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1회 국제차문화대전(티월드페스티벌, 위원장 김정순)이 다음주 65일(수요일)부터 6월8일(토요일) 까지열린다. 530일자로 확정된 참가업체 배치도는 아래와 같다.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하기 바란다.

A라인
A21
순수 공예 삼보. A2 장훈성. A2 매원초가. A2 누보도예. A2 평강도요.  A2 도예공방민. A2 도정요.  A2 황우요. A2 묵전요. A10 소석도예. A12. 김진욱 도예원. A13 태경도예. A14 ()세계기독교차문화협회. A15 경은요. A16 도예공방 그릇. A17 영산요. A17 몽평요. A17 토방우후리. A17 토민요. A17 살구씨토방. A17 무안요. A19 우주와 자연과 인간을 도자(陶磁)로. A19 다도구 공예품. A20 클레이텍 - 조재호다완. A21 해송공예.

A22 명은아트. A23 명운당. A25 석가명차. A26 가야공방(에이케이에이). ANTIQUE. KOREA. ARTICLE. A27 천연염색스카프 금곡사 탄주스님 . A28 차인(茶人). A29 고전문화. A30 사단법인 한국명선차인회. A31 혜정·월곡 차 씨화전. A32 묘적사. A33 白 山 家 (백산 김정옥). A34 밀밀홍. A35 재단법인 명원문화재단. A36 이른아침. A37 차도구 아울렛.

B라인
B1
사리도예. B2 해정 김만수 차와 사람들의 이야기. B3 한우물정수기. B4 장흥청태전산업육성사업단. B5 취운향당. B5 아르가. ARGHA. B5 기바. B6 미창페케이지. B7 명품하동녹차사업단. B8 연우제다. B8 녹산제다/지리명차. B8 선돌마을. Seon Dol Ma Eul. B8 매암제다원. B8 차살림. B8 우멍다가. B8 한밭제다. B8 아트라인. B8 지리산 오죽헌(황차전문). B8 지리산 상선암 차. B8 다산원. B8 만수가 만든차(비주제다). B8 요산당. B8 조태연죽로차. B11 오설록. B12 연꽃차는 바이오굴바라Best lotustea biogurbala.

B13 전라북도 김제시 하소백련차. HASO BAEKRYON. B14 전라북도 김제시 안시성옹기. B19 도예공방 후니. B19 장작가마 백암요. B19 장작가마 소명요. B19 장작가마 도계요. B19 장작가마 한국토기. B22 가야비파구룡요. B27 백윤도예. B27 청욱요. B27 미리내 차사발 명천요. B27 예인요.B35 청목공예. B36 호암요. B37 도농도예. B38 정읍 현암제다영농조합. B38 치재청정제다. B38 정읍 남송다원영농조합법인. B38 태산명차(허곡제다). B38 정읍 알로에사랑 영농조합법인. B47 명가혜. B50 무아공방. B51 최재훈 찻잔전(과천요)

C라인
C1
보성군. C1 보성 보성제다. C1 보성 죽림다원. C1 보성 소아다원. C1 보성 녹차사랑. C1 보성 운해녹차. C1 보성 원당제다. C1 보성 다채. C1 보성 남양다원. C1 보성 보림제다. C2 아르헨티나 대사관. C3 소망기업 C4 C5 성수. C6 희양산아래(천연염색우리옷). C7 단청. C8 빨간잉어. C9 효림공방. C10 연화마루. C11 반짇고리. C12 잎새. C13 수향. C14 정경어패럴. C15 태세라믹. C16 청 안. CHUNG AN. C17 황금단 BY 외출C18 약초생활건강. C19 우리옷 연지곤지. C20 가배공예. C25 그린웨이브//허브킹덤.

