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젊은 손님과 명가원 안주인

 

명가원에서 김경우 대표 부부와 같이 차를 마시는 도중에 아주 젊은 여성 손님이 왔다. 이 젊은 손님은 속칭 차계의 꼰대, 아재들 앞에서 추억의 유행어를 하게 되었다.

 

90년대에는 전국에 찻집이 즐비했고 성인들의 차 모임도 많은 시기였다. 이 당시 차회 모임이나 사무실에 들르면 왜 왔느냐 하기도 전에 차고파서 왔소~ 하며 문을 밀고 들어오는 일이 많았다.

 

그런 추억은 이미 30년 가까이 되는 과거인데, 갑자기 불쑥 온 손님에게서 그 말을 들으니 필자도, 대표 부부도 이렇게 반가울수가 하는 분위기가 되어 버린 것이다.

 

사연은 다음과 같다.

 

어쩌면 명가원에서 만나기 쉽지 않는 분위기를 잠시 같이 하게 되었는데, 젊은 여성이 다소곳한 자태로 명가원에 들어왔다. 명가원이 어디인지 전화로 먼저 문의를 한 모양이다. 보이 생차를 찾는 손님에게 어떻게 알고 명가원을 찾아오게 되셨나요 물었을 때, 블로그 석우연담을 보고 찾아 왔다고 한다.

 

김경우 대표는 석우연담에는 보이차를 명가원에 가서 구하라는 말은 없었는데 했더니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이 명가원에 가면 된다는 의미로 여겼다라고 말한다.

 

그러자 사모님이 석우연담 운영자가 여기 있다고 하고 필자가 인사하며 제가 운영자입니다라고 했다. 앉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더니 손 인사를 청했다. 반가운 분 만나고 싶은 분을 만나게 되어서 반갑다고, 그동안 필자의 책 찻잔이야기, 사기장이야기,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3가지를 읽었다고 하며 오늘은 차가 고파서 오게 되었다는 말을 서슴치 않고 꺼내었다.

 

이것 참 오랜만에 듣는 말인데 그것이 이렇게 젊은 분에게 듣게 되니 대표부부와 함께 무척이나 반가웠고 갑자기 허물이 없어지는 느낌이랄까...

 

함께 차도 같이 마시고 싶었지만 필자는 다른 약속이 있어서 먼저 일어나게 되었다.

 

잠시 되돌아 그 시간을 생각해보면 세상이 많이 변했다는 점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이제 젊은 층에서 보이차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는 점이다. 젊은 층은 녹차나 청차를 찾아 나설 것 같았는데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이제 차의 세계도 그 변화의 폭이 넓어졌고 즐기는 고객층의 나이도 한층 내려왔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이렇게 세상이 서서히 변해가고 또 이어지고, 그렇게 넘실대며 가는 듯 마는 듯 그렇게 전해지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미소가 지어졌다.

 

올해 가을에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특강과 찻자리를 만들려고 기획하고 있다. 오늘 그 말, “차가 고파서 왔어요라는 말은 예전생각에 모두 내어주며 더 기쁜 마음으로 준비하고 싶은 생각이 활활~ 드는 하루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골동보이차의 이해

 

저자 김경우

정가 35000

출판사: 티웰 / 전국 유명서점에서 취급

 

그 동안 골동보이차에 대한 대부분의 글들은 중국인의 시각에서 본 결과물 들이었다. 이 책은 독특한 창고 환경으로 인해 발효될 수 있었던 홍콩시장을 조명한 것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골동 보이차 거래의 국제적인 마스터가 집필하였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유명한 보이차의 실제 모습들을 볼 수 있는 풍부한 사진자료로서 세계적으로도 이렇게 실물을 사진으로 담아 골동보이차의 모습들을 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책이다.

 

특히 골동보이차 하나 하나에 대한 설명과 감평이 붙어 있어 접할 수 없는 이들에게도 쉽게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차문화계의 서적 중에서도 오랫동안 보관하고 소장할 수 있는 현재 한국에서 나온 골동보이차에 대한 마스터피스, 즉 최선본이라고 할 수 있다.

