전다실의 同休가 한국의 젊은 차 마니아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해석되고 자리매김하게 될지 기대가 된다.
서울에서 오후 5시 30분 비행기로 후쿠오카에 도착, 신간선과 열차를 두 번 갈아타고 모지코 항구에 있는 호텔에 도착하여 하루 밤을 보내고 오전 10시 호텔에서 나와 마츠모토 히로코 선생댁에서 열리는 하츠가마 차회에 참석하였다.
1월 12일 오전 11시 차회가 시작되는데 10시 30분부터 손님 대기실에서 기다렸다. 필자는 사진작업이 필요하여 먼저 촬영을 하였는데, 일본 차인들이 대기실로 들어와 준비하고 있는 모습, 그리고 차회 방문 기록에 각자의 이름을 남기고 일본 손님과 같이 대기실의 숯불 화로의 온기가 방안을 가득 채우고 있던 그 분위기를 그대로 담을 수 있었다.
대기실의 도코노마에는 오늘 차회에서 사용할 도구들을 보관했던 상자가 이름과 사인이 보이도록 장식되어 있었다.
일본 차회에서는 이 부분을 상당히 중요하게 여긴다. 차회에 사용할 도구들의 출처를 그대로 손님께 먼저 밝히는 것이다. 차도구의 위치가 어느 정도로 인식되어 있으며, 그 가치, 유래 등등 차문화의 성숙조건에 들어가는 도구에 대한 존중이 보이는 순서이다.
숯불을 피운 후에 연향을 넣는다
11시 마츠모토 선생이 종을 치자 차실로 모여들었다. 初座라고 하는 전반부가 시작된 것이다. 먼저 다다미 방에 일본식 예를 갖추고 들어가서 족자를 배견하였다.
신년을 축하하는 의미가 담긴 “彩鳳舞丹宵”라는 글이 걸려있었다. 그리고 一陽來復의 의미를 담아 버드나무가 중간에 輪을 만들어서 묶여져 동백꽃과 함께 장식되어 있었다. 이어서 차도구가 놓여져 있는 다다미로 들어가서 급대자라 불리는 선반의 앞에 앉았다.
제일 위의 天板에는 농차가 들어가 있는 茶入(챠이레)가 장식되어 있었고 아래 地板에는 柄杓(히샤쿠)과 火箸(히바시)가 꽂혀있는 杓立(샤쿠타테)과 蓋置가 들어있는 建水와 水指(미즈사시)가 놓여있었다. 그것들과 옆에서 물이 끓기 시작하는 솥의 경색을 감상하고 자신의 자리에 가서 앉는다.
찻자리에서 임형택 원장과 박민호 선생
15명이 들어오자 방안은 사람으로 가득하게 되었다. 필자는 사전에 사진 촬영 허락을 받고 참석하였기에 촬영을 편하게 하고자 마지막 자리에 앉았다. 여기에서는 서로 인사를 나누고 亭主가 炭点前을 하여 숯을 더하였다. 솥의 물이 끓여지는 동안 식사를 하러 옆방으로 자리를 이동하여 懷石의 시간을 보내었다. 1월에 하는 하츠가마 차회는 총 4시간이 걸린다.
차회의 중심이 되는 濃茶를 마시기 이전에 식사와 간단한 술을 겸하는데 이것을 懷石이라고 하며 2시간 가까이 걸린다. 안주로 나온 것이 먼저 눈에 들어왔는데 복어 회가 놓여져 있었다.
예를 들면 밥과 요리를 먹을 때 처음에 나오는 밥은 밥을 할 때 맨 위의 밥맛이고 중간에 나오는 밥은 중간층의 맛, 세번째는 맨바닥에 있는 밥맛을 느낄 수 있게 하며, 마지막에 그 밥으로 누룽지를 만들어 탕으로 끓여내어서 마지막에 먹고 그 탕으로 그릇들을 닦았다. 이것을 湯请(탕청)이라고 하며 禪院(선원)의 작법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모두 네 번에 걸쳐 나온다. 국은 하얀 된장국에 복의 애를 넣은 것인데 아주 우리 입맛에도 잘 맞는 것 같았다.