C26 INDONESIA TEA COMPANY. C27 능인향당. C28 천년의 손길 송원도예. C29 천년의 빛깔 쪽빛노을. C30 누비진. C32 천연염색 류다원 풍뎅이. C33 섬유공예 월송가. C34 우리다원 & 우리옷. C35 초의. C36 김혜주 자연옷. C37 이진옥 천연염색. C38 침향 비즈아시아. C39 좋은 꿈자리. C40 묘덕스님의 차와연잎밥 "하나". C41 제주 이미애 갈옷. C46 () 충북꽃잎문화협회. C47 리뉴얼라이프㈜. C48 성연 티세라. C49 옥수공예. C50 빛고울. C51 토담공예. C52 가람C53 꼬매. C54. C55 청도감물염색산업화사업단. C56 옹크씨. C57 다견원.

C58 지리산 장죽전제다. C60 김해장군차영농조합법인. C61 티에리스. C62 장애인과 희망을 열어가는 사회복지법인 연화원. C63 제라드 에프엔비솔루션즈. C63 HALSSEN & LYON GMBH. C64 창녕군, 우포 청담이재순 갤러리 자연염색과 그림. C65 기천요. C66 창녕군, 우포 박시곤목공예 찻장과 차상. C68 풍경. C69 예솜. C70 풀꽃향기. C71 송화. C75 명가원. C76 우멍다가 . C76마인. D1 한국제다.

D라인
D2 스리랑카 대사관. D3 토나루. D4 케냐 대사관. D5 토선도예. D6 농업회사법인 제주옹기마을㈜. D7 호성암 복원 불사 기금조성 송하스님 선서화 다포전. D7 프리캔들 호성사. D8 박보성 도예. D10 대림목공예. D10 안심근차. D11 농업회사법인에이치맥스. D12 우향다원 유기농. D13 담원아트. D13 Kac 한국예술원. D14 산비탈 D15 고븐도예. D16 솔밤도요. D17 도예공방 섬김. D18 성읍녹차마을영농조합법인. D18 초록빛제주영농조합법인. D18 백록다원영농조합법인. D22 ()헬스베버리지. D23 수경. D24 귀단도요. D25 양인학공방. D26 동원공방. DONG WON CERAMICS.

D27 쌍어각 보이고사. D28 취죽진여실. D29 금정공방. D30 낙생도예. D31 장원(張園). D32 세븐비. D33 리프. D34 하늘'꽃 갤러리. D35 남촌도예. D36 고흥연꽃다원. D37 효월. D38 농업회사법인 대흥㈜. D38 금정다례원. D39 동다원(東茶苑). D40 금성명다원. D41 가평요. D42 청산요 D43 상주요(부부도예). D44 금풍공예사. D45 송춘호 도예. D46 자천도예공방. D47 명품관 다우재. D48 고목(古木). D48 아민도예. D49 청곡돌.풀원. D50 다래다반. D51 윤두리도예공방. D52 차마을 동정보이차. D53 연다향. D56 하토&다미. D57 진곡도예. D58 청봉요. D59 다경향실. D60 공부차. D62 자다. D63 예술공방 느낌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조유행 하동군수님과 찻자리 대회 참가자]

대한민국 차 산업의 메카 하동에서 차문화 화합의 축제가 열렸다.

‘제18회 하동야생차문화 축제’로 5월 17일 차시배지에서의 개막 헌다례를 시작으로 19일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행사 기간에 가장 관심과 집중 조명을 받은 것은 ‘제1회 아름다운 찻자리 최고대회’가 아닌가 한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2013년 국내에서 가장 규모 있는 차문화 축제의 장에서 열린 찻자리 대회라고 할 수 있다.
[하동군에서 출전한 좌, 오재홍 우, 임채균]

이번 대회를 성공리에 치르기 위해서 하동군의 적극적인 지원과 홍보, 명원하동지부, 한국대렴차문화연구회(김애숙 원장)의 열정이 모아져 이룬 성과이다. 이번 행사의 결과에 더 찬사를 보내는 것은 행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관 단체의 공백 현상을 김애숙 원장이 적극적으로 잘 대처하여 오히려 전화위복의 결과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처음 기획한 50석을 채우고도 추가로 더 접수되었다고 하니까. 또한 하동군에서는 처음 개최하는 찻자리 대회임에도 행정적인 도움이 더해져 원만한 진행이 되었는데, 심사가 완료되기까지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심사를 마친 이후 모든 자리에 차와 다식을 제공했다.
[문경명원주부 다문화가정 회원]
심사는 공정했고 결과에 모두 박수를 보내는 아름다운 광경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문경명원지부(지부장 구애교)에서 참가한 태국, 필리핀, 베트남에서 온 다문화가정 회원들의 특별상은 그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 하겠다.
[대구 태정차문화연구회 회장 신용석]

