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석TV에서 공부하는 여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다석TV에서 진행하는 일본 차문화 여행(향후 스리랑카, 홍콩)은 기존의 답사 형식의 프로그램과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며, 강의록을 제공받습니다. 함께하는 다도 전문가는 현재 박순희 차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외래교수이며, 일본 차문화사 강의 등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강사: 박순희 소장(문학박사)
사진: 박홍관_차문화기록가
2월 27일(화)
⓵ 공항에서 교토로 이동(버스)
⓶ さかい利昌の杜(대암다실견학)
⓷ 利休旧生家
④ 南宗寺(堺)
⓹ 호텔 귀가
2월 28일(수)
⓵ 호텔 조식
⓶ 고산사
⓷ 대덕사 금모각/ 열려진 절 한군데
④ 건인사
⓹ 호텔 귀가
2월 29일(목)
⓵ 호텔 조식 후 출발
⓶ 동대사
⓷ 나라국립박물관(八窓庵)
④ 서대사(大茶盛)
⓹ 호텔 귀가
3월 1일(금)
⓵ 호텔 조식 후 출발
⓶ 금각사
⓷ 간사이공항으로 출발
무일암
무일암 (無一庵)
사카이 리쇼노 모리(さかい利昌の杜)에 만들어진 다실. 키타노텐만구 앞에서 열렸던 키타노대차회때 토요토미히데요시의 다두였던 센노리큐가 만든 4조반 다실을 재현한 것.
고산사(高山寺)
토가노오(栂尾)지역에 있는 사찰 에사이선사가 이 절 주지였던 묘에스님에게 차씨를 주고 발아에 성공했던 곳. 일본최고의 다원이 있는 곳.
대덕사 법당・불전(첫 공개 이벤트,이 기간에만 가능 관람이 가능함)
[센리큐를 시작으로 차인들이 참선수행하였고,차노유문화와 인연이 깊은 임제종 대덕사파 대본산임.특별공개되는 법당(중요문화재)의 박력있는 천정화(雲龍圖)는狩野探幽가35세 때의 역작임.손바닥을 치면 용이 우는 것처럼 울리기 때문에‘우는 용’이라 칭한다.더불 어 공개되는 불전(중요문화재)은1665년에 재건된 것으로 대덕사의 본당에 해당하며,에도 막부4대장군 토쿠가와 이에츠나가 기증했던 석가여래좌상을 안치,재건 전의 불전에서 가 져온 것이라 전해지는狩野元信가 그린 천정화/天人散華圖가 남겨져 있다]
건인사(建仁寺)
에사이가 세운 절. 아주 옛날부터 사두다례(四頭茶禮)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절에 끽다양생기를 바탕으로 해서 차비와 뽕비가 세워져 있다
나라국립박물관(八窓庵)
에도 중기에 다인 후루타 오리베 코노미로 지어진 창이 많은 다실로 1892년 이곳 박물관으로 옮겨졌다고 함. 이 八窓庵 다실과 흥복사의 六窓庵(현, 동경국립박물관 소재), 동경으로 이축했다가 전쟁 때 화재로 소실된 동대사 사성방에 있었던 隱岐錄을 일컬어 야마토(大和)의 三茶室이라 한다. 다실 양식은 4조다이메/게자도코/초암풍이며, 팔작지붕의 띠집임.
서대사
성무천황이 平城京의 동쪽에 동대사를 창건하였고, 이후 성무천황의 딸이 궁의 서쪽에 가 람을 개창한 것이 서대사이다. 이후 平安京으로 천도를 한 이후 쇄락하였다. 가마쿠라시대가 되어 1235년 에이손(叡尊)상인이 이 절에 주지로 오면서 戒律振興이나 救貧施療 등 독자적인 종교활동을 추진하여, 그것을 거점으로 하여 密・律研修의 根本道場으로 중세 사원으로서 재생하게 된다. 1239년 1월 16일 에이손 상인이 서대사의 부흥을 서원하여 하치만신에게 차를 받친 후 남은 차를 약를 민중들에게 나눠주었던 것이 유래가 된 차의례.
금각사(金閣寺)
무로마치 3대장군 아시카가 요시미츠가 만든 산장 옛 가이쇼가 있었던 곳이라 이해 되기도 한다.
