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이성유한공사 하일심 회장의 축사(사진 오른쪽, 왼쪽 김영숙 원장

제2회 무이암차 품다회와 김기종의 찻잎 연주는 예정대로 100명 정원으로 행사를 마쳤다. 이날 행사는 ‘무이암차를 마시고, 생생한 수선 찻잎으로 연주를 하고, 행다법을 발표하는 것’으로 기획된 것이며, 시음과 연출과 연주 모두 잘 마쳤다. 이날 가장 돋보인 점은 김영숙 원장의 다예표연으로 과거 10년간의 행다를 지켜본 필자로서는 이번 발표가 가장 기억에 남을 만큼 우아하면서도 세련된 모습이었다. 특히 한나라 복장을 준비하여 연출한 점은 다법과 조화를 잘 이루었다.

다만, 무이암차 품다회와 "오운다예표연"발표, 김기종 명인의 생생한 수선 찻잎 연주 등 여러가지를 한 번에 보여 주려 한 점에서는 무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품다회가 무르익을 마지막 시간에 잠시 볼일이 있어 품다회 홀을 나왔다가 다시 문을 열고 들어서면서 느낀 홀 안의 그 향기! 무이암차의 향이 홀 안에 가득하여 내 코를 자극했던 것은 좋은 차가 가진 암운의 향기가 충만했다는 점에서 나만의 위안을 가진다. 그외는 다양한 사진으로 이날의 분위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김영숙 원장의 오운다예표연(조포자 임현화)과 김기종 명인의 도자피리 음운 표현

김영숙 원장의 오운다예표연 발표

중국에서 온 다예사가 차를 준비하는 모습

한국 차인이 차를 내는 모습 

다예표연

다예표연 동영상

무이암차 품다회 지난 기사보기
2013/12/14 - 제1회 무이암차 세미나 및 품음회 성황리에 마침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황실다례, 청자다기로 황차를 손님께 대접

행사장에서 마신 우리나라 황차는 눈맛과 차맛이 함께 어우러져 좋은 시간이었다. 우리나라 황차를 청자다기로 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현장에서 하게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황실다례법으로 시민들에게 차를 내는 시간

세계문화올림픽을 꿈꾸는 월드마스터위원회 주최 “2014 주한외국대사관의 날” 에 황실다례 세계명인으로 선정된 김복일 명인은 시민들에게 조선황실다례 차문화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장에서는 황실다례법으로 시민들에게 차를 내고 조선황실의 차도구인 포도문의 주전자와 합, 꽃무늬 화로와 주전가 전시되었다.

황실다례 세계명인 김복일 명인 황실다례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습

조선황실의 차도구(김다경 소장)

시민들에게 차 내는 모습

황실다례 행사장 기념촬영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세계명인/황실다례 김복일

  주한외국대사관이 한자리에 모여 세계문화 올림픽을 꿈꾸는 월드마스터위원회 주최 “2014 駐韓外國大使關의 날” 한자리에 펼치는 文化로 하나 되는 世上을 여는 行事에 우리나라 최고 브랜드 “오-설록” 과 함께 <조선황실차문화(朝鮮皇室茶文化)> 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제 韓流 茶道 ! 活禪茶道 !  마음으로 마시는 우리 茶  “오-설록” 우리의 茶道 스승들은 文化獨立運動이라고 茶道精神을 강조했고 茶禮를 통한 人性敎育을 說破하기도 하였다.

   “주한외국대사관의 날”을 맞이하여 월드마스터위원회 에서는 우리나라 조선시대 “皇室茶禮 世界名人” 을 選定하면서  아름다운 제주 自然環境과 우수한 우리차 와 格調높은 朝鮮皇室 文朝翼皇帝의 茶道精神世界를 되살리는 21세기에 多山宗師님의 活禪茶道 “含茶吐聖”을  皇室茶禮 文化體驗 特別企劃을 마련하게 되었다. 印度의 타골이 豫言했던 “ 東邦의 빛 인 코리아 ‘ 는  우리나라 茶의 우수성과 活禪茶道의 精神世界를 세계에 널리 알려  문화로 하나되는 세상  人流의 平和와 靈性밝은 東方禮儀之國 文化民族임을 世界萬邦에 소개 하고자한다. (월드마스터 위원회 자료제공)
-------------------------------------------------------------
2014년 주한외국대사관의 날 행사 Embassies Day in Seoul 2014


월드마스터 위원회와 (사)우리선문화원은 2014 주한외국대사관의 날을 맞아 대한제국 황실다례 다찬회를 개최합니다. 황실다례 명인인 김복일 한국창작다례협회장의 지도로 격조높은 대한제국 황실의 문조(文祖) 익황제(翼皇帝 정조의 손자)의 다도정신을 세계에 알리고자 하며 21세기 대한민국의 다도정신을 대표하는 다산종사님의 함다토성(含茶吐聖) 활선다도문화체험을 겸한 다찬회를 열게 되었습니다.