 

[골동보이차의 이해]는 목차만 보아도 보이차의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 골동 보이차의 소비, 탄생, 유통의 이해

1. 골동 보이차의 범위와 특징

1) 중국의 보이차 소비문화

2) 홍콩의 보이차 소비문화

 

 

2. 골동 보이차의 탄생

 

3. 보이차의 유통 경로

1) 홍콩의 보이차 유통 경로

2) 대만의 보이차 유통 경로

3) 우리나라의 보이차 유통 경로

 

챕터-2

 

. 호급 보이차(1960년대 전후)

호급 보이차에 앞서서

 

 

1. 호급 보이차의 종류

1) 복원창(福元昌)

2) 송빙호(宋聘號)

3) 동흥호(同興號)

​ ​① 1920년대 동흥호·박지(同興號·薄紙)

1930년대 동흥호·후지(同興號·厚紙)

4) 동경호(同慶號)

쌍사동경호(雙獅同慶號)

용마동경호(龍馬同慶號)

5) 동창호(同昌號)

동창호·황금당(同昌號·黃金堂)

​ ② 동창호·황문흥(同昌號·黃文興)

6) 정흥호(鼎興號홍표, 람표, 자표)

7) 경창호(敬昌號)

8) 강성호(江珹號)

9) 동창황기(同昌黃記)

10) 건리정송빙호·백지(乾利貞宋聘號·白紙)

11) 사보공명(思普貢茗)

12) 복록공차(福綠貢茶)

13) 맹경원차(猛景圓茶)

14) 말대긴차(末代緊茶정흥긴차, 맹경긴차)

15) 기타 호급 보이차

 

 

2. 호급 보이차 이해와 트렌드 변화

1) 호급 보이차는 생산 당시에는 고급 보이차가 아닐 수도 있다

2) 호급 보이차는 현재를 의도하였을까?

3) 현재 호급의 아차나 산차가 없는 이유

4) 선발효 제다법의 등장에 따른 초기 숙차의 탄생

5) 호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3

 

. 인급 보이차(1950~1970년대 초반까지)

인급 보이차에 앞서서

 

1. 인급 보이차의 종류

1) 홍인(紅印)

2) 홍인철병(紅印鐵餠)

3) 무지홍인(無紙紅印)

4) 람인(藍印), 녹인(綠印)

5) 람인철병(藍印鐵餠)

6) 황인(黃印)

7) 곤명철병(昆明鐵餠)

8) 광운공병(廣雲貢餠)

 

2. 인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4

 

. 숫자급 보이차(1970~1990년 초반까지)

숫자급 보이차에 앞서서

 

1. 숫자급 보이차의 종류

1) 대람인(大藍印)

2) 수람인(水藍印)

3) 하관철병(下關鐵餠)

4) 7432

5) 7542(73청병)

73청병

7542

6) 7572

7) 설인(7532)

설인

7532

8) 7582(8582)

7582

8582

9) 숫자급 시기에 생산된 기타 보이차

 

2. 1970년대 이후 숫자급 보이차의 특징 및 트렌드 변화

1) 입창차의 탄생

2) 퇴창의 중요성

3) 악퇴 발효의 등장

4) 숫자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5

보이차의 이해

1. 보이차의 이해

1) 제다 방법에 따른 구분 및 특징

생차의 특징

숙차의 특징

2) 보관 방법에 따른 구분과 특징

건창차의 특징

입창차의 특징

3) 만들어진 형태에 따른 구분과 특징

4) 발효와 숙성

  --

매일 경제신문에 안국동 명가원으로 나온 주인공이 <골동보이차의 이해> 저자 김경우 입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그 동안 골동보이차에 대한 대부분의 글들은 중국인의 시각에서 본 결과물 들이었다. 이 책은 독특한 창고 환경으로 인해 발효될 수 있었던 홍콩시장을 조명한 것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골동 보이차 거래의 국제적인 마스터가 집필하였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유명한 보이차의 실제 모습들을 볼 수 있는 풍부한 사진자료로서 세계적으로도 이렇게 실물을 사진으로 담아 골동보이차의 모습들을 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책이다.