남종사(南宗寺)
다이린 소토가 개산이며 리큐풍의 다실 實相庵(실상암)이 있다. (1557년 센리큐가 참선수행을 했던 다이린소토를 주지로 개산, 1615년 소실되었던 것을 현재지로 옮겨서 沢庵宗彭에 의해 재건, 경내 국가지정 명승 카레산스이 정원 등 국가지정문화재 등 다수 있음, 센케 집안의 공양탑, 리큐코노미의 다실 實相庵 등이 있음)
2024년 1월 26일, 울산 ‘청미 다례원 홍차반' 애프터눈티 투어 2박 3일에 함께 동행 했다. 홍콩에서 애프터눈 티를 즐길 수 있는 여러곳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전통을 자랑하는 가장 유명한 장소 중 하나인 페닌슐라 호텔 ‘더 로비’ 애프터눈 티에 가장 먼저 갔다.
이 곳은 홍콩 침사추이 솔즈베리 로드에 위치해 있으며, 호텔 1층 더 로비 라운지에서 오후 2시 ~ 6시까지 애프터눈 티를 즐길 수 있다. 이용 요금은 2인 기준으로 홍콩달러 688이며(원화 약 116,960원), 추가 인원이 있을 경우 1인당 한 세트(388홍콩달러)를 추가로 주문하면 된다.
페닌슐라 1층 애프터눈_티 라운지
애프터눈 티하면 오늘날 가장 먼저 영국을 떠올리게 하는 티타임 중 하나인데, 홍콩 애프터눈티 문화가 유명한 이유는, 홍콩이 영국의 식민지였던 배경 때문이기도 하다. 1841년부터 1997년까지 홍콩은 156년간 영국의 식민지 또는 영국령으로 있었으며, 19세기 중반에 영국에서 생겨난 애프터눈 티 문화가 홍콩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페닌슐라 애프터눈 티는 1928년 이 호텔이 처음 문을 열었을 때부터 생겨나 역사가 깊다.
패닌슐라 더 로비 라운지에서는 애프터눈 티를 즐기는 손님들의 복장을 규정하고 있다. 모든 손님은 스포츠 복장인 조끼, 운동용 바지, 스포츠 레깅스, 샌들, 플라스틱 신발 등을 착용 할 경우 입장을 삼가 한다. 따라서 정장이나 우아한 의상을 입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닌슐라 호텔 본관은 빅토리아풍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본관 앞 하늘에는 아름다운 홍등이 드리워져 있다. 인공 분수대에서는 하얀 물 거품이 시원하게 솟아오르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었다. 그 날은 홍콩 날씨가 갑자기 추워진 때문인지 더 로비는 한가로워서 기다리지 않고 바로 입장할 수 있었다. 행운의 날이었다.
홍콩의 페닌슐라 호텔 더 로비에서 애프터눈 티를 즐기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도착과 환영:
우리 일행은 호텔 정문으로 들어서자 정복 차림의 연세 드신 직원분이 환하게 미소를 지으며 문을 열어 주었다. 종업원의 안내에 따라 창가가 아닌 실내 중간 위치에 5명씩 두 그룹으로 나눠 자리를 안내받았다.
실내 악단의 연주
실내 악단 피아니스트
2. 실내 인테리어와 음악:
더 로비의 실내는 유럽풍의 고급스러운 콜로니얼 스타일로 장식되어 중후함과 품격이 있었다. 큼직하고 감각적인 푸른 식물들과 화분들이 실내를 멋지게 장식하고 있었고, 로비 2층에서는 검은색 유니폼을 입은 현악단이 클래식한 라이브 연주를 신나게 해 주었다.
3. 티 주문과 테이블 세팅:
테이블 매트에 기본 커트러리가 세팅되었다. 패닌슐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홍차, 화차, 우롱차, 커피 등이 준비되어 있었고, 각자의 기호에 맞게 1인 한가지의 티를 주문했다. 필자는 페닌슐라 애프터눈 티를 주문했는데, 차의 은은한 향기와 맛이 깊고 좋았다.
디저트와 티 웨어:
잠시 후 티와 함께 3단 트레이가 제공되었다. 티 웨어, 슈가볼, 화병은 티파니앤코의 순은 제품들로 1928년 호텔 오픈때부터 사용된 은식기 들이었다. 티 테이블은 실버 티팟과 티 웨어로 세팅되어 있어 영국 황실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다.
