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다회에서 시음한 차

 

차의 종주국은 중국이다. 차문화의 유형을 구분해 보면 모든 것은 중국에서 시작되고 이웃나라에서 모방하는 과정에 자기 나라의 관습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형태로 발전한다.

 

돈을 내고 마시는 차관의 형태도 중국과 한국은 다르다. 중국은 매우 자유분방하면서 서민들이 이용하는 차관과 사회적인 위치를 가지면서 유통되고 차의 고급문화를 향유하는 차관이 있다. 한국에서는 전통찻집이라고 하면서 매우 고루한 전통을 고집하다보니 대부분 문을 닫았다. 그나마 차관으로서 위치를 가지고 그 지역의 문화 중심에서 한 축을 형성해 나가는 곳은 중국차 전문점으로 볼 수 있다.

 

2015년 대평보이차의 대평통보

 

필자가 현장에서 경험한 범위에서만 보면 중국차를 전문적으로 취급한 곳은 불황임에도 꾸준하게 성장하는 곳이 있다. 값이 비싼 차를 많이 팔아서가 아니라 카페를 운영하면서 젊은 층부터 중년까지 다양한 회원을 확보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조금씩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는 곳은 서울 마포구에 있는 라오상하이(대표 박주홍).

 

라오상하이를 처음 만난 시기는 4년 정도 되었는데, 그때는 중국 문화 체험을 통해서 차문화를 보급하는 수준이었다. 중국어나 중국 악기를 공부하는 곳과 찻집이 한 곳에서 구분되어 운영했다.(이번 리뷰는 고운다회의 성격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정리하고 품다회 리뷰는 다시 한 번 참여하여 기록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마포구로 이전하여 새롭게 운영을 하고 있는데, 고운다회라고 하여 매주 목요일 7시에 다회를 가진다. 찻값 정도의 회비로 그날 만난 인연들과 5-6가지의 차를 마신다.

 

대평보이차 임희첨 대표(수제차와 기계차를 설명)

 

매우 합리적인 운영 방식인데 이것은 오롯이 박주홍 대표가 차를 보급하겠다는 의지의 일환이다. 이날 모두 처음 만난 분들이지만 이곳에서 대평보이차 임희첨 대표를 만나 1993년 12월부터 중국 운남에 가서 차를 만들게 된 과정을 직접 들을 수 있었고, 최근 보이생차의 유행에 대한 현지 상황도 알 수 있었다. 처음마신 차는 서호용정이고 두 번째는 2015년 대평보이차의 대평통보, 2003년 숙빙전의 파카명전, 무이암차, 2009년 천가채, 이무정산 무원호 등이다.

 

목요일 차회에서 차를 내는 우천 조명숙 선생

 

이날 차회에 참석하게 된 계기는 지난 번 라오상하이 박대표를 만났을 때, ‘매주 목요일에 나이 드신 차 선생님이 직접 봉사하시는 분이 계신다고 해서 참석하게 되었다. 어떤 분이기에 매주 마다 한 번씩 늘 차 봉사를 하시는가 하는 것이 궁금했다. 주청 선생이 직접 가지고 온 차와 고운다회에서 제공한 차, 손님이 가지고 온 차를 같이 마시면서 2시간 동안 담소하며 세상의 차 이야기를 나누는 곳이다.

 

이날 강원도 평창에서 오신 부부는 필자의 저서인 자사호이야기에 대한 소감을 말하면서 더욱 친근감 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고, 필자는 어떻게 그러한 방식의 편집을 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7가지의 차를 마시고 난 후 헤어질 무렵, 대평보이차 임대표는 이날 마시고 남은 차 중 자신이 만든 1996년 남나산 차를 편지봉투에 넣어 건네주었다. 이 차는 판매는 하지 않고 자신이 출장 갈 때 가지고 다니면서 마시는 차라고 한다. 그리고 평창에서 오신 부부도 편지봉투에 담아온 차 두 가지를 필자에게 선물로 주었다. 이렇게 받은 차는 어제 오전에 마신 후, 전화와 카톡으로 각각의 소감과 함께 감사 인사를 드렸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2016년 3월 13-14 중앙SUNDAY        

 

냄새 듣고정신수양 향도를 아시나요.

 

문화혁명으로 맥이 끊겼던 향도에 대해 중국이 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반이다. 중국 문화부 향도협회 정회원이자 2014년부터 한국향도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정진단(42)씨는 중국 정부는 고서에만 나와있는 향도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대만, 일본, 터키, 영국 등지를 찾아가 자료를 엄청나가 수집해 왔고 2009년 국가 차원의 문화 복원 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말한다.