치도리를 준비하는 마츠모토 히로코 선생
매우 정성이 가득한 요리가 순서대로 내어지면서 술이 곁들여졌다. 처음에는 주인이 손님에게 한 잔씩 따르면서 접대였는데, 마지막에는 큰 가재요리와 콩을 가지고 와서 손님께 한 잔 올리고 손님은 또 주인에게 한 잔 올렸다. 이것을 치도리라고 하는데 千鳥(치도리, 술잔을 지그재그로 주고받는 모습이 千鳥(물떼새)의 걸음걸이와 닮은 점에서 이렇게 붙여졌다고 한다. 懷石을 마치고 잠시 휴식을 한 뒤 後座라고 하는 후반부의 차회의 자리로 가게 되는데 이때 선생님은 종을 쳐서 시간이 되었음을 알린다. 종소리를 듣고 휴식하는 사람들이 차실로 모이는 장면도 좋았다.
선생님이 다완을 들고 들어와 자리에 앉아서 차를 내는데 飴釉의 도자기 다완 안에 금박이 입혀져 있었다. 이 완으로 농차를 이겨 내어서 손님께 내었다. 손님이 많았기 때문에 농차용 차를 세 번 내었는데 완의 안에 은박이 입혀진 다완도 내어졌다.
일본 다도에서는 島臺茶碗(시마다이쟈왕)이라고 불리는 금박과 은박이 안에 입혀진 다완으로 신년을 축하한다고 한다. 이는 陰陽의 조화를 보여주며, 오랫동안 바르게 사용한 흔적이 역력해 보였다. 차인의 소장품 다완으로 이런 자리에 잘 어울렸다.
차를 다 마시고 나서는 이 날 사용한 茶入(챠이레, 차통), 仕服(시후쿠, 차통주머니), 茶杓(챠샤큐, 차숟가락), 茶器(챠기, 차기)를 돌려가면서 감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한국사람 9명 일본 손님 6명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4시간의 찻자리를 마쳤다.
하츠가마 차회는 차 하나의 이야기가 아니다. 차를 매개로 일어나는 종합예술적 퍼포먼스라고 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 것이 바로 차회다.
사위에게는 필자가 평소 특별하게 차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일상 늘 자주 만나고 차를 접하는 곳을 조금이나마 보여주고자 했고, 딸에게는 오랜 인연으로 만나온 명가원 김경우 대표에게 인사를 하는 기회이기에 겸사 겸사 차를 마시는 곳에 이르렀다.
그곳에서 잘 익은 차를 마시면서 딸은 이차 맛이 좋은데? 라고 하자 김대표와 나는 동시에 그렇지? 하면서 5잔 정도 더 마시고 김대표는 별도로 80년대 차를 다시 한 번 맛보였다.
딸의 말이 아빠 이 차는 맛이 깊이가 더 있고, 바디감이 좋은데 비싸겠지? 하고 속삭여 말한다. 딸과 같이 차를 마셔 왔던 세월은 길지만 하나 하나 이런 차를 별도로 알려주면서 마시지 않았다. 그러나 이 친구는 그 동안의 긴 시간 동안옆에서 마시며 어느 것이 좋은 차인지를 진정으로 알아왔던 것 뿐이리라.
사위와 처음 잡는 점심 약속이라 나가서 기분 좋은 식사를 할 때, 예슬아 오늘 마신 차 처음 차는 20년 된 차인데 어떻드냐, 니 입맛에 괜찮았으면 너 블로그에 글 하나 올리는 건 어떨까 하고 말하자 딸은 찾아 뵙고 그냥 얻어 마신 것에 대해 쓰기보다는 내가 무엇이라도 구입을 해서 마시고 그 차 맛에 대한 글을 쓰겠다고 했다.
딸의 말을 듣고는 순간 놀랬다. 아이라고 늘 어린애 같이 생각했는데 이미 시집을 가서 이제 세상을 향해 똑바로 선 딸의 모습이 보이는 듯해서 가슴한켠 기쁘기도, 또 어딘지 모르게 섭섭하기도 했다.