이번 아름다운 찻자리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하동군 소속의 임채균 오재홍 팀은 다른 찻자리에서 볼 수 없는 특별함이 있었는데, 다른 참가자들도 좋은 평가를 내릴 정도였다. 조선시대 동기를 이용하여 만든 찻자리는 주제에 맞게 연출하면서도 연출자와 일체감을 느낄 수 있어서 전체 찻자리에서 격조를 더한 분위기였다. 우수상을 받은 대구 태정예다문화협회 신용식 회장은 남성 찻자리로서의 모범을 보인 것 같았다. 즉, 찻자리 내용 따로 사람 모습 따로가 아니라 찻자리 내용을 보면서 주인에게 따뜻한 차 한 잔 권해보고 싶은 아음이다. 최우수상에는 상주다례원 최선희 씨 팀이 받았다. 그 외 수상하지 못한 팀들도 각자의 노력은 인정받을 정도로 애쓴 흔적이 역력했으며, 많은 사람들의 찻자리에서 서로가 공부가 되는 좋은 시간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최우수상 상주다례원]

[사회 강아연]

이번 행사를 성황리에 마치게 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한 또 하나는, 행사 진행 사회를 맡은 강아연 사회자가 아닌가 하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강아연 사회자는 아나운서 출신이기도 했지만 어릴 때부터 차 교육을 하는 어머니(대구명원 2지부장 박금희)의 영향으로 차문화를 이해하고 있어서인지 전체 사회를 보는데 있어 자연스런 내면의 실력이 드러나면서 빛을 발하였다.

[금당차문화연구회 회원]

아름다운 찻자리’라는 것이 도구의 화려함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연출한 내용과 연출자의 자세에서도 뭔가 일체감이 있을 때 그것이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이번 53 단체의 찻자리 연출은 각자의 개성과 끼를 살려 그동안 찻자리 연출의 다양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대회를 시작으로 차 산업의 메카 하동에서 새로운 차문화 축제의 아이콘을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천안에서 차문화 운동을 대표적으로 해온 곳이 있다면 원유전통문화연구원(원장 전재분) 원장이다. 전재분 원장은 원유전통문화연구원 1층을 완전하게 몰라볼 정도로 대대적인 공사를 벌여 리모델링했다. 5월 12일 오픈하는 날 그곳에서 여러 지인들도 만났다. 이곳은 차실을 새로 만드는 수준이 아니라, 차도구 전문점이면서도 차를 기호에 따라 마음대로 마실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 것이다. 그 작업의 총감독은 요즘 밀양에서 차실 잘 만들기로 소문난 정호경 교수다. 그래서 이날에는 밀양의 도예가 두 분도 함께 만났다.

     [전재분 원장의 아들 이낙구 씨와 함께 우리나라 차를 마시면 좋을 것 같은 분위기의 다림헌 차실에서]

다림헌은 전체적인 분위기가 좋아서 가
장 마음에 드는 공간 하나만을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입식 차실도 잘 만들어졌고, 문학하는 사람들이 모이면 글감이 잘 올라와서 원고를 쓰고 싶을 정도의 공간도 있다. 그날 홍차를 마시는데 어떤 이는 ‘홍차 방인가’ 하고 물었다. 그만큼 천안에서는 특별한 공간이다.

이런 차문화 공간을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면 참 좋을 것 같다. 작은 방 하나는 선방 같은 곳이다. 이렇게 대공사를 진행한 전재분 선생님은 앞으로 이곳을 아들 이낙구 씨가 잘 운영해 줄거라고 기대를 하는 것 같다. 아들 이낙구 씨는 직장을 가지고 있지만 어머니가 한 평생 차 하나만을 연구하고 후진을 양성해 온 올곧은 모습을 보고 자란 입장이라서, 어쩌면 아들이 운영하면 더 잘 하실 것 같은 생각도 들었다.