 

특히 골동보이차 하나 하나에 대한 설명과 감평이 붙어 있어 접할 수 없는 이들에게도 쉽게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차문화계의 서적 중에서도 오랫동안 보관하고 소장할 수 있는 현재 한국에서 나온 골동보이차에 대한 마스터피스, 즉 최선본이라고 할 수 있다.

 

골동 보이차의 탄생

현존하는 골동 보이차 전부는 홍콩 지역에 있 창고를 통해 세상 밖으로 나왔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보이차는 중국 운남성에서 생산되어 내수 혹은 수출을 통해 여러 지역으로 유통되었으나, 홍콩을 제외한 어느 지역에서도 오래된 보이차는 존재하지 않았다. 오로지 홍콩 지역의 창고를 통하여 세상 밖으로 나온 것이다.

 

골동 보이차 중에서 가장 오래된 차는 1910년대에 생산된 진운호와 홍표 송빙호 등이 있다. 진운호와 홍표 송빙호의 정확한 생산 연도는 알 수 없지만 문헌과 유통 과정을 통해 1910년대 차로 추하고 있으며, 이는 보이차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주지의 사실이다.

 

우리는 골동의 호급 보이차가 홍콩 지역에서도 여러 창고에서 쏟아져 나왔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실상은 다르다. 호급 보이차는 몇몇 차루(茶樓)에서 운영하 창고를 통해 1990년을 전후한 시기에 시장에 등장하게 된다. 그 이전에는 차의 존재조차 세상 밖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호급 보이차가 나온 대표적인 차루는 비교적 규모가 큰 돈황차루(敦煌茶樓)와 용문차루(龍門茶樓)이며, 이보다 규모가 크지 않은 곳으로는 육우차실(陸羽茶室)과 금산루(金山樓)가 있다. 현재는 1933년에 오픈하고 1976년 현재의 자리로 이전한 육우차실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차루들은 홍콩 반환 시점인 1997년을 전후하여 모두 문을 닫았다.

---------

 

목차

 

. 호급 보이차(1920~1960년대까지)

호급 보이차에 앞서서

 

1. 호급 보이차의 종류

1) 복원창(福元昌)

2) 송빙호(宋聘號)

3) 동흥호(同興號)

1920년대 동흥호·박지(同興號·薄紙)

1930년대 동흥호·후지(同興號·厚紙)

4) 동경호(同慶號)

쌍사동경호(雙獅同慶號)

용마동경호(龍馬同慶號)

5) 동창호(同昌號)

동창호·황금당(同昌號·黃金堂)

동창호·황문흥(同昌號·黃文興)

6) 정흥호(鼎興號) (홍표, 람표, 자표)

7) 경창호(敬昌號)

8) 강성호(江珹號)

9) 동창황기(同昌黃記)

10) 건리정송빙호·백지(乾利貞宋聘號·白紙)

11) 사보공명(思普貢茗)

12) 복록공차(福綠貢茶)

13) 맹경원차(猛景圓茶)

14) 말대긴차(맹경긴차, 정흥긴차)

15) 기타 호급 보이차

 

2. 호급 보이차 이해와 트렌드 변화

1) 현재 호급 보이차는 당시에 고급 보이차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2) 호급 보이차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물이 발효이다

3) 현재 남아있는 호급 보이차는 아차나 산차로 만든 차가 없다

4) 선 발효 제다법의 등장에 따른 숙차의 탄생

5) 호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저자 소개

 

글 김경우

1969년 경남 의령 출생.

