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경호 보이차

 

2016년은 유난히 차회가 많은 해였다. 20171월부터 좀 특이한 차회에 초대 받은 일을 소개하려고 한다. 보통 보이차를 전문적으로 마시는 차회라 하면 10, 20, 30, 40년 단위로 나누거나 90년대 보이차 80년대 보이차 등으로 나눈다.

 

여기서 80년대 보이차를 잘 마시려고 하면 회비를 5만원에서 10만원을 내고 마시는 자리다. 그러고 그런 자리에서는 보이차를 3가지 마셨다면 하나 정도는 다른 차를 마시는게 상례다. 그런데 2017123일 홍은숙 선생은 김포에 있는 아파트에서 차회를 한다고 했다. 전문 영업점은 아닌데, 차회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일요일에 방문했다.

 

허동창 대표, 주인 홍은숙, 최경순 화가

 

문을 열고 들어서니 전주에서 최경순 화가가 먼저 오셨다. 최경순 화가는 2016년 무이산여행도 함께 했던 분이고 예술적인 성향이 짖은 분으로 만날 때 마다 만나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희망을 안겨주는 분이다. 오전 10시에 만나서 점심 전까지 고수차로 만든 생차만 4가지를 마셨다. 처음 마신 차는 2010년 의방차, 망지, 1999년 천가채, 2010년 노반장 순서로 마셨다.

 

서경호 개완으로 차를 낸다

 

2010년 의방차는 사실 쉽게 마실 수 있는 차가 아닌데도 이 집에서 처음부터 마시게 되었다. 그 맛과 향이 참 고급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망지차도 마찬가지다. 다음으로 2009년 천가채와 노반장을 마셨다. 지역적인 특징이 뚜렷하기에 맛과 향에서 고차수 만의 기운을 더욱 세세하게 느낄 수 있었다.

 

점심을 집에서 먹고 좀 휴식을 취하면서 차실을 보니 방문의 문짝을 떼어내고 오직 차실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게 만든 것으로 매우 서구적이면서 포근한 입식 찻자리다. 1시간 정도 쉬고 나서 다시 찻자리에 앉았는데, 2010년 맹고를 만났을 때, 맹고 특유의 강한 맛이 7년이란 세월의 변화를 느낄 수 있을 만큼 좋았었다.

   

한쪽 벽에 세운 보이차

 

이 맹고차는 2010년 당시에 고차수로 만들었기 때문에 차기의 보존이 아직 성성했다. 이후 노반장이 황제라면 황후차경매(징마이)’라고 하는데, 이 차를 2003, 2005년차를 각각 마셨다. 차회를 하면서 보이생차로 7가지, 즉 고수차로 잘 만든 여섯 지역의 차를 일곱 종류로 마셨는데도 속이 편안한 것을 보면서 매우 신기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잘 만든 차에서 느낄 수 있는 현장 체험을 아주 강하게 한 셈이다. 보이차, 특히 생차로 7종을 이어서 하루에 소화하기에는 많은 용기가 뒤따른다.

 

그러나 차회에서 접한 7종의 차들은 각기 그 품성을 뚜렷이 드러내면서도 진짜 차의 품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고 할 만큼 사람을 거스르지 않았다. 각기 차의 특성을 잘 나타내었으며 그 차 하나 하나마다 최상의 구감으로 다가왔으니 신년에 매우 특이한 경험을 한 차회로 뚜렷이 기억될 것 같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티쿱 보이차 전시장

 

624일부터 8월 14일까지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에서 보이차, 흑차 특별전이 열린다. 전시품은 150여 점의 보이차와 흑차류인데, 보이차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서 볼 수 있게 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생산된 보이생차는 6대 차산에서 변경차구, 북부차구 등으로 산지를 구분하고, 제작 시기별, 대표성 있는 차들을 모아 한자리에서 볼 수 있게 하였다.

 

1990년 전후 보이차

전시장 내부

 

보이차에 관심 있는 분들이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차의 실물과 사진으로 만든 연대기도 볼 수 있다. 생차와 숙차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보이차를 시음할 수도 있게 했다.

