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80년대 대엽청병

 

지난 일요일 약속은 하지 않았지만 만날 수 있는 시간에 방문하니까 주인과 같이 세 분이 차를 마시고 있었다. 그리고 조금 있으니 주인과 미리 약속을 하고 오신 두 분과 함께 여섯 사람이 한 자리에서 만났다. 필자는 늘 그런 자리가 새로운 맛을 탐구하는 기회가 되어서 즐거울 뿐이다. 이 날은 필자로서는 처음 접하게 된 80년대 대엽청병이라고 하는 차를 마시게 되었다

 

대엽 청병을 마실 때 공통적으로 첫 잔을 마시면서 장향 맛이 좋다고 한다.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없이 이런게 장향이다. 요즘 참 만나기 어려운 차라고 하면서 장향이 잘 나온다는 말들이 그냥 연거푸 나오면서 뜨거운 차인데도 찻잔은 빨리 비워진다. 그 차가 60, 70년대 차가 아니라 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입으로 볼 수 있는 차라고 한다.

 

필자가 이 차에 주목하게 된 점은 외형이 건강해 보였다. 굉장히 주관적인 말이지만 노차를 자주 접한 사람들은 이해 할 수 있는 말이다. 입안에서 장향과 쓴맛이 조금 어우러져 맛의 골격이 단단해 보인 차로서 발효가 잘 된, 앞으로도 진화된 맛을 보여줄 수 있는 차다.

좋은 차에서 공통적으로 느낄 수 있는 화사하고 옹골찬 맛으로 결집시켜준 그 맛이 좋았다.

 

노차를 마셔본 분들이 병차를 털어내어 마시는 모습

 

명가원 김경우 대표는 차의 가장 자리를 한 번 마실 수 있는 만큼 털어내는 손 놀림이 재미있어 순간 동영상을 담아 보았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오운산고차수

 

울산의 차인 여상구 씨가 113일 대단한 전시를 기획한다는 소식을 직접 만나서 알게 되었다. 그동안 여상구 씨의 보이차 일지를 접하면서 특이한 차인으로만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보이차 300편(필자 주, 300종류에 가깝다)종류를 전시한다는 것은 일대 사건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하는 생각이 있지만 그동안 차에 따른 회사별 년도별 등등으로 구분하여 10년차 차라도 5년전, 3년전의 차 일지를 공개한 것을 보면서 이번 전시가 우리 보이차 매니아에게 신선한 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한 자리에 각각의 차품과 그 품평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은 보통의 준비가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아마도 지금 이런 전시는 앞으로 다시 없을 수도 있는 진실로 매니아적인 산물인 것이다. 각기 같은 연도의 차라도 봄, 여름, 가을차가 있으며 그것의 생김새부터 그 품차된 내용까지 볼 수 있는 기회는 아마도 매우 드믈 것이라 생각된다.

 

울산보이차 전시회 기획자 여상구 씨, 전시회를 여는 목적을 육성으로 듣기(석우미디 동영상)

 

보이차 전시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보이차의 대중화를 위한 최초의 개방형 전시

2. 제품마다 설명서가 붙어 있는 OPEN형 전시

3. 현실성 있는 가격을 제시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Win-Win

4. 년도별, 차창별, 구분하여 전시 일반인도 쉽게 접근

5. 새로운 판매방식으로 가격에 대한 신뢰 향상

 

<가격결정 방법 : 블라인드옥션가격제>

보이차, 자사호, 다화 소장가가 원하는 가격을 미리 제출하고 전시중 구매자가 원가는 가격을 밀봉하여 가격카드에 제출하여 전시회 중 매일 5시부터 50개씩 OPEN하여, 가격폭을 가장 높게 제출한 자와 판매자의 마지막 조율1회를 통해 거래를 원칙으로 함.(단 공개방식)

 

일시 : 20151123~ 29(오전 10~ 오후 6)

장소 : 세민S갤러리 7(울산시 중구 반구동 777-5 세민S병원)

전시내용 :

보이차 300(년도별, 차창별, 교목, 대수차, 고차수 등)

자사호 20(주니, 자니, 녹니, 흑니등 작가별)

다화 20

 

판매방식 (블라인드옥션판매방식)