1999년부터 차와의 인연으로 서울 종로구 견지동에서 차와 차도구 전문점인 명가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1년부터 매월 중국과 대만을 다니면서 중국차를 연구하고 있다. 2004년과 2006년에는 중국차를 마시기 위한 다구이자 예술적 품격을 지닌 중국 자사호 작가를 직접 초청, 국내에서 전시회를 가져 많은 사람으로부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주요 저서로 중국차의 이해, 중국차의 세계가 있다.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국내도서
저자 : 박홍관
출판 : 형설출판사 2011.06.15
상세보기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골동보이차의 이해 김경우 지음,

 

중국차에 대한 현장 이야기를 담은 <중국차의 이해> 김경우 저자의 세 번째 책인 <골동보이차의 이해>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국내에서는 한 번도 다루지 못한 내용으로, 책의 제목과 같이 골동급 보이차의 생생한 현장 사진과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에서의 거래를 통한 경험 없이는 알 수 없는 내용을 담았다는 점에서 보이차의 진실을 알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 동안 골동보이차에 대한 대부분의 글들은 중국인의 시각에서 본 결과물 들이었다. 이 책은 독특한 창고 환경으로 인해 발효될 수 있었던 홍콩시장을 조명한 것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골동 보이차 거래의 국제적인 마스터가 집필하였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유명한 보이차의 실제 모습들을 볼 수 있는 풍부한 사진자료로서 세계적으로도 이렇게 실물을 사진으로 담아 골동보이차의 모습들을 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책이다.

 

특히 골동보이차 하나 하나에 대한 설명과 감평이 붙어 있어 접할 수 없는 일들에게도 쉽게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차문화계의 서적 중에서도 오랫동안 보관하고 소장할 수 있는 현재 한국에서 나온 골동보이차에 대한 마스터피스, 즉 최선본이라고 할 수 있다.

 

차의 예술 시리즈 03 골동보이차의 이해

그 동안 골동보이차에 대한 글은 대부분 중국인의 시각에서 보았다. 이 책은 독특한 창고 환경으로 인해 발효될 수 있었던 홍콩을 집중 조명한 것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골동 보이차 거래의 국제적인 마스터가 집필하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맹해차창 후지 7542

   

새해 첫날 아침, 중국 백자 다완에 말차를 한 잔 마시고 '명가원'에 갔다. 새해 첫 손님이 아닐까 하면서도 그날이, 마침 일요일이라 늘 만나는 분들도 오시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하면서 문을 열고 들어갔다. 김경우 대표는 먼저 혼자서 한 잔 마시고 있었다.

 

잠시 새해 덕담을 나누고 있을 때 k선생이 오셔서 차를 새로 내게 되었다. 김 대표는 새해 첫날이니까  맛있는 차 마시자고 하시며 낸 차가, 1980년대 중반 맹해차창에서 생산한 후지 7542’였다. 자사호에 배꼽부분을 중심으로 조금 남은 것을 거의 털어내었다. 

 

김경우 대표의 차 내는 모습

 

한 번 세차한 후 마신 첫잔의 맛은 운무 속의 농익은 맛이다. 80년대 보이차의 특징은 대부분 습도가 높은 창고에서 보관된 차들이 많다. 이런 차의 특징은 맛에서 걸죽하면서도 풍부한 맛이 특징이다. 이런 맛은 공통적으로 노차를 마셔본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맛이다.

 

상대적으로 건조한 지역에 보관한 차라면, 이런 맛보다는 조금 깔끔한 맛이 나올 것이다. 보이차를 마시는 취향의 문제이지만, 익은 차를 좋하는 사람들에게는 환영받을 차일 것이다.

 

보이차 마니아의 새해 첫날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궁정산차와 90년대 8582

 

차를 마실 때 두 가지 차를 섞어서 마시는 경우는 잘 없는 편이다. 그런데 보이차의 메니아 중에는 단품으로 마시기엔 조금 부족한 차를 보완하기 위해서 두가지를 섞어서 자신이 원하는 차 맛을 즐길 때가 있다.

그런 맛을 잘 내는 명가원 김경우 대표의 방법을 한가지 공개한다. 그래서 일요일 오전에 이번에는 새로운 시도를 해보았다. 20년 정도 된 궁정산차에 찻잎이 크고 강한 맛의 생차를 섞어보았다.

 

90년대 초반의 8582는 큰 찻잎으로 거칠고 강한 맛인데, 궁정산차를 섞어 마실 때에는 바디감이 느껴지고 맛이 고르게 나오게 된다. 궁정산차의 중간 평원같은 맛에 처음과 끝을 잡아주는 거칠고 강한 8582가 합쳐지면 단품으로는 부족한 것을 아주 매력적인 풍부한 맛으로 바꾸어 얻을 수 있다.