70년대 보이차

 

특히, 보이차 전시는 부산이나 울산에서 마니아가 주축이 되어 전시를 해 왔지만, 서울에서 기업 차원에서 하는 전시는 쉽게 만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차와 흑차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행사로 평가받을 수 있다. 전시장에서 서해진 본부장을 만나서 재미있게 설명을 듣게 되었다.

티쿱은 보이차 전문 유통업체인 지유명차에서 만든 한국차문화협동조합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오운산고차 부스

 

석가명차(대표 최해철)는 보이차 브랜드 오운산고차신제품인 진, , 미로 상해 차 박람회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015년 운남성 곤명에서 런칭한 이후 지속적으로 중국 차 박람회에 참가해온 결과이다. 참관하는 박람회 마다 손님들에게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을 접해왔는데, 2016519일 상해 차 박람회장에 취재차 들렀다가 오운산고차를 보게 되었다.

 

2016년 신제품

 

중국 차박람회에서 "한국인이 만든 보이차"라는 문구를 넣어 장식한 전시부스는 깨끗하고 신선한 이미지를 주고 있다. 그것은 오운산고차의 진중한 맛과 조화를 이루며 중국내에서의 이미지 부각은 아주 잘 된 것으로 보였다.

 

오운산고차부스

 

부스 입구에는 2016년도 신차가 진열되었다. 포장지도 새롭게 디자인 되었다. 순백색에서 미색으로 올해부터는 진, , 미로 구분하여 병배차를 위주로 생산하였다. 제품을 단순하면서도 세분화 되었으며, 숙차도 한 품종 추가되었다.

 

상해박람회장 풍경(동영상)

 

병배차로서의 진, , 미는 종류별로 생산 노하우를 가지고 만들어야 되기에 좋은 차를 만들 수 있는 재료와 기술이 담보된 생산능력이 오늘과 같은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다. 올해는 오운산고차가 중국 차 시장에서의 대리점 확보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오운산고차를 개완으로 마시는 법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 마시는 모습

 

요즘의 차회는 이전의 차회와 달라 그 운용과 모임이 여간 다채로운 것이 아니다. 특히 중장년층의 모임에는 술은 가까이 하지 않고 차를 중심으로 모이는 모임이 많다.

 

카톡으로 받은 글귀에 오늘 차회 하는데 오실 수 있나요?” 라는 글이 보이면 이미 선약이 있을 때는 할 수 없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그렇게 반가울 수 없다.

 

소녹인

 

3월 23일 k회사 대표로부터 저녁에 안국동차관에서 차마시는데 시간이 되는가 하고 묻는 문자다. 마침 시간이 있고 가까운데 있을 때라서 함께 자리를 하게 되었다. 이번에 만난 차 이야기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만나기 일주일 전, 정진단 대표가 k회사에서 88청병을 가지고 오셨는데 그 모임의 일원이 한 번 마셔보고 갔다고 하면서 다시 한 번 필자와 함께 기록할 수 있을때 가져와서 같이 마시자고 한 일이 있었다. 카톡으로 연락받은 직감에 그 차를 이번에 마시게 될 것이라는 것을 짐작하고 차관으로 가게 되었다.

 

중년 남자들의 차모임(동영상)

 

모두 저녁 식사 후에 모인 것 같다. 다섯 분이 모였다. 마시는 차는 80년대와 90년대 차다. 먼저 차관에서 소장한 노오룡차를 마시고 8582, 73청병, 소황인을 마셨다. 소황인은 마지막까지 신 맛이 베어나오면서 노차 특유의 깊고 풍부한 맛을 내었다.

 

보이차 8582

 

기업체 임원들이 보이차 마시는 일을 오늘 이렇게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중년 남자들의 취미 가운데 차를 마시는데 서로 어울려서 함께 할 수 있는 회사 분위기가 무척 좋아 보였기 때문이다.

그 중 한 분은 오늘 마신 차와는 조금 연대가 빠른 맹고를 많이 소장하고 있다는 말과 그 차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는 결국 차의 가치 기준을 맛이냐 미래의 환급가치냐에 등 차로 어울리는 모임임이 확실히 드러났다.