- 1126~28(보이차 70, 자사호 6, 다화 6)

판매수익의 일부는 울산 중구 독거노인돕기에 기부

이벤트 행사

개막식(23) 보이차 관련 동영상 상영(11, 15)

특강1 (25) 서쌍판납 12차산의 고차수 현황(11, 15)

특강2 (28) 보이차와 현대인의 건강 (15)

 

여상구 씨 관련 다른 기사

2015/03/06 - 다미향담(158) 두기차창 노반장과 2003년 복원창호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육안차 광주리 

 

필자가 육보차에 대해서는 보이차 만큼이나 좋아한 적이 있다. 이제는 좋은 육보차를 만나지 못해서 그러한 감동은 없지만 그래도 지난날의 좋은 맛을 내어 주는 육보차를 만나고 싶었다. 하지만 그 좋은 맛을 내어준 차가 육보차가 아니라 운남 이무차로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부터는 육보차 광주리에 든 차가 육보차가 아니라 보이차 60년대 차를 마신 것이었다.

 

그런 진실을 알고 난 이후에는 오래된 육보차의 광주리를 보면서 외형과 맛을 확인하는 습관이 들었다. 그런 시점에 또 비슷한 차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분명이 육안차인데 그 내용물은 육안차가 아닌 보이찻잎이다. 원래 육안차는 안휘성 차로서 소엽종인데 대엽종으로 만들었다. 그렇지만 맛은 90년 만든 차의 공통적인 맛인데 입창한 흔적이 보이는 차다.

 

육안차 내비

 

과거 같으면 이 차는 가짜다라고 할 것인데, 이제는 엄연히 육안차 광주리인데도 보이차가 들어 있으니 보이차라고 생각하고 마신다. 이날도 모 가게에서 서로가 알고 마시는 차인데 간만에 90년대 중반의 잘 익은 차 맛을 음미하고 온 시간이었다. 이런 것을 현실에서 보고 웃어넘기면서도 과거 차 제조 현실을 이해하며 즐기게 된다. 입창한 차인데 그 시대 대부분의 차들이 이런 맛으로 만나게 된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보이차, 주차를 시음하기 위해

 

안국동차관에서의 첫 번째 차회에 시음하게 될 보이차, 형태는 주차로서 대바구니는 벗겨진 상태다. 부위별로 맛이 다름을 알고 있기에 차회 공지를 올려놓고는 내심 이 차 맛을 다시 보고 싶었다. 오전 이른 시간인데 벌써 손님이, 민경혜 선생님이다.

 

만든지 20년이 지난 보이주차를 시음하게 되었다. 첫 번째는 항아리에 담겨진 차를 꺼내어 마셨는데 강한 맛이 아직 살아있었다. 그래서 다른 부위의 맛을 보기 위해 정진단 원장은 칼로 뜯어내는 작업을 했다. 작업이라고 할 만큼 쉽지 않았다. 두 번째 차 맛은 강한 맛은 살아있지만 농익은 맛도 함께 나온다. 조금은 젊은 맛이다. 탕색은 선홍 빛이다.

 

보이차에서 주차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이 차는 원래 1미터가 넘는 차로서 큰 덩치가 주는 호기심 만큼의 맛을 기대하게 되는데, 차회에서 마시게 될 부위가 궁금했다. 저녁 시간 쯤에서 또 다른 부위를 마시게 되었지만 1년전 이루향서원에서 마셨던 그 맛과는 다르다. 부위별로 다르다지만 그 다름을 어떻게 구분해 낼까 아직 주인장도 잘 모르는 것 같다. 어쩌면 그래서 더 기다져지기도 하고 그런 맛에 또 취하게도 한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아사가차관에서 김이정 대표

 

지난 49일 아사가 차회 시작은 7. 차회가 시작되기 전 일찍 자리한 필자는 강선생과 같이 아사가 소장품 보이차와 차도구 촬영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비닐로 포장된 보이차를 촬영하려 하니 이 비닐이 없어야 정확한 사진이 될 수 있기에 김이정 대표에게 겉포장을 뜯어 달라고 했다.