 

향도는 과연 무엇인가. 냄새를 맡는 것이 어떻게 궁극의 정신수양이 될 수 있다는 것인가. 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중앙SUNDAY S매거진이 서울 안국동 이루향서원을 찾았다.

글 정형모 기자

---

중앙SUNDAY S메거진에서 한국향도협회 정진단 회장의 특집 기사가 실려서 소식을 전한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2011년 노백차 포장지

 

백차는 중국 복건의 복정과 정화 두 현의 태로산에서 나는 백차종 나무에서 채엽하여, 위조 후에 유념을 약하게 하거나 하지 않고 진행한 차를 말한다. 수미나 백모란을 몇 년간 두어 자연발효를 거친 것을 노백차(老白茶)라 한다. 노백차의 기준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3년 이상 된 백차(긴압차 포함)를 노백차라고 한다.

 

백차는 1년은 차(茶), 3년이면 약(), 7년이면 보배()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첫해는 차로 마시고 3년이 지난 차는 약으로 마실 만큼 건강에 유익하다는 의미이고 7년이 지난 차는 보배라 할 만큼 좋다는 의미이다.

2011년 노백차 병차 앞 뒤

 

안국동차관에서 2011년 노백차를 한정판매 한다고 한다.

7/45만원

 

이번 행사의 노백차는 1960년 초 중국 정부에서 심었다가 문화대혁명 이후로 방치하여 두었던 복건성 복정현 광양진 차산지에서 딴 야방차와, 광양진에서 2000년 이후 재배한 차나무 잎을 병배하여 전통 방법으로 살짝 유념 후 그늘에 말리고 약간의 홍건을 시킨 찻잎을, 맷돌을 이용한 수작업으로 압축시켜 정성들여 만든 백모란 노백차다 

위의 사진을 조금 확대했을 때의 모양

 

기계로 5초에 한번 떨어지는 고압력으로 눌러 만든 긴압차와, 맷돌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눌러 만든 차의 숙성은 확연히 다르다. 푸석푸석하게 찻잎이 살아있다. 차칼로 뜯을 때 한층한층 곱게 일어나므로 차를 우리고 난 엽저도 그대로 살아있다.

 

이번 행사에 나오는 백차의 품질 특성은 야방차와의 적절한 병배로 고산지대의 강한 기운이 있으나, 5년간 발효를 거쳐 약 향(한약 냄새)이 어우러지며 부드러운 감칠맛이 일품이다.

 

마시는 방법

백차는 개완이나 다관을 이용할 때 10회 이상 15회까지 우릴 수 있다. 찻물색은 살구색을 띤다. 특히 백차는 우린 잎을 다시 끓여 마시기도 하는데 우려마실 때와는 달리 노백차의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이 차에 대해서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번호로 연락하면 된다.

7/45만원

 

안국동차관

070-4046-1666

 

천안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010-8266-7885

 

노백차 관련 지난 기사

2016/01/07 - 안국동차관, 2008년 백모란 20통 한정 판매

2014/03/10 - 다미향담(97) 복건성 백차의 변신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보이차 전문지 다예 NO.56 최근호가 발행되었다.

 

이번 호에서는 1996-2006 Classical Intermediate Puerh Teas 엄선 1996~2003 중생대 정()보이

 

. 그림/진감방(陣淦邦)의 특집 기사가 재미있게 볼 수 있다.

 

진감방에 의해면, 천금 주고도 사리 어렵다는 걸 일직부터 알고 있지만 시간은 흘러갔어라, 이제 다시는 몇 천 위안의 돈으로는 인급차(印級茶)를 살 수 없게 됐으니, 오로지 앞날을 기대해 볼 따름이다. 이런 까닭에 요 몇 년간에 이미 13에서 20년 되는 중생대 정보이차는 장차 곧 품음의 옛 차가 될 것이며, 보이차 시장에서 인가한 표준 차 상품이 될 것이다.

 

[대특집] 국영창중기차

엄선해서 만든 중생대 고은 보이

하관 풍취향 차창의 백 년 된 명성

중기차가 기세를 축적하고 출발 대기 중이다.

중차로부터 대익품패까지

곤명 차창의 전기적인 역사

청향형 쌍배식 포다 경합

천의가 소장 보이의 즐거움

화평 차화화회

[특집] 18회 촉산논보

[특집] 화산논차

2005년 명보대회 제4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공부차문화원(연암) 실내

 

대구 중국 공평로8길에 있는 호중거가 차문화공부원(연암)으로 변경되었다. 지난 토요일 점심시간을 지나서 130분에 방문했는데, 현판은 연암인데 중국식 차관의 형태가 완전히 바뀌었다. 연암다원은 대구에서 중국차 전문점으로 자리를 잡고 성공한 대표적인 차관이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2003<찻잔이야기>2004<사기장이야기>의 책 교정을 의뢰하기 위해서 윤윤수 선생님을 만나서 원고를 전하고, 교정지를 받은 장소가 이곳이다. 그래서 내겐 특별한 곳이다. 그리고 2014<한국현대차인> 책에 채계순 대표를 모시기 위해 여러 번의 방문과 다법 촬영을 해온 곳이다.