 

보이차 8582

 

그 중 한 분은 예리한 선방투자로 소장한 차에 대한 가치를 주변에서 현실적으로 확인하게 되면서 그런 방향에 대한 이야기꽃도 함박 피어났다. 직업 정신과 맥을 같이 하며, 회사의 동료, 직원들과 함께 하는 허심탄회한 시간. 그것이 차 마시는 시간이라면 회사생활이 정말 기운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필자도 한 수 알게 되는 시간,

함께 나눈 차 이야기가 재미있는 시간이었다.

 

중년 남성의 차회 지난 기사

2016/03/08 - 다미향담(205) 중년 남자들의 차회에서 만난 차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중년 남자들의 차회에서 보이차를 마시는 자리

 

229K사의 김해준 대표 일행으로부터, ‘저녁에 안국동차관에서 차회를 하는데 함께하자는 연락이 왔다. 마침 시간이 되어서 만나게 되었다. 필자가 조금 늦게 도착했는데, 첫 번째 차로 2015년 노총수선을 마시고 있었다. 팽주 역할은 정진단 대표가 했는데, 보이차는 손님들이 가지고 왔다고 했다. 이런 방식의 차회는 서울에서는 안국동차관이 유일하지 않을까 싶다.

소녹인

소황인

노총수선 다음으로 두 번째 차는 70년대 녹인을 마셨다. 그런데 차를 넣어 온 보관통을 보니, 통마다 한자로 된 글씨가 있었다. 김해준 대표가 붓으로 직접 쓴 글씨라고 한다. 매일 금강경을 사경하면서 익힌 솜씨라고 하는데, 보이차에 대한 내공 뿐 아니라 마음공부에 있어서도 한 차원 다른 면을 볼 수 있었다.

노오룡차의 향기

석우미디어(동영상)

 

세 번째 차는 차관에서 준비한 노오룡차인데, 어찌나 맛이 좋았든지 김해준 대표는 보이차로 치면 홍인급이라고 칭찬했다. 과거 인급이나 호급 보이차를 자주 마셔본 사람들만이 표현할 수 있는 말이다. 참석자의 공통적인 표현으로는, ‘이런 게 바로 노오룡이다라는 거다. 정말 참맛을 경험하게 해준 차다.

 

중년 남자들의 찻자리

 

그 다음 차는 무지 70년대 후반의 차였고, 마지막으로 마신 차는 소황인 70년대 차다. 제법 큰 호를 사용하게 되면서 차까지 많이 넣고 마시다 보니 소황인을 진하게 마시게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s88보이차

 

지난주 일요일이다. 명가원에서 가끔 만나게 되는 차꾼들이 그날은 4명이 같이 모였다. 이번에는 K사의 김해준 대표님도 자리를 같이 하게 되었다. 김해준 대표는 보이차 마니아로 잘 알려진 분이다. 새해 들어서 처음 찻자리를 같이 하게 되었다.

 

김경우 대표도 70년대 산차를 마시다가 내일이면 팔려 나갈 차라며, 1988년 홍콩 창고에서 입고된 속칭 s88이라고 하는 보이차를 내었다. 팔고나면 만나기 어려운 차라며, 봉투 안에서 조금 틀어서 마시는 모습도 참 오랜만에 본 것 같다. 그만큼 귀한 차라는 의미이다.

 

S88보이차를 털어 내는 모습 석우미디어(동영상)

 

세월 만큼 잘 익었지만 강한 고삽미가 나거나 두터운 맛은 아니다. 대신 아주 깨끗하고 깔끔한 맛이다. 이런 차는 노차를 많이 마셔본 사람들끼리 즐기는 매니아들이 가지고 노는 차다. 그래서인지 다섯 사람이 모두 맛이 깨끗하고 깔끔하다는 공통적인 말을 한다. 다 같이 느끼는 맛이다. 필자로서도 80년대 후반에 만든 차로서 이런 류의 맛을 만난 것은 드문경우다.