식사를 마치고 명가원에 가서 오전에 마셨던 람인포장지로 된 철병을 구입하겠다고 했을 때, 차를 건네기 전에 먼저 포장지를 열어 보였다. 이 차에 대한 상태를 알고 있었기에 그에 대한 것을 먼저 말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백상이 낀 것을 미리 보여주는게 좋을 것 같아서 포장을 풀고 병면이 드러나는 순간 우리의 예상을 뒤엎는 딸의 한마디.
“아! 이차 맛있겠다!”
이런 말은 아버지 조차도 예상 못한 놀라운 딸의 공력을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요즘 차를 마신다고 하는 젊은 이들의 알량한 상식과 경험들 덕분에 곱고 귀한, 그리고 저마다의 맛을 가진 차들이 대한민국에서 얼마나 고생하는지 아마도 그 판매를 하는 이들은 다 알고 있다. 반면 딸의 그 한마디에 나는 속으로 무척 든든한 차꾼하나를 키워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 고수차가 유행하는 시점 햇차에 고수차가 아니면 차가 아닌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시국에 우리 아이는 온갖 생차를 접해 보았으면서도 이날 백상이 보이는 차를 보면서 아! 맛있겠다고 하는 그 말은 이전에 겪어 온 이들과 처음 접하며 정보를 끌어 모으는 이들의 차이가 무엇인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경주라는 작은 도시에서 제4회 세계차문화축제를 성공적으로 치루었다. 그것도 유료라는 구조를 가지고 진행되었다는 점에서는 우리나라 차문화계 역사상 대단한 일을 한 것이다.
76개의 부스가 손님들에게 정성껏 차를 내고 방문객은 유료 티켓으로 마시고 싶은 곳에서 차를 마실 수 있다는 것, 이날의 행사는 지금까지 차 행사장에서의 차는 늘 공짜라는 인식을 완전히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특별석 73청병
4회를 이어오면서 특별석 10만원과 일반적 1만원의 가치에 따른 구분된 찻자리의 형식도 정착되었다.
특히 이번에는 특별석에서 73청병과 특급 목책철관음을 내는 자리는 두 팽주가 각각 독립적인 자리를 가지고 각자의 개성을 충분히 내면서 손님을 맞이한 것은 이번 차회에서 특별한 이벤트로 보였고 손님 입장에서도 충분한 만족감을 가질 수 있었다.
일반석에서는 부스에 따라서 왜 이런 자리가 일반석일까 하는 생각도 들만큼 기획과 실행이 좋은 찻자리, 외국인이 내는 찻자리 같은 흥미로운 자리가 많았다.
대만 손님이 자신이 만든 오룡차를 내는 모습
본 행사를 마치고 다음날 외국인을 위한 이벤트로 이복규 교수의 작업실에서 가진 라쿠다완 체험과 본인의 다완에 말차를 한 잔씩 마시는 것은 외국인들에게도 매우 흥미로운 시간이 되었으리라 믿는다. 그리고 식사를 마치고 이복규 교수의 특강과 중국 사람이 내는 찻자리도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
맘갤러리에서 국악밴드 나릿
이날 또 하나의 이벤트는 작업장이 있는 갤러리가 청도의 대표 예술놀이터이면서 청도를 대표하는 여가문화향유 명소로 인정받은 “맘갤러리”에 이벤트 전문 기업에서 무대를 만들어 국악 밴드 나릿 팀의 연주와 공연이 있었다. 이 시간에 예상 외로 손님들에게 축제의 분위기를 안겨주었다.
대만 다도 시연, 채옥채 회장
30일 오전 아사가차관
오전 10시 50여명의 외국 손님이 아사가차관 1층을 가득 메웠다. 3줄의 탁자에 모두 앉고 한국인은 옆이나 뒤에서 서서 행사를 지켜볼 정도다. 여기서는 첫날 행사 공연을 보지 못한 한국과 외국인들을 위한 자리로 중국 1팀 대만 1팀 그리고 장취호 연출을 하였다. 다법 연출은 모든 사람이 가까이서 손동작 하나하나를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 작년에 이어서 이번 행사도 이 부분은 모두 만족하였다.