전국의 도예가들 작품이 한곳에 모여 있다. 오픈하는 날 연출된 차도구는 모두 3년 이전에 준비한 것으로, 오픈을 위해서 도자기를 준비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그만큼 그동안 열정적으로 다녔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다림헌을 설계하고 총 감독한 정호경 교수에게 이번 리모델링 공사를 어떤 마음으로 준비했는지에 대한 짧은 인터뷰를 하면서, 다음과 같은 공간의 의미를 둔 장소를 만들고자 하였다고 했다.

정호경 교수는
“공간에 의미가 주어 졌을 때 우리는 그곳을 장소라 부를 수 있다.우리가 거쳐 왔던 수많은 공간 중에서 어떤 의미나 이야기가 있었던 곳을 장소로서 기억하며 회상한다. 우리에게는 스쳐지나가는 의미 없는 공간보다는 머무를 수 있는 장소가 더욱 더 필요하다.
장소로서의 다림헌을 만들고자 한다. 전체 평면 구성은 전통 한옥의 배치 형식을 빌려왔다. 입구를 들어서면 나타나는 첫 번째 공간은 행랑 마당에 해당하는 곳이다. 실내와 실외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완충적 공간으로서 동적이며 열려 있는 공간이다.”

오픈 날은 어수선한 분위가로 차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을 수도 있는데, 개인적으로 특별한 맛을 기억하고 있다. 송화가루로 만든 진한 차다. 많이 만들어 본 사람만이 낼 수 있는 맛이다. 송홧가루를 넉넉하게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시간이었다.

이제 천안에서 이런 공간을 어떻게 운영하는가는 순전히 차꾼들의 몫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사)정다문화원 산하 정다회 회원들이 제13회 대가야 왕릉제 제례행사에서 헌다의식

사)정다문화원(이사장 서정향) 산하 정다회 회원들이 대가야 체험축제의 일환으로 열린 제13회 대가야 왕릉제 제례행사에서 학춤과 헌다를 선보여 자리를 빛냈다.

 11일 오전11시 왕릉전시관 광장에서 열린 이번 행사와 관련 곽용환 고령군수는 "올해 대한민국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선정된 만큼 1500년 전 대가야인들에게 돋보인 예술성과 실용성의 문화를 재조명하는데 주안점을 뒀다"며 "행사의 제막을 알리는 제례행사에서 문화의 격을 높인 정다회 회원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서현숙 이사장(대연교당·본사 운영위원)은 "민족의 문화를 차문화에 접목시켰다. 제례에 헌다를 한 것만 하여도 고령 문화를 더욱 빛낼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며 "앞으로 정체성 있는 문화를 널리 알리는데 정성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이것은 사)정다문화원의 목적인 우리 전통예절과 차문화 연구활동을 통해 우리 예절과 차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전통문화와 차문화산업의 육성발전에 기여하는 것과 연관됨을 알수 있다. 결국 차문화컨텐츠를 개발하여 각 지역에 우리 예절과 차산업문화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이수복 회장은 "이사장님께서 몇 년 전부터 가야대학교에서 열린 고천제 행사에 참석하면서 이번 축제와 자연스럽게 연결됐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서 원다회 회원들도 함께 참석해 차나눔 자리를 마련했다. 이어 안화리 마을로 이동해 정다문화원 정다회 고령지부 현판식 및 찻자리를 가졌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명산다연 원장 이현숙]

명산다연(명원문화재단 수원지부)이 수원 매향동에 오픈하였다. 원장 이현숙 선생님은 1984년부터 차에 입문하여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오산대학교, 아주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양학부 등에서 강의를 했으며 최근에는 백화점에서 홍차와 보이차 강의를 하고 있다. 명산다연에서는 한국차(명원다례법)를 비롯한 홍차, 보이차 등 종합적인 차 강의가 개설된다고 합니다.