 

이렇게 보이차를 두 가지 마신 후에 한 분이 무이암차 이야기를 내면서 자연스럽게 대홍포를 거론하다가 주인은 2층에 있는 주석 통에 담겨진 대홍포를 가져왔다. 이 대홍포는 무이성공사 제품으로 북경 조우대에서 국빈용으로 들어가는 차라고 한다. 지난번에도 몇차례 마셨는데, 그 날 창문 너머 도로변에 눈이 내리고 있어서인지 겨울에 마시는 무이암차 특유의 기운이 감도는 기분으로 차를 마시게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서울에서 마지막 눈이라고 하는 날

이런 날씨에 보이차 매니아는 약속을 하고 모인다

안국동차관 눈리는 날 풍경(석우미디어 동영상)

 

안국동차관의 눈내리는 풍경은 서울 시내에서 만나기 어려운 훈훈함 보여준다. 그래서 이런날 차 한 잔 마시자는 약속으로 만나는 모임이 있다고 하니, 이젠 노백차와 보이차 매니아들이 늘어나는 것 같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정화다원에서 향회를 하는 모습

정화다원은 개업한지 이제 3년째가 된다. 필자가 처음 찾아갔을 때만 해도 보이차 전문점으로서의 찻집 형태였다. 한 달에 한 번 하는 차회가 이제 36회가 되었다 하니 부산에서는 중국차 전문 차관으로서의 차회가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 차실로 만든 다다미 방에서 향과 차가 함께하는 공간

2016년부터는 그동안 부부가 함께 향도 공부를 해온 것을 바탕으로 정식으로 향회를 차와 같이 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 자리에 참석하여 본 이야기를 담아 본다.

향회를 시작하기 전에 영객향을 피우고 차 한 잔 마시는 모습

품향회를 하기 전에 영객향으로 도코노마에서 향을 피웠고, 7시에 참석자는 향실에 입실하자 향실의 온화한 분위기에서 은근하게 나오는 향기는 참석자들에게 새로운 신비로움을 주는 듯 했다. 정화다원 송정화 대표는 향을, 남편 김성탁 씨는 차를 내기 위한 자리를 준비하고 인사를 하였다. 먼저 2015년에 운남성 차 산지에서 가장 고가에 거래되었다고 하는 고차수 빙도를 우려내었다. 보이생차가 주는 화사한 향기로움을 먼저 취하고 향회를 시작하였다.

부산 정화다원, 향회를 시작하는 모습

송정화 대표는 오늘의 향회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가루향 보다는 침향을 직접 칼로 잘라서 피우는 방식을 하겠다고 하면서 하나하나 순서에 맞게 동작을 이어나가는 동안 참석자는 시선이 집중되고 고요한 적막감이 도는 분위기에서 격화훈향법으로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향을 맞는 모습들이 그동안 차의 세계에서만 보는 풍경과는 확연하게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품향회를 마치고 향실에서 나와 찻자리에 앉았는데 처음 나온 음식은 차를 마시기 전에 약간의 요기를 겸한 음식으로 호박죽과 떡을 먹고 희망자에 한해서 술도 한 잔 하는 분위기에 차를 마시는 시간이다.

향자리를 마치고 찻자리에서 보이차를 마심

 

이제 향문화가 차 문화 속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그대로 확인하게 되었다.

처음 마신 차는 20년 전에 구입했다고 하는 보이차와 강성전차, 그리고 또 한 종류의 보이차를 마셨다. 이곳에서 마시는 보이차는 주인이 20년 전에 구입한 차들이 다양하게 있어서 보이차를 마시는 분들에게는 좋은 조건에서 차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정화다원의 차회가 주는 장점이 될 것이다.

 

차와 향, 그 두 가지를 하나로 아우러 내는 것이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그런 자리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정식으로 배운 향도로서의 시연과 지금껏 일구어 온 차회의 융합은 이 집에서만은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차향과 어우러지는 훈향의 멋을 즐기는 이들 그리고 그로 인해 즐거운 이들의 자리와 분이기를 멋지게 연출하기에 정화다원은 명소가 되어가고 있음을 느꼈다.

 

정화다원 지난 기사

2015/08/09 - 다미향담(183) 적조암 회원들과 함께한 차회

2014/12/28 - 다미향담(135) 보이차 마시는 찻집

2013/04/16 - 다미향담(59) 정화당, 정화다원(찻집)이 문을 열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