 

사실 소장가 입장에서는 다시 포장하는데 쉽지 않기에 그대로 두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겠지만 필자의 입장에서는 비닐포장의 보이차를 촬영한다는 것보다는 그것을 걷어내고 내용물 실체를 보다 정확히 남기는 것이 책을 만드는 입장에서 양보할 수 없기에 고집을 부리게 되었다.

 

흔쾌한 허락과 본인 손에서 투명한 껍질을 벗어버린 실체는 사진으로 찍기에도 너무 고왔다. 그런데 비닐을 벗기고 손에 들고 있는 김이정 대표의 환한 미소와 함께 피어오른 얼굴. 그 순간의 모습은 천상 차꾼이 틀림없는 환한 미소였다.

 

진실로 차의 본 모습을 보고 미소 짓는 표정이 너무나 아름다움은 차 때문일까 아니면 그 차가 가지고 있는 여럿의 즐거움과 행복 때문일까?

 

세월지나 어여쁜 차는 진실로 여럿의 입가에 미소가 돌게하고

보는 것만으로도 흐믓한 마음이 들게하는 보배가 아닐까 한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보이차 73청병

 

73청병은 오늘날 인급 호급차를 제외하면 보이차 매니아에게는 아주 고급차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가격 또한 인기만큼 높다. 그런데 이 차의 출생을 두고 여러 말이 분분하다. 73청병이라는 이름을 두고 연대에 대한 의문을 가진 이들이 여러모로 말이 만들어지는 가운데 현재 일부에서는 80년대차라고 하는 추측과 확신이 어우러진 상태이다. 여기에 김 경우 씨는 정식으로 반박하는 입장이다. 이 부분에서 필자가 김경우 씨의 논거에 보편적인 동의를 하고 실제 제작 연도에 대해서는 진실에 근접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김경우씨가 정리한 자료를 석우연담에 올린다. - <석우>

 

보이차 73청병

 

73청병은 홍콩 의안차창 창고에서 나온 차이며 대만 옥호헌(玉壺軒)에서 통째로 매입하여 유통한 차이다. 옥호헌에서 수입한 차는 7542(501)이라고 한다. 다음은 옥호헌 대표 황슬금(黃瑟琴, 72)씨의 구술 내용이다. “1973년 가계 오픈 후 처음에는 자사호를 수입하여 싱가포르, 태국 등지를 역 수출하는 영업을 하였다. 자사호 때문에 중국 의흥을 가기위해 늘 홍콩을 경유하였다. 1980년을 전후하여 홍콩을 드나들 때 당시 대만은 오룡차의 소비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후 발효차인 보이차가 어느 날 눈에 들어왔다.

 

당시는 오래된 호급이나 인급의 보이차가 창고에서 나오기 전이였기 때문에 홍콩에서는 주로 10년 전후의 세월이 지나 약간의 발효가 진행된 생차 내지는 숙차의 소비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래서 1980년 무렵부터 조금씩 가져다가 판매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 후 1980년대 중반 무렵 어느 날 의안차장에 있는 7542(501)가 눈에 들어왔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돈과 친구에게 빌린 돈을 합쳐 2000천만원(대만돈)을 투자하여 7542(501)을 수입하였다고 한다. 수입할 당시 자료가 부족하여 홍콩에서도 정확한 연도는 몰라 본인 생각과 홍콩 의안차창에서의 말을 종합하여 70년대 초반차라는 결론을 내리고 단순한 생각에서 생차 계통이니 73청병으로 명명하였다고 한다.

 

현재 시중에서는 73청병의 생산 연대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다. 한 때 73청병이 싸여진 바닥에 신문지가 있었는데 신문지의 날짜가 민국 73(서기 연도로는 플러스 11년을 하면 됨)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서기 1984년 생산 된 차로 언급되면서 인터넷이나 단행본에서 1984년 생산된 차로 사실로 기정사실화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엄연히 왜곡된 정보이다. 황슬금씨의 구술에 의하면 신문지와 민국 73년이란 말은 어디서부터 생겼는지 알 순 없으나 이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라고 한다.