문의 031-293-1811 / 다음카페 www.teaart.net

마침 다음주 월요일(5월 13일)에 보이차 품다회가 있다고 합니다. 아래 품다회 소식

           [보이차 품다회]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헌화하는 모습, 사진왼쪽에서 두번째 진주석류차인회 최순경 회장, 오순자 전 회장 

201354일 오전 11시 아인선생기념사업회(가칭) 주관으로 남해 하천제에서 열렸다.

아인선생 1주기 행사는 처음부터 관련있는 조직이나 사람들과 충분한 의견을 나누지 않고 한 것이 조금 아쉬운 감은 있었지만 그래도 하천다숙에서의 행사는 잘 마쳤다. 초헌관은 최성철 대아고등학교총동창회회장, 축관은 박군자 오성다도회 회장, 종헌관 황수부 진주차인회회장이 하였다. 2부에서는 헌무 박일화, 헌시 정옥희 한국예절문화원원장이 하였다.
이번 행사에서 기념사업회 후원금 마련을 위한 기념품 판매도 있었는데, 2-300년 수령의 고차수로 만든 병차로 차꽃 모양의 문양을 넣어 산중명월 이동수 대표가 <아인호>100편 한정판으로 만들었으며, 토야요 송승화 사기장이 금잔을 만들어 전시하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우리나라에서 ‘아름다운 찻자리’대회가 하동야생차문화축제조직위원회와 김애숙 원장의 주관으로 5월 18일 대회를 개최한다. 대한민국 차인 한마당 아름다운 찻자리 최고대회를 통하여 축제 참가자들과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차 문화와 차 축제의 문화적 위상을 알리고자 한다.

이번 행사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일을 주관하는 차인은 김애숙 원장이다. 주관 문제로 약간의 혼선이 오가기도 했지만 5월 2일 현재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름다운 찻자리 대회는 50개의 자리가 마련된다고 한다. 오늘까지 대부분의 자리는 확보되었다고 한다. 찻자리 꾸미기에 재능이 있다고 하는 분은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보면 좋을 것 같다.

- 행사개요
1. 행사명: 2013 대한민국 차인 한마당 아름다운 찻자리 최고대회
2. 일 시: 2013년 5월 18일(토) 13:00-16:00 3시간
3. 장 소: 가. 대회: 하동야생차 문화축제 주무대 앞 광장

                                                                  
나. 시상식: 주무대

4. 주 최: 하동군
5. 주 관: 하동야생차문화축제조직위원회/
6. 출전대상: 선착순 50개팀(1인 3인까지 가능함)
7. 신청기간: 2013년 4월15일 - 5월10일(16:00)까지 신청마감
8. 요 건: 가. 차(대용차 제외), 기본종류: 차, 발효차, 반발효차, 블렌딩차, 블렌딩차, 말차
            
나. 시간: 15분 이내    다. 테이블 규격(60×180cm)
9. 접수처: 가. 명원문화재단 하동지부(055-883-2001, 010-3830-1722)

나. 접수방법: 우편(5월 7일소인) 우편주소: 경남 하동군 하동읍 흥룡이 1117-3
명원문화재단 하동지부/한국대렴차문화연구원(가칭)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부산차인연합회 24주년 기념으로 제8회 국제 다도 문화제를 개최한다는 반가운 소식이 왔다. 매년 부산 벡스코 켄벤션홀에서 해온 이번 행사는 그동안 허충순 전회장이 주관을 해왔다. 이번 행사는 기존 허충순 회장은 명예회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김무남 회장을 대신하여 임시적으로 이번 행사만, 다경상사 김학기 대표가 대회장을 맡았다.
이러한 행사가 성황리에 마치기 위해서는 차문화를 사랑하는 차인들의 많은 참여가 필요하다.
행사에 관심가진 분들 중에서 문의하실 분은 아래 전화번호를 참고.

일시: 2013년 6월 8일 토요일 장소: 해운대 BEXCO 컨벤션홀 3층
김학기 - 010-9353-5362
김준석 - 010-8757-5382
다경상사 - 051-631-3224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