  ▶ 행사명 : 2014 주한외국인의 날 행사 《 대한제국 황실다례 》

  ▶ 주  제 : 세계문화, 세계평화를 함께 하는

  ▶ 기  간 : 2014년 11월 14일(오전11시) - 16일 3일간

  ▶ 장  소 : 서울특별시 광화문 광장 경복궁 앞

  ▶ 주   최 : 월드마스터위원회(World Masters Committee)

              주한외국대사관(Embassies in Korea)

  ▶ 주   관 : 세계명인 / 황실다례(대한제국)


  문의 :

  • 월드마스터 위원회 : 070-8228-0990

  • 우리선 문화원 : 010-9159-6929(김승희)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취명헌 차탁에서 사용하는 찻잔과 잔탁

2005년 종로구 안국동에서 취명헌이란 간판을 걸고 차(茶) 가게를 시작한 것이 벌써 10년째 접어듭니다. 그 사이 현재의 장소로 이전한 지도 2년 6개월이 되었습니다. 취명헌 주인은 좋은 차와 차도구를 구하기 위해 중국 곳곳을 다니며 새로운 세계로의 여행을 겸해서 손님들께 좋은 차를 나누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해외 출장을 다녀 올 때마다 가게에 사람들이 붐볐던 그 시간들은 잊지 못할 것이며, 건강한 차를 찾기 위해 노력해 온 점은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후회하지 않을 삶을 살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돌이켜보면 그동안 손님들과 차 한 가지로 세상의 차 이야기를 나누었고, 취명헌이 있기에 집에서 시내로 나온다는 말을 듣기도 하며 인생의 황금기를 이렇게 차의 세계에서 후회 없이 보냈다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이제 이 일을 접어야 할 때라는 큰 결심을 하게 되었다’ 하시며, 그동안 가게에 가지고 있던 모든 물건들도 정리한다고 합니다. 더불어 ‘그동안 취명헌을 아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라는 주인의 인사말도 대신 전합니다.
--
PS: 차와 차도구 전문점 취명헌은 장소를 이전하지 않고 현재의 위치에서 새로운 업종으로 업종을 변경하기로 하고, 그동안 가지고 있던 차와 차도구 일체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고 합니다. 많은 관심을 부탁 드립니다.

문의 : 02-741-9803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침향을 거칠게 분쇄한 상태

향과 차를 품미하는 즐거움은 차를 즐기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 청주의 모 차인의 차실에 문을 열었을때는 향긋하게 들어오는 차 향은 공간적으로 볼 때 향기를 살짝이 보여주는 것같다. 주인에게 물어보자 전기향로로 침향을 합향한 환향을 사용했다고 한다. 진료실에서는 침향을 늘 피우는데 그 향은 두 단계로 재료를 가공하는데 처음엔 침향을 거칠게 분쇄하고 두 번째는 좀더 가늘게 갈아서 사용한다고 한다. 위 사진은 침향을 거칠게 분쇄한 단계에서 주석통에 보관한 것이다. 세월이 푹 익은 반성긴차와 천신호를 향과 함께하며, 찻자리에서 향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실천하는 차인을 보고 온 하루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나고시마사하루(名越昌晴) 작품

제18회 차도구옥션에 출품된 작품 가운데 무쇠탕관이 출품되었다. 작품의 해설을 돕기 위해서 출품자의 양해를 얻고 석우연담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나고시가(名越家)는 교토 삼조부좌(三条釜座)의 주물사(鋳物師)의 한 파로서 나고시가(名越家)에서 가장 오랜 가계(家系)를 칭하고 그 계보에서 만들어진 작가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번 차도구옥션에서 출품가 50만원으로 시작되는 탕관은 현재 해외에서 130만원에 경매되는 것으로 일본 차도구 또는 전차도에 관심가진 이들에게 좋은 소식이라 소개한다.

나고시마사하루(名越昌晴(なごしまさはる))는 에도때(江戸) 차가마를 만드는 사람으로 나고시가(名越家)10代이다. 나고시가(名越家)는 교토 삼조부좌(三条釜座)의 주물사(鋳物師)의 일파이고 나고시가(名越家)에서 가장 오랜 가계(家系)를 칭합니다.
일본의 유명한 범종,불상등 절이나 신사에서 주문해서 제작해 왔다. 나고시마사하루(名越昌晴)는 도쿠가와가(徳川家) 전래품인 운용부(雲龍釜)를 수리하고 보수하여 가에이嘉永5년(1852)11월 에도성(江戸城)의 보장(宝蔵)이 큰 화재를 입어 분규(文久)2년(1862) 각로(老)에게 명을 받아 가마 6개를 수리하고 보수하여 그 공로로 황금 1장을 하사 받는다.