 

73청병은 대만 옥호헌에서 홍콩의 의안차창에서 나온 차를 수입하였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부산의 녹백다장에서 수입하였다. 녹백다장 최윤석 대표의 구술에 의하면 “73청병을 수입하기 위해 통표를 살펴보니 7542(503)으로 표기되어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수입된 73청병은 7542(503)이며 최윤석 대표는 73청병의 발음을 부드럽게 하기위해 073청병(공칠삼청병) 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직도 영남지역에서는 73청병을 073청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73청병을 1975년에 만든 차로 추정하는 이유로는 황슬금 대표와 최윤석 대표의 구술 내용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이 몇 가지 근거에 의해서이다.

 

내비에 표기된 글씨가 이를 뒷받침한다. 맹해차창에서 생산 된 차의 내비에는 서쌍판납태족자치주 맹해차창출품(西双版納傣族自治州 勐海茶廠出品)이라고 표기되어져 있다. 여기에서 출()자의 위쪽의 산()자가 아래쪽의 산()자 보다 좁아 뾰족하다. 이런 출자를 우리는 첨출(尖出)이라고 한다. 첨출 내비는 1970년대 생산된 차에서만 보이는 특징이 있다. 위쪽의 산()자와 아래쪽의 산()자의 넓이가 같은 것을 평출(平出)이라고 하며 평출내비는 1980년대 이후 생산된 차에서 나타난다.

 

종이질감이 1970년대에 사용된 격문지(格紋紙)이기 때문이다. 1980년대에는 격문지로 포장한 보이차의 종류가 없다.

포장지 중앙의 녹색 차()자의 인쇄 방법이 도장으로 직접 찍은 수인이다. 이렇게 직접 자를 수인으로 찍는 방법은 1980년대 차에선 볼 수 없고 오로지 1970년대에 생산된 차에서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73청병을 1986~1987년 무렵에 수입하였다. 당시 보이차는 10년 정도 발효된 차의 소비가 주류를 이루었고 황슬금 대표 역시 이런 종류의 차를 선택하였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1975년에 생산 된 7542(501)인 것이다. 하지만 큰돈을 투자하면서 1984년에 만든 차라면 만든 지 2~3년 밖에 안 된 차를 10년 이상 된 차와 구분하지 못하여 수입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몇 가지 사실들을 근거로 73청병의 생산 연대는 1975년으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 7542로서는 최초로 생산된 차에 속하며 1975년 이후 7542는 계속해서 생산 되었을 것이다.

73청병은 홍콩의 의안차창 창고에서 나온 차로서 다른 차에 비해 높은 습도에서 보관된 차이다. 그러다보니 차에 따라 습기에 노출된 편차가 큰 차이다. 의안차장의 보관창고는 홍콩에서도 대표적으로 습도가 높은 창고에 속한다. 그래서인지 보관이 양호한 차와 습기에 노출된 차의 편차가 크고 바닥에 눌러져 있든 차는 매변이 심하게 발생한 차도 있다. -<끝>

 

1970~1980년대 생산 된 차들 대부분은 홍콩 보관창고에서 입창이 된 차들이다. 다만 입창의 정도에 따라 습기에 노출 된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73청병은 대표적으로 입창이 강하게 된 차이다. 그래서 인지 습기에 노출된 차들이 많고 병면이 깨끗한 차들은 드물다. 습기에 노출됐더라도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충분하게 거풍이 된 차는 농익은 맛으로 마시기에 편안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는 보관이 양호하고 병면이 깨끗한 차만 건창차로 인정되며 높은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시장 질서이다. 체질에 따라서 마셔야 될 차가 다르고 선호하는 차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좋다는 정답은 없기 때문이다.

 

2015년 1월 10일 황슬금 대표와 김경우 대표

 

현재 보이차가 역 수출 되는 시점에서 가격 형성으로 본다면 73청병은 대표적으로 1970년대에 생산된 차가 분명하지만 잘못된 정보로 인해 저평가된 차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현재 보이차 시장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 중국 유통상인들의 이해 부족과 73청병을 마셔보지 못해 객관적으로 품질대비 가격을 평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직접 마셔 본다면 동일한 연대에 생산 된 다른 종류의 차 보다 맛이 절대 뒤떨어지진 않고 오히려 훌륭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잘못된 정보에 따라 품질대비 가격 평가를 제대로 못하는 현실 속에서 다른 종류의 차에 비해 평가 절하된 안타까운 차이다.