청미다례원 회원 분들과 함께 기념사진
디저트와 음료:
티 테이블 위의 찻잔 트리오와 밀크 저그, 그리고 3단 트레이의 접시는 페닌슐라 로고가 찍힌 특별 제작한 제품들이었다. 티 팟 손잡이는 뜨겁지 않게 예쁜 천으로 섬세하게 덮개를 씌워 놓았다. 국내의 티 라운지에서는 잘 제공되지 않던 슈가와 밀크가 제공되어 밀크티를 기호에 맞게 즐길 수 있었다.
디저트 순서와 특이한 세팅:
전통을 추구하는 페닌슐라 더 로비는 3단 트레이에 세팅하는 순서와 방법이 조금 달랐다. 2단 접시에는 시그니처 샌드위치 4종류를 올리고, 1단 접시에는 정통 스콘을 올렸으며, 3단에는 달콤한 디저트 종류로 마무리했다. 오이 샌드위치는 특히 맛이 좋았으며, 필자는 차를 서빙해 주고 따라주는 직원분의 멋진 모습을 사진으로 남겨 놓았다.
차를 따르는 모습의 필자
특별한 매력:
티파니의 순은 제품 식기들과 함께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즐길 수 있었다. 함께 하는 사람들과 여유롭게 즐기는 시간이 페닌슐라 애프터눈 티의 특별한 매력이었다.
다석TV에서 공부하는 여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다석TV에서 진행하는 일본 차문화 여행(향후 스리랑카, 홍콩)은 기존의 답사 형식의 프로그램과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며, 강의록을 제공받습니다. 함께하는 다도 전문가는 현재 박순희 차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외래교수이며, 일본 차문화사 강의 등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강사: 박순희 소장(문학박사)
사진: 박홍관_차문화기록가
2월 27일(화)
⓵ 공항에서 교토로 이동(버스)
⓶ さかい利昌の杜(대암다실견학)
⓷ 利休旧生家
④ 南宗寺(堺)
⓺ 호텔 귀가
2월 28일(수)
⓵ 호텔 조식
⓶ 고산사
⓷ 대덕사 금모각/ 열려진 절 한군데
④ 건인사 ⓹ 호텔 귀가
2월 29일(목)
⓵ 호텔 조식 후 출발
⓶ 동대사
⓷ 나라국립박물관(八窓庵)
④ 서대사(大茶盛)
⓹ 호텔 귀가
3월 1일(금)
⓵ 호텔 조식 후 출발
⓶ 금각사
⓷ 간사이공항으로 출발
무일암
무일암 (無一庵)
사카이 리쇼노 모리(さかい利昌の杜)에 만들어진 다실. 키타노텐만구 앞에서 열렸던 키타노대차회때 토요토미히데요시의 다두였던 센노리큐가 만든 4조반 다실을 재현한 것.
고산사(高山寺)
토가노오(栂尾)지역에 있는 사찰 에사이선사가 이 절 주지였던 묘에스님에게 차씨를 주고 발아에 성공했던 곳. 일본최고의 다원이 있는 곳.
건인사(建仁寺)
에사이가 세운 절. 아주 옛날부터 사두다례(四頭茶禮)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절에 끽다양생기를 바탕으로 해서 차비와 뽕비가 세워져 있다
금각사(金閣寺)
무로마치 3대장군 아시카가 요시미츠가 만든 산장 옛 가이쇼가 있었던 곳이라 이해 되기도 한다.
현대 보이차의 소장과 투자에 대해서 전문가인 이강근 회장의 두 번째 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지난번 자사호 도감과 같이 모두 개인 소장품이다.
천우공작 및 금색운상 시리즈나 헌원호 등은 한때 최고 가격을 갱신하면서 이목을 집중시킨 차들이다. 이런 차들 대부분 한 건 이상씩 소장하고 있다.보이차의 소장과 투자라는 두 가지 즐거움을 가진 소장품의 목록을 엿볼 수 있다.
저자 이강근
출판 티웰
인쇄 230p 올컬러 고급 양장 재본
정가 55,000원
이강근(원제) 저자의 보이차 투자 원칙
보이차 애호가로서 출발하여 보이차 소장가가 되기까지 수많은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된 사실 중 하나는, 개인이 만든 보이차는 맛으로 즐길 때는 상관없지만 재화의 가치로 변환이 다소 힘들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 차창에서 고수보이차나 특정한 산지의 고수차를 만들면 차의 좋은 향과 맛을 즐기는 데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그런 차에 안전하게 투자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특정한 가치의 차는 대중의 투자를 이끌 수 없고, 맛을 보지 않고는 거래가 불가능하다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기에, 투자에 있어서는 브랜드 제품을 선택하게 되는것이 현실이다.