 

이무춘첨을 우린 자사호

 

2016년 개정판 출간을 위해서 마음의 문을 열고 많은 대화를 했던 곳이기도 했다. 차관 안에서 채계순 원장을 잠시 기다리는 동안 壺中居(호중거)의 현판을 다시 보게 되고, 5개의 탁자 대신 4인용 탁자 2개와 6인용 큰 탁자가 넓은 공간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노오룡차

 

사진 몇 장을 촬영하고 채계순 원장이 있는 차실로 갔다. 늘 그대로인 심자한이 한층 새롭게 보인다. 달라진 것 없는 이 공간이 더욱 빛나 보이는 것은 차의 맛을 보는 곳이 아니라, 맛 이전에 심신을 안정시키는 청정한 공간이기에 맛을 넘은 멋을 보게 한다.

 

이날 마신 차는 보이차 이무춘첨과 노오룡차이다이무춘첨의 원년 생산품은 이제 노차로서 대접받는 차인데, 이만큼 건강한 맛과 색미를 즐길 수 있는 차를 만나기 어렵다. 다음으로 마신 오룡차는 신맛이 아주 묘하게 나는 아주 잘 만든 차로서, 발효가 잘된 차의 공통적인 맛과 향이 드러난다.

 

오늘은 사실 차 이야기보다는 <호중거>가 공부차문화원으로서의 격조 있는 공간으로 바뀐 이야기를 기록하고자, 찻자리를 영상으로 담아 그 향기를 전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크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중년 남자들의 차회에서 보이차를 마시는 자리

 

229K사의 김해준 대표 일행으로부터, ‘저녁에 안국동차관에서 차회를 하는데 함께하자는 연락이 왔다. 마침 시간이 되어서 만나게 되었다. 필자가 조금 늦게 도착했는데, 첫 번째 차로 2015년 노총수선을 마시고 있었다. 팽주 역할은 정진단 대표가 했는데, 보이차는 손님들이 가지고 왔다고 했다. 이런 방식의 차회는 서울에서는 안국동차관이 유일하지 않을까 싶다.

소녹인

소황인

노총수선 다음으로 두 번째 차는 70년대 녹인을 마셨다. 그런데 차를 넣어 온 보관통을 보니, 통마다 한자로 된 글씨가 있었다. 김해준 대표가 붓으로 직접 쓴 글씨라고 한다. 매일 금강경을 사경하면서 익힌 솜씨라고 하는데, 보이차에 대한 내공 뿐 아니라 마음공부에 있어서도 한 차원 다른 면을 볼 수 있었다.

노오룡차의 향기

석우미디어(동영상)

 

세 번째 차는 차관에서 준비한 노오룡차인데, 어찌나 맛이 좋았든지 김해준 대표는 보이차로 치면 홍인급이라고 칭찬했다. 과거 인급이나 호급 보이차를 자주 마셔본 사람들만이 표현할 수 있는 말이다. 참석자의 공통적인 표현으로는, ‘이런 게 바로 노오룡이다라는 거다. 정말 참맛을 경험하게 해준 차다.

 

중년 남자들의 찻자리

 

그 다음 차는 무지 70년대 후반의 차였고, 마지막으로 마신 차는 소황인 70년대 차다. 제법 큰 호를 사용하게 되면서 차까지 많이 넣고 마시다 보니 소황인을 진하게 마시게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s88보이차

 

지난주 일요일이다. 명가원에서 가끔 만나게 되는 차꾼들이 그날은 4명이 같이 모였다. 이번에는 K사의 김해준 대표님도 자리를 같이 하게 되었다. 김해준 대표는 보이차 마니아로 잘 알려진 분이다. 새해 들어서 처음 찻자리를 같이 하게 되었다.

 

김경우 대표도 70년대 산차를 마시다가 내일이면 팔려 나갈 차라며, 1988년 홍콩 창고에서 입고된 속칭 s88이라고 하는 보이차를 내었다. 팔고나면 만나기 어려운 차라며, 봉투 안에서 조금 틀어서 마시는 모습도 참 오랜만에 본 것 같다. 그만큼 귀한 차라는 의미이다.