 

73청병의 병면 외형 찻잎을 살펴보면 1980년대에 생산된 7542 계열의 차보다 찻잎의 크기가 작다. 오히려 7532 계열의 차에 가까울 정도이다. 이러한 이유는 숫자급 보이차의 병배방식을 1974년부터 만들어 적용하였지만 생산 초창기이다 보니 기술적으로 완성이 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차의 무게와 찻잎의 크기가 7542라고 보기에는 작아 보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러한 현상은 1970년대 생산 된 7432, 7452, 7542, 7572, 7582 등등에서 대부분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이며 찻잎의 크기에서 큰 차이점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하다.

 

생산 10년을 전후하여 홍콩으로 들어 온 차[보이 생차, 숙차]들은 위 말처럼 당시 대만의 주요 차류로 인정받고 시장에서 판매가 되었던 것이며 그 중에서 80년 중반의 시기에 들어와 있던 7542(501)가 연도를 따져 73청병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니 지금 시중에 퍼져 있는 80년대 차라는 인식은 충분히 잠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위의 옥호헌 대표의 구술 내용처럼 직접적인 판매상의 증언이 있는 기록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김경우 씨의 보이차 관련 지난 기사

2015/03/25 - [인터뷰] 골동 보이차 유통의 전문가 김경우

2015/02/15 - 다미향담(155) 73청병과 97년 7542를 함께 즐기다

2015/02/02 - 다미향담(152) 황인 숙차와 1990년대 맹고의 조합

2014/02/20 - 대익보이차 영웅준마 런칭

2014/01/18 - 중국 대익보이차 서울 여의도점 오픈

2010/09/17 - 다미향담(2) 맛으로 승부하는 차

2010/08/09 - 말복에 마신 보이차와 오동단총

2010/04/15 - 혜산초당에서 만난 김경우 대표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보이차 감정가 김경우

 

보이차 시장에서 2007100년에 한 번 온다는 호경기를 한국과 중국이 경험을 했다. 이후 2-3년간의 침체기를 겪고 새로운 판이 형성되고 있다. 그것은 과거 보이차 시장은 홍콩과 대만 중국 본토였다면, 2010년을 기점으로 한국이 골동 보이차의 거래에 한 축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필자가 그간의 취재 경험에서 알 수 있었다.

 

홍콩이나 대만의 보이차 상인들이 한국을 드나들면서 과거 자신들에게 구매해간 보이차를 거두어 들이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이 점은 한국이 골동 보이차 시장에서의 위상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런 전후 상황에서 김경우 씨가 한국 소장가들이 가지고 있는 인급, 호급 보이차를 대만과 중국의 상인들에게 판매하는 국제적인 거래를 성사시키는 회수가 많아지면서 골동보이차의 시장에서 명성이 나게 되었다. 차의 가격은 계속해서 상승하는 가운데 거래하는 차를 시음하면서 판매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되면서 오직 차의 외형으로 판단하는 시점이 되었다. 이런 경우 사고파는 당사자의 안목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된다.

 

람인 한 통을 열어보는 모습

 

차를 시음하지 않고 거래하는 과정에서 보이차의 외형과 포장, 내비의 종류 등등이 하나하나 빅데이터로 집약되면서 그동안 몰랐던 사실까지도 알게 된다. 큰 시장에서의 흐름을 잡게 되었다. 지식이 쌓이고 거래 규모가 확대되면서 보이차의 종류와 시장에서 요구하는 차들을 감정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게 되었다.

 

한국에서 보이차를 감정하는 직업은 없다. 유사하게 중국 노동부에서 발급하는 품평사, 평차사 라는 직업은 있다. 이런 품평사가 보이차를 품평할 수는 없다. 그런데 골동이라고 할 만큼의 큰 금액이 오가는 일에 거래하는 차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어떻게 거래가 성공할 수 있을까? 보이차에 대한 거래는 자신이 모르면 절대로 할 수 없다. 특히나 보이차에 관계된 일을 초창기부터 해 왔던 경우라면 이제는 포장만 보고도 판별이 가능하고 그것을 거래가 성사되게끔 한다는 점은 일반 차인, 차꾼을 넘어선 것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에서의 인급 호급 골동보이에 대한 큰 거래를 성사시켜 왔던 사람.

판별하는 능력과 그에 대한 거래능력까지 한국과 중국에 널리 알려진 사람.