우림고수차 연구실에서 모차를 살펴보는 이강근 저자
그래서 보이차 투자 원칙에 따라 보편적인 가치는 지니면서, 차 맛을 즐기는 가운데 언제든지 재화로 바꿀 수 있는 차는 국제적으로 이름난 중국의 3대 차창이 주도하는 형편이다. 이것은 세계 최고의 보이차 유통 기업인 ‘동화’의 거래 실적을 보면 알 수 있다. 나는 다행스럽게도 신뢰할 수 있는 보이차 유통을 주도하고 있는 동화유통공사를 알게되면서 소장과 투자를 병행하여 매수와 매도의 결단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절묘한 타이밍을 잡고, 투자 범위를 넓힐 수 있다.
-----------------------
목차
서문 6
보이차란 무엇인가 14
• 생차 15
• 숙차 15
• 긴압차 17
• 고차수와 고수차 20
• 보이차 제조공정(생차) 22
• 보이차 제조공정(숙차) 24
• 보이차의 가치와 평가 26
• 운남성 보이차 주요산지 30
• 양생 묘품 보이차 / 주홍걸 38
• 주홍걸 교수의 보이차 교과서 54
• 백년보이 흑번홍 72
• 보이차 산지 탐방과 컬렉터 80
• 차도구 감상 86
• 중국 도자기의 수도 경덕진 교령토 유적지 88
• 차도구 컬렉터 90
• 보이차 소장가의 차실 96
• 주홍걸 교수와 함께한 찻자리 98
• 현대 보이차의 소장과 투자 100
• 보이차 투자 원칙 102
연송 이강근 대익 보이차 소장품
•맹해차창 106
• 1997년 수남인 107
• 2001년 운남대엽 야생청병 108
• 홍대익 7502 109
• 2001년 이무정산 야생차 103 110
• 2001년 홍대익 간체운 7542 111
• 2001년 등중등인 7542 112
• 2001년 홍대익 7542 113
• 2002년 상산청병 114
• 2002년 반장 특제정품 청병 115
• 2003년 맹해 사성반장 116
• 2003년 홍인청병 117
• 2003년 운남 맹해조춘 교목원차 119
• 2003년 녹색 생태청병 120
• 2003년 7542 303 121
• 2003년 홍대익 7542 122
• 2003년 은대익 123
• 2003년 맹해 홍띠 타차 124
• 2003년 홍대익 일편엽 125
• 2004년 황대익 126
• 2005년 백포조 간체 7542 501 127
• 2005년 7542 502 128
• 2005년 8582 129
• 2005년 7542 506 130
• 2005년 월진월향 7742 131
• 2006년 7742 601 132
• 2006년 금색운상 133
• 2006년 남라공작 601 134
• 2006년 8582 601 135
• 2007년 7742 701 136
• 2007년 7542 701 137
• 2008년 고산운상 138
• 2008년 맹송공작 139
• 2008년 포랑공작 801 140
• 2008년 남라공작 801 141
• 2008년 맹해공작 801 142
• 2008년 맹송공작 801 143
• 2009년 이무정산 901 144
• 2009년 7542 901 145
• 2010년 7542 146
• 2010년 황금세월 001 147
• 2011년 7742 101 한글판 148
• 2011년 서호정상 149
• 2011년 8582 150
• 2011년 신해혁명 (생차) 151
• 2011년 신해혁명 (숙차) 152
• 2011년 금대익 153
• 2012년 금색운상 201 154
• 2012년 용인 155
• 2012년 암운 156
• 2012년 은대익 157
• 2012년 고산운상 158
• 2012년 포랑공작 159
• 2013년 7542 6년 160
• 2013년 금색운상 1301 161
• 2013년 맹해조춘교목원차 6년 162
• 2013년 맹해조춘교목원차 301 163
• 2013년 7542 164
• 2013년 8582 165
• 2013년 7742 9년 166
• 2014년 맹해공작 167
• 2014년 영웅준마 168
• 2014년 옥윤천향 169
• 2014년 대익전세 170
• 2014년 이무정산 171