나고시마사하루(名越昌晴)의 탕관

탕관의 안쪽면

나고시마사하루8代 나고시마사다카(名越昌孝)의 제자로써 9代나고시마사호우(名越昌芳)가 대를 이을 자식이 없어 나고시마사다카(名越昌孝)의 장녀 마사코와 결혼해 10代를 이어 받아 에도막부의 가마주조자의 선두자가 된다.
그리고, 나고시마사하루(名越昌晴)는 8代나고시마사다카(名越昌孝)가 제작한(鋳家系)를 개정증보 하여 案正交年(1859년)에 인행(印行)한다. 나고시마사하루(名越昌晴)는 메이지 44년(1911)년에 사망한다.

--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1985년 암차 순종 대홍포

서울 인사동에 위치한
<Tea Gallery 고전 문화(대표 황영하)>가 아홉 번째 전시회를 준비했다. 
무이암차와 봉황단총을 중심으로 해서 유여향()이라는 차향기 가득한 소식을 전한다. 고전문화에서는 매년 한 두 차례의 특별전을 열면서 차인들에게 새로운 정보와 안목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었다. 최근 무이암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열리는 것이라 더욱 기대를 하게 된다.
전시기간: 2014년 11월1일-11월 16일 / 장소, 티 갤러리 고전문화

- 아래는 고전문화에서 전하는 보도자료-

지난 일 년 동안 무이암차(武夷岩茶)와 봉황단총(鳳凰單欉) 그리고 운남고수차(古樹茶) 연구에 매진해왔습니다. 그 결과 금년에는 청차(靑茶)의 대표격인 무이암차를 대표하는 유()와 봉황단총을 표현하는 향()을 제목으로 삼아 ()”이라는 청차 전시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대홍차 모수

지난
9월에 복건성에 위치한 무이산(武夷山)과 광동성에 위치한 봉황산(鳳凰山)을 방문하여 차산과 차창 및 현지시장에 대한 직접 답사를 거쳐서 암차의 차산지인 무이산 정암(正岩)지역에서 생산한 최고급암차와 봉황산의 우동(烏崬)지역 고산 봉황단총을 적은 양이나마 구하게 되어 차인들께 선보이고자 합니다. 암차와 단총차 중에서도 소문난 최고급품들은 실제로 그 생산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설령 돈이 있다고 하더라도 구하기 매우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 최고급 차품은 차를 소유한 주인마음의 양보를 받지 못하면 얻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그야말로 마음과 마음이 통하고 정성이 깃들어진 교류가 있어야 비로소 얻을 수 있는 진귀한 차품입니다.

봉황단총 생산지인 봉황산

이번 전시회에서는 무이산 정암에서 채엽한 찻잎으로 최고 제다기술을 가진 무이암차제다사이자
1985년 대홍포의 무성번식(無性繁殖)에 성공하고, 병배대홍포인 상품대홍포를 직접 창제하신 대홍포의 아버지로 불리는 진덕화(陳德華) 선생님이 직접 제다한 순종대홍포(純種大紅袍)”와 진선생님이 근무하시는 무이산시북두암차연구소에서 생산한 특급상품대홍포”, 천심암운차업공사의 우란갱(牛欄坑) “육계와 홍수구차창의 혜원갱(慧苑坑) “수선”, 서천차창의 류향간 철라한등 최상등급 암차, 그리고 봉황산의 350년 수령 밀란향, 280년 수령 야래향, 250년 수령 황지향, 200년 수령 행인향, 130년 수령 강모향 등... 이러한 차품들은 전시기간 중에 실시하는 화, 금요차회를 통해서 품다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암차 상품 대홍포

이밖에도 고급품질인
상품대홍포”, 마두암(馬頭岩) “육계”, 오원간(悟源澗) “매점”, 북두암차연구소의 육계, 수선, 수금귀, 철라한등과 봉황산 우동지역의 행인향”, 대암(大庵)지구 및 중평(中坪)지역의 황지향, 야래향, 압시향, 밀란향, 노총수선, 노산향등을 준비하여 전시장에서 직접 시음 할 수 있도록 준비 하였습니다. 이밖에도 이번 답사를 통해 얻은 무이암차와 봉황단총에 대한 각종 자료와 학습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자료들을 함께 전시하여 참관객의 청차(靑茶)공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특별한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전시 포스타

고전문화 특별전 지난 기사
2014/06/29 -  고전문화 이전 개업 특별전, 자사호의 역사
2013/10/22 -  고전문화 - 홍차문화 특별전
2012/11/25 -  고전문화/조기 자사호 전시회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