 

보이차 섞어 마시는 맛(석우미디어 동영상)

 

이 방법은 명가원 김 경우 대표가 자주 이용하는 편인데 독자에게도 그 방법을 알리고자 간단하게 동영상을 담았다. 실제 마셔보면 훨씬 재미있는 맛을 얻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보이차 섞어 마시는 다른 기사

2015/02/15 - 다미향담(155) 73청병과 97년 7542를 함께 즐기다

2015/02/02 - 다미향담(152) 황인 숙차와 1990년대 맹고의 조합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70년대 보이산차

 

일요일에 약속은 하지 않지만 모이는 사람이 있다.

한 명이 올때도 있지만 지난 일요일 같이 또 다른 메니아의 부부가 자리에 함께 할때도 있다. 명가원 김경우 대표가 내어주는 차는 늘 다양하게 맛을 볼 수 있게 한다. 필자가 갔을 때는 주인과 k대표 남매가 90년대 7542를 마시고 있었다. 이런 차를 마실 때는 역시 보이차가 좋아라는 마음속 말을 하게 된다.

 

몇잔 마시고 있을 때 손님이 왓다. G씨다 늘 휴일에 만나는 멤버다. 또 한 분이 문을 열고 왔다. k씨다 그렇게 해서 기본으로 모이는 세사람에 k대표 남매와 주인 합해서 6명이다.

 

이때 k대표가 흰 편지 봉투에 담아온 차를 내어 보이면서 70년대 산차인데 집에서 자주 마시는 차라고 하면서 같이 마셔보자고 한다. 건차를 봤을 때 최근 유행하며 나오는 목질화된 80년대 산차나 70년대 산차라고 나오는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외형에서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지만 70년대의 산차가 분명하다는 점은 알 수 있었다.

 

손님이 가져온 70년대 보이산차를 우리면서

 

주인 김경우 대표는 자사호에 차를 넣고 물을 붓는 순간 이 차 오랜만에 올라오는 향이 참 좋습니다한다. 세차를 하고 나누어 마시는데 좌중 모두가 같은 말이다. 산차에서 이런 맛을 보는 것도 귀한 일이고 또 이만한 차를 만나기도 힘들다. 아니 요즘 같아선 만나뵙기도 힘들다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이렇게 모여서 한 번씩 자기가 가져온 차를 음미하는 것이 최근 새로운 재미가 솔솔 붙었다.

 

지난번에는 G씨가 홍콩에서 선물 받은 90년대 녹인타차를 가지고 왔는데 요즘 볼 수 없는 재미난 맛과 더불어 향후 더 맛이 좋아지겠다는 중론을 얻게 되었다. 이제 찾아간 차 전문점에서 마시는 차와 가끔 손님끼리 가져와서 마시는 차 맛이 더해져서 찻자리에 새로운 재미가 늘었다.

 

요즘은 좋은 차를 한 잔 하기도 어렵지만

좋은 차를 가지고 있어도 선뜻 누구와 마실 수 없다는 것이 아쉬워 진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보이차 73청병

 

73청병은 오늘날 인급 호급차를 제외하면 보이차 매니아에게는 아주 고급차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가격 또한 인기만큼 높다. 그런데 이 차의 출생을 두고 여러 말이 분분하다. 73청병이라는 이름을 두고 연대에 대한 의문을 가진 이들이 여러모로 말이 만들어지는 가운데 현재 일부에서는 80년대차라고 하는 추측과 확신이 어우러진 상태이다. 여기에 김 경우 씨는 정식으로 반박하는 입장이다. 이 부분에서 필자가 김경우 씨의 논거에 보편적인 동의를 하고 실제 제작 연도에 대해서는 진실에 근접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김경우씨가 정리한 자료를 석우연담에 올린다. - <석우>

 

보이차 73청병

 

73청병은 홍콩 의안차창 창고에서 나온 차이며 대만 옥호헌(玉壺軒)에서 통째로 매입하여 유통한 차이다. 옥호헌에서 수입한 차는 7542(501)이라고 한다. 다음은 옥호헌 대표 황슬금(黃瑟琴, 72)씨의 구술 내용이다. “1973년 가계 오픈 후 처음에는 자사호를 수입하여 싱가포르, 태국 등지를 역 수출하는 영업을 하였다. 자사호 때문에 중국 의흥을 가기위해 늘 홍콩을 경유하였다. 1980년을 전후하여 홍콩을 드나들 때 당시 대만은 오룡차의 소비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후 발효차인 보이차가 어느 날 눈에 들어왔다.