 

그런 점에서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거래를 성공시킨 김경우 씨는 골동보이차를 감정할 수 있는 국내 몇 안되는 전문가. 그의 지나온 이야기를 듣고자 석우연담에서 인터뷰를 하게 되었다.

람표 복원창호

홍표 복원창호

 

질문: 보이차의 거래에서 중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차는 무엇인가,

답변: 현재 중국, 홍콩, 대만, 유통 상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차는 전통방식에 따라 발효시키지 않고 긴압한 종류의 호급차, 인급차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예로 호자급 보이차는 복원창호, 홍표, 람표송빙호, 동흥호, 쌍사동경호, 황금당동창호, 경창호, 강성호등이 인기가 있습니다. 인자급 보이차는 홍인, 홍인철병, 무지홍인, 람인, 람인철병등을 선호라고 있습니다.

홍인철병

 

질문: 보이차를 매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

답변: 골동급차의 가격 형성 원칙에는 몇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는 내비가 온전하게 있어야 하며 둘째는 내비가 병면 속에 파묻혀 있어야 하고, 셋째는 외형의 형태가 온전해야하며 넷째는 무게가 320g 이상이어야 한다. 다섯째는 차의 외형이 습기에 노출되지 않고 병면이 깨끗해야 합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가격의 편차가 존재합니다. 예로 홍인의 경우에는 반드시 내비가 병면속에 파 묻혀 잇는 것을 현재는 인정하는 추세이며 병면위에 내비가 있는 것과는 가격에서 많은 차이가 납니다.

 

홍인철병

 

질문: 골동급 보이차를 소장하신 분들에 대해 조언을 한다면

답변: 현재의 시장 추세는 2년 전이 가장 활황기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향후 앞으로3~5년 사이에는 중국 경제 상황이 특별히 좋아지지 않는 이상 가격 상승은 힘들 걸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장 상황이 안 좋아 질수록 상태가 좋은 A급 차는 가격에서 현 상태로 유지 내지는 상승할 걸로 예상할 수 있으나 상태가 그다지 좋지 못한 B급 차의 경우 가격이 하락 내지는 구매자가 없을걸 로 예상됩니다. 현재 시장 상황도 그렇게 진행되고 있고요.

 

질문: 아직도 인급차나 호급차가 가격을 잘 받을 수 있을까요?

답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차의 상태에 따라 가격의 질서가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판매하고자 할 때는 골동급차의 유통 경험이 풍부한 상인에게 자문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우리나라에서 소장가끼리 거래라면 시장 가격보다 10~20% 정도 높은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향후3~5년 사이에는 특별한 가격 변화가 없을 걸로 예상되기 때문에 5년 이상의 장기간 소장이라면 또 한 번의 가격 상승은 기대해 볼 수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상입니다. 항상 골동급 보이차의 시장 상황은 움직이는 생물과 같아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골동급차는 호급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거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을급 람인

 

질문: 골동급차는 진년차에서 저 평가된 차는 무엇인가요?

답변: 보이차는 신차든 노차든 마찬가지로 소장용과 소비용을 구별하여 소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장용이라면 조금 비싸더라도 전통방식에 따라 발효시키지 않고 긴압한 A급 차를 소장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비용이라면 브랜드 가치와 상관없이 맛이 좋은 차를 선택해야 합니다. 1930년대에 만든 정흥호, 1950년대 전후에 만든 송빙호, 사보공명, 맹경호, 동창황기등은 웬만한 1970년대 만든 차와 가격이 비슷한 추세입니다. 소비용이라면 이런 차를 소비하는 것이 품질대비 가격이 합리적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시장에서 저평가된 차와 향후 가격 상승을 기대해볼 차는 1970년대에 만든 대람인, 대황인, 소황인, 73청병, 1980년대 중반에 만들어진 7542등이 현재 저평가된 대표적인 차의 종류입니다. 잘 발효된 1970년대 숙차도 가격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동흥호의 통을 열어볼 때

 

질문: 오늘 날과 같이 골동보이차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었나요?