 

S88보이차를 털어 내는 모습 석우미디어(동영상)

 

세월 만큼 잘 익었지만 강한 고삽미가 나거나 두터운 맛은 아니다. 대신 아주 깨끗하고 깔끔한 맛이다. 이런 차는 노차를 많이 마셔본 사람들끼리 즐기는 매니아들이 가지고 노는 차다. 그래서인지 다섯 사람이 모두 맛이 깨끗하고 깔끔하다는 공통적인 말을 한다. 다 같이 느끼는 맛이다. 필자로서도 80년대 후반에 만든 차로서 이런 류의 맛을 만난 것은 드문경우다.

 

이렇게 보이차를 두 가지 마신 후에 한 분이 무이암차 이야기를 내면서 자연스럽게 대홍포를 거론하다가 주인은 2층에 있는 주석 통에 담겨진 대홍포를 가져왔다. 이 대홍포는 무이성공사 제품으로 북경 조우대에서 국빈용으로 들어가는 차라고 한다. 지난번에도 몇차례 마셨는데, 그 날 창문 너머 도로변에 눈이 내리고 있어서인지 겨울에 마시는 무이암차 특유의 기운이 감도는 기분으로 차를 마시게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자사호 몸통을 교니법으로 만든 고건중 작품

 

우리나라에서는 20여 년 전부터 중국차 전문점에서 자사호를 조금씩 취급해 왔다. 대부분 중국차 도매상을 통해서 유통되기도 했다. 중국 사람이 한국에서 자사호를 취급한 것은 서울중앙우체국 뒤편에서부터 시작하여 서울만 해도 여러 곳이 있었다. 그런데 한국인이 운영하는 것으로 자사호만 판매하는 전문 매장은 처음 생겼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티마오다.

 

이렇게 글을 쓰게 된 점은 흔히 차도구 전문점에 가면 대접하는 차류들은 대부분 접대용 차다. 차의 품질을 떠나서 일반적으로 그냥 간단한 차를 대접하는 수준이다. 그런데 김성곤 대표는 한 사람 한 사람 마니아적인 입장에서 좋은 차를 내었다. 좋다는 기분은 각자 다르겠지만 차 한 잔을 제대로 대접한다는 마음으로 보인다.

 

티오마 김성곤 대표

 

우리나라에서는 20여 년 전부터 중국차 전문점에서 자사호를 조금씩 취급해 왔다. 대부분 중국차 도매상을 통해서 유통되기도 했다. 중국 사람이 한국에서 자사호를 취급한 것은 서울중앙우체국 뒤편에서부터 시작하여 서울만 해도 여러 곳이 있었다. 그런데 한국인이 운영하는 것으로 자사호만 판매하는 전문 매장은 처음 생겼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티마오다.

 

이렇게 글을 쓰게 된 점은 흔히 차도구 전문점에 가면 대접하는 차류들은 대부분 접대용 차다. 차의 품질을 떠나서 일반적으로 그냥 간단한 차를 대접하는 수준이다. 그런데 김성곤 대표는 한 사람 한 사람 마니아적인 입장에서 좋은 차를 내었다. 좋다는 기분은 각자 다르겠지만 차 한 잔을 제대로 대접한다는 마음으로 보인다.

 

처음 마신 차는 광동 우롱차중의 대오엽단총(大乌叶单枞)으로 봉황단총 압시향(鴨屎香)이다. 사실 이렇게 시음하기는 쉽지 않은데 기꺼이 즐거운 마음으로 내는 모습을 보면서 좋은 차를 맛있게 마실 수 있는 건강한 자사호를 준비하는 것과 같은 이치가 된다.압시향(鴨鴨香 , 오리똥향)이 나는 봉황단총은, 자사호로 우리면서 맛과 향을 잘 드러내는 방식으로 차를 내어, 부산에서 온 손님과 함께 귀한 차 맛을 행복하게 마신 시간을 가졌다.

 

두 번째 차는 2015년 생산한 보이산차 천가채를 마셨다. 최근들어서 중국 운남성 차 시장이 불황임에도 고수차는 여전히 인기를 얻고 있으며, 반장차나 빙도가 값이 비싸지면서 상대적으로 천가체 차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인데 즐거운 마음으로 편하게 시음하였다.

 

자사호 전문점에서 좋은 차를 마신다는 것과, 사용하는 자사호를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장점도, 전시된 작품을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영업 방식이 손님들을 편안하게 하는 것 같다. 차를 마시면서 자사호 몸통을 교니법으로 만든 고건중 작가와 티오마에서 관심있게 지켜보는 자사 공예인의 작품 세계를 친절하게 설명해 주었다.

 

좋은 차를 마시게 되면서 손님이 조심스럽게 이 차를 구입할 수 있냐고 물으면, 차는 옆집(라오상하이, 고운찻집)에서 구하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그런 모습에서 자신감과 묘한 빛을 느낀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