 

당시는 오래된 호급이나 인급의 보이차가 창고에서 나오기 전이였기 때문에 홍콩에서는 주로 10년 전후의 세월이 지나 약간의 발효가 진행된 생차 내지는 숙차의 소비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래서 1980년 무렵부터 조금씩 가져다가 판매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 후 1980년대 중반 무렵 어느 날 의안차장에 있는 7542(501)가 눈에 들어왔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돈과 친구에게 빌린 돈을 합쳐 2000천만원(대만돈)을 투자하여 7542(501)을 수입하였다고 한다. 수입할 당시 자료가 부족하여 홍콩에서도 정확한 연도는 몰라 본인 생각과 홍콩 의안차창에서의 말을 종합하여 70년대 초반차라는 결론을 내리고 단순한 생각에서 생차 계통이니 73청병으로 명명하였다고 한다.

 

현재 시중에서는 73청병의 생산 연대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다. 한 때 73청병이 싸여진 바닥에 신문지가 있었는데 신문지의 날짜가 민국 73(서기 연도로는 플러스 11년을 하면 됨)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서기 1984년 생산 된 차로 언급되면서 인터넷이나 단행본에서 1984년 생산된 차로 사실로 기정사실화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엄연히 왜곡된 정보이다. 황슬금씨의 구술에 의하면 신문지와 민국 73년이란 말은 어디서부터 생겼는지 알 순 없으나 이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라고 한다.

 

73청병은 대만 옥호헌에서 홍콩의 의안차창에서 나온 차를 수입하였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부산의 녹백다장에서 수입하였다. 녹백다장 최윤석 대표의 구술에 의하면 “73청병을 수입하기 위해 통표를 살펴보니 7542(503)으로 표기되어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수입된 73청병은 7542(503)이며 최윤석 대표는 73청병의 발음을 부드럽게 하기위해 073청병(공칠삼청병) 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직도 영남지역에서는 73청병을 073청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73청병을 1975년에 만든 차로 추정하는 이유로는 황슬금 대표와 최윤석 대표의 구술 내용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이 몇 가지 근거에 의해서이다.

 

내비에 표기된 글씨가 이를 뒷받침한다. 맹해차창에서 생산 된 차의 내비에는 서쌍판납태족자치주 맹해차창출품(西双版納傣族自治州 勐海茶廠出品)이라고 표기되어져 있다. 여기에서 출()자의 위쪽의 산()자가 아래쪽의 산()자 보다 좁아 뾰족하다. 이런 출자를 우리는 첨출(尖出)이라고 한다. 첨출 내비는 1970년대 생산된 차에서만 보이는 특징이 있다. 위쪽의 산()자와 아래쪽의 산()자의 넓이가 같은 것을 평출(平出)이라고 하며 평출내비는 1980년대 이후 생산된 차에서 나타난다.

 

종이질감이 1970년대에 사용된 격문지(格紋紙)이기 때문이다. 1980년대에는 격문지로 포장한 보이차의 종류가 없다.

포장지 중앙의 녹색 차()자의 인쇄 방법이 도장으로 직접 찍은 수인이다. 이렇게 직접 자를 수인으로 찍는 방법은 1980년대 차에선 볼 수 없고 오로지 1970년대에 생산된 차에서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73청병을 1986~1987년 무렵에 수입하였다. 당시 보이차는 10년 정도 발효된 차의 소비가 주류를 이루었고 황슬금 대표 역시 이런 종류의 차를 선택하였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1975년에 생산 된 7542(501)인 것이다. 하지만 큰돈을 투자하면서 1984년에 만든 차라면 만든 지 2~3년 밖에 안 된 차를 10년 이상 된 차와 구분하지 못하여 수입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몇 가지 사실들을 근거로 73청병의 생산 연대는 1975년으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 7542로서는 최초로 생산된 차에 속하며 1975년 이후 7542는 계속해서 생산 되었을 것이다.