답변: 특별한 계기보다는 지금까지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차를 감정할 수 있는 안목과 홍콩, 대만, 중국의 인맥을 바탕으로 골동차를 역 수출 할 수 있는 토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질문: 국내에서 2000년대 초 보이차가 한 창 붐을 불 때 골동보이차는 대부분이 가짜라고 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10년 전후에 한국에 골동보이차가 많이 들어왔는데, 그 당시에 한국에 들어온 보이차를 대만이나 중국 차 상인들에게 판매할 때 그 과정에서 가짜 보이차가 많았는지 궁금합니다. 그런 과정에 에피소드가 있다면 들려주세요?

답변: 우리나라에 들어온 보이차는 대부분 가짜가 없었습니다. 다만 상태에 따라 A급과 B급으로 구분되어 가격면에서 차이가 존재할 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짜가 없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홍콩이나 대만에서 직접 구입한 차들은 재현 차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렇지 않고 정상적인 유통 경로를 따라 구입한 차는 가짜가 없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차의 상태 차이에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예로 홍인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현재 시장에서는 중국 유통 상인들은 골동급차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새로운 기준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예로들면 내비가 병면 속에 파 묻혀 있어야 진품으로 인정하는 추세인데 이는 당시 작업 상황을 생각하며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입니다. 작업을 하다 보면 내비가 파묻혀 있을 수도 병면위에 얹어져 있을 수가 얼마든지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보다는 찻잎의 외형적 형태에 따른 찻잎의 구조를 참고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람인과, 무지홍인등은 홍인의 찻잎 구조와는 엄연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당시 이야기 했든 것처럼 대부분 가짜라고 하면 홍콩, 대만, 중국 상인들이 비싼 가격을 주고 가짜차를 사겠습니까. 그들도 바보가 아닌데요.

 

후지 동흥호 내비

 

질문: 골동보이차를 감정하는 곳이 국내외 적으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외국에서는 어떻게 감정하고 거래를 하는지, 그리고 한국에서는 보이차를 감정하는 곳이 있는지? 김경우 씨는 보이차를 감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선행되어야 된다고 보십니까?

답변: 현재 보이차 시장에서 보이차를 전문적으로 감정하는 곳은 없습니다. 그래서 인지 중국, 대만, 홍콩의 경매 시장에서 나온 도록을 살펴보면 오류가 있는 것이 그러한 예입니다. 경매 시장에서 나온 것이라고 해서 무조건 100% 믿으면 안 됩니다. 보이차는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실제 보이차를 많이 만져보고 마셔 본 사람이 가장 정확합니다. 그동안 제가 선택한 차를 가짜라고 판명되어 거래에서 실패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이러한 점들이 나름대로 국제적인 신뢰를 축적하게 된 것 같습니다. 현재 보이차 시장에서 감정하는 곳은 없으며 유통 상인들이 주축이 되어 감정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동경호 내비

 

질문: 보이차 전문가로서 향후 계획은 무엇이 있나요?

답변: 올 연말 출간 예정으로 보이차에 관한 단행본을 집필중입니다. 보이차를 알기위해서는 문화사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보이차의 실체에 관한 유통 부분에서 실제적인 부분을 어떻게 이해하는가도 중요합니다. 근대 보이차는 중국은 보이차의 생산지였으며 골동급 보이차가 출현한 곳은 홍콩입니다. 현재 소비자는 홍콩을 무시하거나 악덕 상술이 난무하는 것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그대로 받아드리고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홍콩에서 바라본 보이차에 대한 시각으로 원고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현재 많은 분들이 보이 신차를 제작하고 있지만 정작 골동급의 보이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그러면서 세월이 지난 후 좋은 보이차가 될 것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 생각됩니다. 세월이 지난 후 좋은 보이차가 되기 위해서는 더욱 더 과거 보이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좋은 점은 받아드리고 나쁜 점은 고치는 지혜가 필요할 것입니다. 제가 보치차에 관한 책을 준비하는 이유도 생산현장에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보이차 노반장

 

2007117일 석우연담을 시작하였다. 그동안 차의 세계를 다양하게 조망해 보았다. 특히 필자의 중국 탐방과 취재가 많았던 관계로 중국쪽의 소식이나 정보가 많이 올라온 것은 사실이다.