• 2015년 자대익 172
• 2015년 진운청병 173
• 2015년 대익전기 174
• 2015년 남라 175
• 2016년 난운 176
• 2016년 장미대익 숙차 177
• 2016년 진장공작 178
• 2017년 고산운상 179
• 2017년 헌원호 180
• 2017년 금대익 181
• 2018년 7542 182
• 2018년 천우공작 183
• 2018년 왕세 184
• 2018년 황금갑 185
• 2018년 파리묘운 186
• 2019년 밀운 187
• 2019년 7542 188
CONTENTS
• 2019년 전심 189
• 2019년 고산운상 190
• 2019년 국보궁 191
• 2020년 군봉지상 192
• 2021년 금색운상 193
• 2022년 역개천지 194
• 2023년 고운금향 195
연송 이강근 일반 보이차 소장품
우림고수차 198
• 2014년 철옥 199
• 2017년 연륜 200
• 2017년 노차두 201
• 2019년 천황육수 202
• 2017년 반장오채 203
• 2019년 노반장 203
하관차창 204
• 2014년 병지운 205
• 2011년 황금운원차 206
• 2011년 홍인 207
• 2014년 금과철마 208
• 2010년 고원성 209
진승차창 210
• 2010년 노반장 211
• 2011년 노반장 212
• 2012년 노반장 213
진순아호 214
• 1996년 진순아호 215
• 2001년 진순아호 215
• 2014년 진순아호 217
진미호 218
• 2016년 진미호 대채 218
• 2016년 낙수동 219
맹고 융씨차창 220
• 1999년 맹고청병 220
• 2002년 맹고 야생차 221
• 2005년 맹고춘첨 222
• 2007년 맹고춘첨 223
의방차창 224
• 1999년 만송 224
용생차창 225
• 2007년 운남 용생 보이차 225
마치며 226
맹해차창(대익)
보이차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그 역사에 대해서 알고자 하면 맹해 차창의 존재를 반드시 알게 된다. 보이차는 1729년 공차(貢茶)로 지정되어 200년간 황실에 공납되면서 최대의 번영기를 맞았다가 청말 중화민국 초기에 관료들의 부패와 과중한 세금, 혼란한 치안과 질병 등 복합적인 이유로 한동안 쇠퇴기를 겪었다.
이때 보이차의 중심은 이무(易武)에서 맹해로 옮겨지게 된다. 그러면서 맹해 차창은 자연스럽게 원차(圓茶)를 생산하는 최대의 차창이 되었다. ‘맹해’에서 ‘맹’은 태족어( 族語)로 지방을 가리키며, ‘해’는 ‘대단한’ 혹은 ‘용감한’이란 뜻이다. 맹해란 곧 ‘용감한 자가 거주하는 지방’이란 의미다.
대익보이차의 숫자
대익 보이차의 숫자 보이차의 이름을 붙일 때, 어느 산에서 딴 찻잎으로 만들었는지에 따라 차의 맛이 달라지기 때문에 특정 차산의 이름을 따서 차의 이름을 정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무이정산, 반장대수차, 노만아 고수차 등이 바로 그렇게 이름을 붙인 차다.
그러나 지역이나 품종이 아닌 7542, 7572, 8582 등 숫자로 이름을 붙인 보이차 역시 자주 볼 수 있다. 이렇게 숫자로 이름이 되어있는 차를 중국에서는 ‘맥호차’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숫자는 과연 무슨 의미일까?
이 숫자는 수출의 편의를 위해 1976년 운남차엽공사에서 만든 것으로 차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숫자의 조합이다. 앞의 두 자리 숫자는 보이차의 찻잎을 혼용하는 방법인 ‘배방’이 만들어진 해를 의미하고, 세 번째 숫자는 쓰인 찻잎의 평균 등급, 네 번째 숫자는 생산 차창의 고유번호다. 맹해차창의 대표 상품인 7542를 예로 들면, 1975년에 만들어진 배방으로 평균 4등급의 원료를 사용해, 고유번호 2번을 사용하는 맹해차창에서 생산했다는 의미이다.