73청병은 홍콩의 의안차창 창고에서 나온 차로서 다른 차에 비해 높은 습도에서 보관된 차이다. 그러다보니 차에 따라 습기에 노출된 편차가 큰 차이다. 의안차장의 보관창고는 홍콩에서도 대표적으로 습도가 높은 창고에 속한다. 그래서인지 보관이 양호한 차와 습기에 노출된 차의 편차가 크고 바닥에 눌러져 있든 차는 매변이 심하게 발생한 차도 있다. -<끝>

 

1970~1980년대 생산 된 차들 대부분은 홍콩 보관창고에서 입창이 된 차들이다. 다만 입창의 정도에 따라 습기에 노출 된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73청병은 대표적으로 입창이 강하게 된 차이다. 그래서 인지 습기에 노출된 차들이 많고 병면이 깨끗한 차들은 드물다. 습기에 노출됐더라도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충분하게 거풍이 된 차는 농익은 맛으로 마시기에 편안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는 보관이 양호하고 병면이 깨끗한 차만 건창차로 인정되며 높은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시장 질서이다. 체질에 따라서 마셔야 될 차가 다르고 선호하는 차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좋다는 정답은 없기 때문이다.

 

2015년 1월 10일 황슬금 대표와 김경우 대표

 

현재 보이차가 역 수출 되는 시점에서 가격 형성으로 본다면 73청병은 대표적으로 1970년대에 생산된 차가 분명하지만 잘못된 정보로 인해 저평가된 차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현재 보이차 시장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 중국 유통상인들의 이해 부족과 73청병을 마셔보지 못해 객관적으로 품질대비 가격을 평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직접 마셔 본다면 동일한 연대에 생산 된 다른 종류의 차 보다 맛이 절대 뒤떨어지진 않고 오히려 훌륭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잘못된 정보에 따라 품질대비 가격 평가를 제대로 못하는 현실 속에서 다른 종류의 차에 비해 평가 절하된 안타까운 차이다.

 

73청병의 병면 외형 찻잎을 살펴보면 1980년대에 생산된 7542 계열의 차보다 찻잎의 크기가 작다. 오히려 7532 계열의 차에 가까울 정도이다. 이러한 이유는 숫자급 보이차의 병배방식을 1974년부터 만들어 적용하였지만 생산 초창기이다 보니 기술적으로 완성이 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차의 무게와 찻잎의 크기가 7542라고 보기에는 작아 보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러한 현상은 1970년대 생산 된 7432, 7452, 7542, 7572, 7582 등등에서 대부분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이며 찻잎의 크기에서 큰 차이점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하다.

 

생산 10년을 전후하여 홍콩으로 들어 온 차[보이 생차, 숙차]들은 위 말처럼 당시 대만의 주요 차류로 인정받고 시장에서 판매가 되었던 것이며 그 중에서 80년 중반의 시기에 들어와 있던 7542(501)가 연도를 따져 73청병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니 지금 시중에 퍼져 있는 80년대 차라는 인식은 충분히 잠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위의 옥호헌 대표의 구술 내용처럼 직접적인 판매상의 증언이 있는 기록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김경우 씨의 보이차 관련 지난 기사

2015/03/25 - [인터뷰] 골동 보이차 유통의 전문가 김경우

2015/02/15 - 다미향담(155) 73청병과 97년 7542를 함께 즐기다

2015/02/02 - 다미향담(152) 황인 숙차와 1990년대 맹고의 조합

2014/02/20 - 대익보이차 영웅준마 런칭

2014/01/18 - 중국 대익보이차 서울 여의도점 오픈

2010/09/17 - 다미향담(2) 맛으로 승부하는 차

2010/08/09 - 말복에 마신 보이차와 오동단총

2010/04/15 - 혜산초당에서 만난 김경우 대표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