2010년 여름 즈음 다미향담이 시작되고, 석우연담의 글들이 점차로 많아지면서 보이차에 대한 정보들이 많아졌다. 지난 4-5년간의 차시장에서의 두드러진 변화는 바로 보이차의 시장성장과 그에 따른 관심의 급증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차품들이 정확한 정보로 다가오는 것은 별반 없었다고 파악이 된다.

 

그 이유는 온라인에서나 오프라인에서 새로 출시된 신제품, 혹은 노차에 대한 이야기들이 뭉뚱그려졌거나 특징이 잘 드러나지 않고 더 나아가 개인적인 입장에서의 품차, 품평들이 일정한 형식도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감평, 리뷰 등의 일은 면밀히 살펴보고 싶은 분과였으나 그 동안의 스케쥴은 그럴만한 짬을 내기에는 너무 바쁜 일정이었기에 제대로 준비하거나 정리되지 않았다.

이에 이전까지의 품차 데이터를 든든한 저변으로 삼고, 지금 현재 시장에서 이슈가 되는 차품들, 더 나아가 앞으로도 발전할 수 있는 차품들이 어떤 것이 있을까 하는 흥미로운 의구심을 보태어 품차열전이라는 제목으로 본격적인 리뷰를 준비해 보고자 한다.

 

봉황단총

 

품다열전에서는 보이차를 바라보면서 리뷰를 남기되 생차나 숙차에 구분을 하지 않을 것이다.

차는 보이차만 있는 것이 아니다. 육대차류들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데 굳이 시장과 유행의 중심이 보이차라고 해서 그저 힘없이 끌려가는 입장은 되지 않을 것이다.

 

세상에는 얼마든지 맛나고 향기로운 차가 그득하다.

보이차만 바라보고 살기에는 우리 인생이 너무 짧지 않을까?

 

이에 품다열전에서는 공익성을 기준으로 모든 것을 불문하고 기록하고자 한다.

또한 홍콩 창고에서 진행한 입창차에 대한 것도 가감없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일반적으로 입창차에 대한 불신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많은 차꾼들이 그동안 즐겨 마셔온 차에서 입창차인줄도 모르고 좋아하면서 마신 차들을 보면 훗날 스스로 부끄러워할 때도 있다. 비근한 예로 73후전 같은 차는 숙차로서 입창을 한 전형적인 차이다 그 맛이 얼마나 깊고 좋은지 차 맛을 아는 사람은 다 알고 있다. 그렇듯이 일방적으로 입창차를 매도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무조전 고수차라고 값이 비싸야 되는 것도 문제가 많다. 2030년간 발효가 잘 된 차들보다 더 비싸야 하는지에 대한 것도 있다.

 

블로그에서의 리뷰는 철저한 원칙이 있다.

필자가 스스로 차품을 구하여 진행함을 원칙으로 하되 품차하기 위해 지원받은 차는 지원 받은 차에 대한 출처를 글 아래에 명시함이 바로 그것이다.

 

품다열전의 첫 번째 리뷰는 31일부터 시작한다.

필자의 리뷰대상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보이차에만 국한 하는 것은 아니며 그에 대한 품차방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차시음과 감평의 순서에 따르지는 않는다. 왜냐면 보이차와 공첨, 천량차 외 일부 흑차류에 한해서는 그런 방식의 평가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특히 보이차의 상업적 가치만을 두고 수집한 경우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품다(품차, 차시음)방법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관이 많이 따를 것이며 그 외 녹차, 청차, 백차, 황차, 홍차류는 객관성으로 유지한다.

 

다만 탕색이나 엽저와 같은 의례적인 사진보다는 차품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방향으로 촬영을 할 것이며, 엽저의 상태를 꼭 확인해야만 하는 의미가 있는 차들은 반드시 엽저를 촬영할 것이다.

품차열전을 진행하면서 리뷰에 대한 순서와 감평의 포인트들은 가감하면서 최적의 리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온, 오프라인에서의 아쉬운 품평에 대한 부분을 보충하고자 한다. 이에 차품에 대한 리뷰들은 부족함 없는 결과로 남겨 차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소비자들이 선택을 할 수 있는 공익적인 데이터를 제공코져 한다.

 

'다미향담 > 품다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다열전(01) 일명 반장차라고 하는 차  (0) 2015.03.09
Posted by 石愚(석우)
,