박종현 대금 연주자는 장취호 연출자에게 대금 선물
황용골 차회 참석한 중국. 대만 차인
30일 오후 황용골 차회
필자는 늘 생각한 것이 황용골 차회만으로도 전국에서 손님을 유치할 수 있는 행사가 될 것으로 믿고 있는 데, 이번에는 외국 손님을 중심으로 한 차회가 되었다. 경주국제차문화축제가 성공적으로 될 수 있도록 협력해 주신 외국 분들에게 답례와 같은 차회다.
연하지실에서 73청병
모두 7개의 장소에서 7가지 차를 내었다.
특별히 순번은 없지만 5명 또는 6명씩 조를 짜서 방마다 다니며 차를 마시는 것인데 이 방식은 오래전부터 전국에서 많이 하고 있는 형식이다.
김이정 대표 차실, 92년 안계철관음
하지만 황용골 차회가 다른 곳과 다른 점은 집 주인이 다른 한옥 세 곳에서 서로가 문을 활짝 열고 7개의 찻자리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국내외 적으로 만나기 어려운 토픽감 차회다.
매죽헌에서 녹차
이 집의 중심으로 볼 때는 강선생 집(수졸산방)에서 홍선생님은 무이암차를 이재란 선생님은 우리나라 녹차를 내는 방에서 차를 내었다.
삼쾌정에서 말차윤지헌에서 2012년 노반장
김이정 관장의 집에서는 두 자리가 있는데 윤지헌에선는 박임선 선생이 2012년 노반장을 내었고, 아사가 김이정 대표 차실에서는 92년 철관음을 내었다.
유암에서 83년 동정오룡
그리고 뒷집에서는 김은호 회장님의 연하지실에는 73청병을 내고 차실 유암에서는 83년 동정오룡을 내었다. 세 집이 문을 모두 열고 차회를 하였다. 6시가 넘어서자 주변이 어두워졌는데, 마당에서 본 마지막 찻자리의 불밝힌 방들은 마치 차실의 기운이 넘실대는 듯 하였다.
절강성은 녹차가 생산되고 있는 지역인데 그 중에서 호주시 남심구 지역은 안길백차를 비롯한 주변이 모두 녹차 재배지다.그런 곳의 차관(沁慧茶生活館)에서 회원들을 상대로 보이차 7542의 생산연대별 비교 시음하는 차회를 만들었다. 초청한 강사는 한국에서 <골동보이차의 이해>를 낸 김경우 대표다.
이번 차회에 필자도 초대받아 그 현장에서 본 느낌은 중국의 인구 가운데 70%가 녹차를 생산하고 수출도 70%가 녹차인데 보이차가 녹차 생산지에서도 마실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통역하면서 차를 내는 정진단 원장
그동안 대도시인 북경, 상해에서는 많이 보았지만 녹차 지역에서는 처음이다. 아파트 상가에서 고급스럽게 만든 차관인데 이곳에서 8명의 회원이 참석하여 2004년 7542부터 1997년, 1980년대 말에 생산된 88청병까지다.
차회에서는 생산 시기별 특징을 김경우 씨가 설명하고 정진단 원장은 통역하면서 차를 내었다. 녹차만 마실 거라는 생각은 아니지만 요즘은 인터넷을 통해서 모든 차를 구매해서 마실 수 있고 차산지를 찾아다닐 수 있다. 그런데 보이차는 다른 의미에서 생각할 수 있었기에 조금 특별한 자리다.
차회하는 동안 옆에서 고금을 연주하는 모습
김경우 대표 입장에서는 어쩌면 이제 시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중국이나 대만의 많은 전문가들이 있는 가운데 한국인이 그곳에서 보이차를 주제로 설명하고 시음하는 차회를 했다는 것이 의미가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만 인정받을 수 있는 책을 이제 중국 차인들에게 보일 수 있는 중국어판을 발행한다고 하니 더욱 앞으로의 행보에 기대를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