차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마주 보고 존재하는 매개이자 문화형태이다. 이러한 차문화의 공간은 우리나라의 수많은 기록에서 나타나는바 신라 화랑들의 일화에서는 야외에서 나타나고, 조선조 기록에서는 규방과 사랑방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조선조 건축규범 속에서 나타나는 실내외의 공간은 창과 문, 그리고 연결의 구조와 독립의 구조로 나타나며 이른바 작은 앞 마당의 화초도 순서가 있고 방향이 있었다.
차를 즐길 수 있었던 당시 공간의 아름다움은 매우 정갈하고 빈틈없이 꾸며진 공간이었음은 다산 정약용의 기록에서도 나타난 바 있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그리고 고구려와 발해라는 역사 속에서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내려오는 수많은 시간과 공간들은 이미 벽화나 다른 역사유적 속에 보여지고 있는 바, 현대에 이르러서 우리는 어떤 공간에서 차와 함께 하고 있는가라는 주제를 두고 말하고자 한다.
이번 책은 20년 간의 차관련 기록물 중에서 『차, 공간에 담기다』라는 테마로 1편을 편집하기로 하였다. 이유는 바로 사람이 차를 즐기고 그에 따라 완전한 자리를 만드는데 있어 정점을 이루는 것이 바로 공간, 즉 장소이기 때문이다. 20년은 참으로 긴 세월이다. 다석(茶席)은 공간에 중점을 두어 구분하거나 비교한 것이라 오늘날의 다석 문화에 공간적 개념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주를 이룬다.
이전의 우리네 조상들이 향유했던 공간과 이제 현대에 사는 우리들이 차를 음미하는 공간의 비교도 될 것이다. 아니면 아마도 이후의 세대들이 2000년대 살던 한국의 다석이 어떤 식으로 운영되었는가에 대한 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로 이 책에 나오는 기록물은 단순히 취재를 위한 기물과 장소에 대한 사진들이 아니라, 실제 필자와 나눈 다석을 기준으로 그 대상을 선별하였음을 밝힌다.
우리나라 다석에서 전통적 공간과 현대적 공간의 차이는 구분하지 않는다. 다만 그 자리가 전통 혹은 현대적으로 꾸며져 있는 것인지에 대한 구분만 있을 뿐이다. 저자 박홍관.
상업 공간은 차를 팔고 거래하는 현장의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찻집이라면 손님과 함께하는 자리가 되고, 차 전문점이면 손님에게 차를 대접하는 공간이 된다. 다석의 격은 품격일 수도 있고 자격일 수도 있다. 의미 없는 다석은 없다. 어느 자리든 다석에서는 응당 목적도 있고 그에 대한 과정도 있는 법이다.
끽다거라는 조주 선사의 아무 조건없는 다석은 종교철학의 맨 꼭대기에 존재한다. 그러나 일상의 찻자리는 다르다. 모든 찻자리는 사람과 사람 간의 만남이라는 의미가 있으며, 그 자리의 격식이 잘 차려졌는지 부족한지에 대한 평가는 서로 보면서 가감해 나가야 한다. 이번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찻자리 문화 현장을 있는 그대로 담아 보고자 노력하였다.
아사가차관 송년 차회는 16일 토요일 오후 4시에 시작되었다. 참여 인원은 36명, 접수순으로 정해지고, 대부분 참석자들이 10분 전에 자리를 메운다. 원로 차인 이정희 선생님과 김은호 회장님도 참석하여 행사 전에 서로 안부 인사를 나누는 모습은,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송년 차회의 모습이다.
나는 경주세계차문화축제 이후 처음으로 방문하였기에, 차회 회원들의 건강한 모습만 보아도 반가웠다. 송년 차회는 김은호 회장님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하여 89년 강성전차, 83년 동정오룡, 2020년 백호은침, 진사제 대홍포, 80년 7542가 나왔다.
팽주 두 사람이 탁자 맨 앞에서 차를 우리고 왼쪽에 앉은 회원이 보조하여, 모든 회원이 똑같은 수준의 차를 마실 수 있게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이런 방식으로 40명, 50명의 손님을 치른 경험이 누적되면서 오늘날의 아사가차관이 된 것 같다. 한국에서 차회의 방식이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정착되고 있는데, 아사가차관의 차회는 경주 시내에서부터 시행된 차회가 150회를 넘기면서 또 하나의 전통이 되었다.
한국에서 이런 차회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주인의 정성과 열정을 통해, 아사가차관의 차회는 단순히 경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대표적인 차관 문화를 보여주는 곳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